우수고객

(BKC 강해주석 06) 열왕기상 하 (개정판)

  • 2,311
  • 페이스북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확대보기

탐 칸스터블

문동학,이명준 역자

두란노

2016년 04월 25일 출간

ISBN 9788953125391

품목정보 150*220mm316p560g

가   격 14,000원 12,600원(10%↓)

적립금 700원(5%)

카드
무이자
혜택보기

배송정보이 상품을 포함하여 15,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준비기간1일 이내 (토/주일/공휴일 제외, 당일 오전9시 이전 결제완료 주문기준) 설명보기

품목코드A000204985

매장현황
설명보기 지점별재고
광화문 강남 일산 구로 의정부 노원
1 1 0 1 1 0
* 주의: 실시간 재고수량이 달라지므로 방문전 전화확인 필수!
수량 상품 수량 1 감소 상품 수량 1 증가

총 합계금액0

상품 상세 정보
바로구매 장바구니 위시리스트
필독! 공지사항

함께 보면 좋은 상품이예요


달라스신학교 교수진들이 편집한
강 해 주 석!


‘지난 30여년 간 수많은 독자들이 애용한
두란노 BKC 강해주석!’

하나님의 말씀에 ‘깊이’와 ‘넓이’를 더한다!
강해설교와 QT를 더욱 효과 있게!


『두란노 BKC 강해주석』은 권위를 자랑하는 달라스 신학교의 교수진들이 직접 편집한 The Bible Knowledge Commentary를 원문 그대로 옮긴 성경 주석서이다. 성경 전체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관찰하고 있는 『두란노 BKC 강해주석』은 강해설교와 QT의 핵심을 짚어 주고 뼈대를 잡아 주는 현대인의 주석서로 손색이 없다. 성경을 가까이하고 보다 깊이 있게 성경을 알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훌륭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목회자, 신학생
- 성경공부 리더, 교사
- 깊이 있는 성경공부를 원하는 평신도


[서론]

:: 제목
이 책의 제목이 열왕기상·하라 이름 붙여진 것은, 사울을 제외한 이스라엘과 유다의 모든 왕들의 통치를 기록하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왕상 1:1~2:12에 다윗의 말년이 언급되어 있으나, 그의 치세의 대부분의 사건들은 삼하 2~24장과 대상 11~29장에 기록되어 있다). 히브리어 구약 성경에서 열왕기상·하는 한 책이었으며, 사무엘상·하로부터 시작된 역사적인 기사의 연속으로 간주되었다. 헬라어 구약성경 번역본인 70인역에서는 열왕기서를 두 부분으로 나누는데, 그것이 영어 성경에서 열왕기상·하가 되었다. 하지만 70인역에서는 이 두 책을 “왕국 3, 4서”(사무엘상·하는 “왕국 1, 2서”)라고 불렀다. “열왕기”라는 제목은 제롬의 라틴어 번역본(불가타 역)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 번역본은 70인역으로부터 약 6세기 후에 제작되었다. 제롬은 이 두 책을 “열왕들의 책”이라고 불렀다.


:: 범위
열왕기상·하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그것은 솔로몬을 다윗 왕좌에 앉히려는 운동의 시초부터 유다의 마지막 왕인 시드기야의 통치 말년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다. 시드기야는 남 왕국이 바벨론에 사로잡히고 바벨론의 통치자가 팔레스타인을 관할하기까지 다스렸다. 열왕기상·하를 통해서 이스라엘 역사상 주요한 세 시기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 통일 왕국(이스라엘과 유다가 사울과 다윗 때처럼, 솔로몬의 통치아래에 있던 기간)

(2) 분열 왕국(이스라엘이 유다 왕들의 지배에 반기를 든 때부터 이스라엘이 앗수르의 포로로 끌려간 때까지의 기간)

(3) 잔존 왕국(이스라엘이 추방된 때부터 유다가 멸망해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때까지의 기간) 열왕기서를 상·하로 나눈 것은 기사 내용 때문이기 보다는, 열왕기상·하의 두루마리를 보다 다루기 쉽게 나눠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두 책의 길이가 지금은 거의 같게 되었다.


:: 연대
여호야긴이 감옥에서 풀려난 것이 열왕기하에 기록된 마지막 사건이다. 이 일은 그가 수감된 지 37년 되던 해에 이뤄졌다(BC 560년). 따라서 열왕기상·하는 그 사건 전에 기록될 수 없었을 것이다. 유대인들이 BC 538년에 바벨론으로부터 귀환한 사건이 열왕기상·하가 기록될 때 일어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때 그런 일이 생겼다면 저자가 기록했을 것이다. 열왕기상·하는 아마 BC 560년과 BC 538년 사이에 그 마지막 형태가 이뤄졌을 것이다.


:: 저자
저자가 열왕기상·하를 집필하면서 여러 자료를 이용한 것은 분명하지만, 본서는 저자가 한 사람인 것으로 보인다. 그 근거는 선별된 자료의 기록(왕들의 행적과 평가, 선지자들의 사역 등)과 책 전체에 흐르는 강조점(예를 들면, 선지자들의 사역과 왕들의 행적을 모세 율법과 다윗 왕조의 탁월성에 연관해 평가하고 있다), 왕들의 치세의 시작과 끝을 표현하는 방법(왕상 14:31; 15:1~3, 23~26)과 처음부터 끝까지의 구절과 용어가 되풀이되는 것(예를 들면, “남은 사적과 …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년 동안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등이다.

저자가 누구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아마도 바벨론으로 끌려간 포로 가운데 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어떤 주석가들은 이러한 결론을 지지하며, 저자가 바벨론에 수감되었던 여호야긴의 석방 사실을 기록한 것을 지적한다. 왜냐하면 이 사건은 포로로 잡혀 있던 유대인들에게 아주 인상 깊은 일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논리의 귀결로 열왕기상·하를 연구하는 이들은 에스라와 에스겔 같은 주목할 만한 유대인 포로를 저자로 꼽는다. 예레미야 역시 물망에 오른다. 그는 물론 바벨론으로 끌려간 포로는 아니었다. 그는 애굽에서 죽었기 때문이다. 고전과 전통은 다른 자들을 고려하기보다 이들 세 사람 중 한 명을 유력한 자로 본다.


:: 목적
열왕기상·하는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쓰였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점은 역사의 교훈을 가르치기 위해 쓰였다는 사실이다. 저자의 주된 역사적 관심은 이스라엘과 유다 왕들의 기록을 보존하는 것이다. 이 기록에서 중점을 둔 것은 왕들과 선별된 선지자들이 그들의 통치 기간에 이룬 행적이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사실은 저자가 모세 율법을 기준으로 해서 왕을 평가하려고 했다는 것이다. 북 왕국과 남왕국의 몰락을 추적하는 것 외에 그는 전반적으로 그 몰락의 원인을, 상세하게는 각 왕의 운명을 지적한다. 저자는 바벨론에 있는 포로들에게 그들이 곤경에 처한 이유를 가르침으로써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도록 하려고 했을 것이다. 특히 언약(순종하면 축복을 받고, 불순종하면 심판을 받는다는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우상숭배의 죄악을 크게 강조했다.

역대하는 열왕기상·하와 거의 같은 시기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역대상은 다윗의 계보[1~9장]와 사울의 죽음[10장], 다윗의 치세와 죽음[11~29장]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두 기사의 목적과 강조점은 현저히 다르다. 역대기 저자는 유다 왕들에 대해 더 관심을 갖는 반면, 열왕기의 저자는 이스라엘과 유다 왕 모두에게 관심을 가진다. 역대상·하는 성전과 예배 같은 제사장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반면, 열왕기상·하는 왕과 선지자적인 요소에 더 관심을 둔다. 역대하에서 다윗 이후의 유다 왕들은 야웨께 드리는 예배와 다윗에 비추어 평가되었다. 열왕기상·하에서는 두 왕국의 왕들이 모세의 율법에 비추어 평가되었다(역대상·하의 목적과 강조점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역대상의 서론을 참조하라).


:: 역사적 배경
솔로몬이 BC 971년에 왕위에 올랐을 때, 이스라엘 주위에는 군사적으로 크게 위협이 될 만한 나라가 없었다. 애굽과 앗수르가 모두 약해져 있었다. 하지만 앗수르가 점점 막강해지면서 BC 722년에 이스라엘의 수도인 사마리아를 공격해 빼앗았다. 얼마 후에 유다를 공격해 남쪽의 성읍 몇몇을 탈취했지만, 유다의 수도인 예루살렘만은 함락시키지 못했다. 앗수르는 애굽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BC 609년에 애굽 왕 바로느고는 그의 군대를 이스라엘 북쪽 아람의 하란으로 끌고 가서 신바벨론 제국으로 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 앗수르를 도우려 했다. BC 605년, 느부갓네살이 이끄는 바벨론은 갈그미스에서 애굽을 패배시키고 남쪽의 유다로 진격해 세 차례 공격으로(BC 605, 597, 586년) 예루살렘을 완전히 멸망시켰다. 그리고 BC 586년에 가난한 유다인들만 빼고 모두 포로로 사로잡아 갔다.


:: 연대기
열왕기상·하를 연구하는 이들이 당면하는 주드디어 우리가 신뢰할 수 있는 주석서가 나왔다. 설교자, 교사, 성경공부 리더는 물론이고 많은 성도가 『두란노 BKC 강해주석』을 통해 큰 도움을 얻을 것이다.
-데이빗 제러마이어 박사(Shadow Mountain Community Church 담임목사)

일관된 해석 방법, 최신 학문,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성경 연구를 통해 탁월한 주석이 탄생했다. 피상적인 해설이나 일관성 없는 해석 때문에 다른 주석서들에 실망한 사람에게 『두란노 BKC 강해주석』을 적극 추천한다.
-워런 위어스비 박사

『두란노 BKC 강해주석』은 성경을 잘 모르는 초보자부터 깊이 있는 성경 연구를 추구하는 사람들까지 모두가 좋아할 만한 주석이다. 깊이 있는 학문적 연구에도 불구하고 쉽게 읽을 수 있는 문체 덕분에 이 『두란노 BKC 강해주석』은 책장에 꽂힌 책들 중 가장 유용한 책이 될 것이다.
-길버트 비어즈 박사

목차

서론

[열왕기상]

개요
주해

Ⅰ. 솔로몬의 통치(1~11장) 24
A. 새로운 왕을 위한 준비(1:1~2:12)
B. 솔로몬의 초기 통치(2:13~4:34)
C. 솔로몬의 성전과 왕궁(5~8장)
D. 솔로몬의 후기 통치(9~11장)

Ⅱ. 왕국 분열의 초기 역사(12~22장)
A. 왕국 분열(12:1~24)
B. 이스라엘 왕 여로보암의 악한 통치(12:25~14:20)
C. 유다 왕 르호보암의 악한 통치(14:21~31)
D. 유다 왕 아비얌의 악한 통치(15:1~8)
E. 유다 왕 아사의 선한 통치(15:9~24)
F. 이스라엘 왕 나답의 악한 통치(15:25~32)
G. 이스라엘 왕 바아사의 악한 통치(15:33~16:7)
H. 이스라엘 왕 엘라의 악한 통치(16:8~14)
I. 이스라엘 왕 시므리의 악한 통치(16:15~20)
J. 이스라엘 왕 오므리의 악한 통치(16:21~28)
K. 이스라엘 왕 아합의 악한 통치(16:29~22:40)
L. 유다 왕 여호사밧의 선한 통치(22:41~50)
M. 이스라엘 왕 아하시야의 악한 통치(22:51~53)


[열왕기하]

개요
주해

Ⅰ. 분열 왕국의 후기 역사(1~17장)
A. 이스라엘에서 아하시야의 악한 통치(1장)
B. 이스라엘에서 요람의 악한 통치(2:1~8:15)
C. 유다에서 여호람의 악한 통치(8:16~24)
D. 유다에서 아하시야의 악한 통치(8:25~9:29)
E. 이스라엘에서 예후의 악한 통치(9:30~10:36)
F. 유다에서 아달랴의 악한 통치(11:1~20)
G. 유다에서 요아스의 선한 통치(11:21~12:21)
H. 이스라엘에서 여호아하스의 악한 통치(13:1~9)
I. 이스라엘에서 요아스의 악한 통치(13:10~25)
J. 유다에서 아마샤의 선한 통치(14:1~22)
K. 이스라엘에서 여로보암 2세의 악한 통치(14:23~29)
L. 유다에서 아사랴의 선한 통치(15:1~7)
M. 이스라엘에서 스가랴의 악한 통치(15:8~12)
N. 이스라엘에서 살룸의 악한 통치(15:13~16)
O. 이스라엘에서 므나헴의 악한 통치(15:17~22)
P. 이스라엘에서 브가히야의 악한 통치(15:23~26)
Q. 이스라엘에서 베가의 악한 통치(15:27~31)
R. 유다에서 요담의 선한 통치(15:32~38)
S. 유다에서 아하스의 악한 통치(16장)
T. 이스라엘에서 호세아의 악한 통치(17:1~6)
U. 포로가 된 이스라엘(17:7~41)

Ⅱ. 잔존 왕국 유다의 역사(18~25장)
A. 히스기야의 선한 통치(18~20장)
B. 므낫세의 악한 통치(21:1~18)
C. 암몬의 악한 통치(21:19~26)
D. 요시야의 선한 통치(22:1~23:30)
E. 여호아하스의 악한 통치(23:31~35)
F. 여호야김의 악한 통치(23:36~24:7)
G. 여호야긴의 악한 통치(24:8~17)
H. 시드기야의 악한 통치(24:18~25:7)
I. 바벨론 통치하의 유다(25:8~30)
소개
BKC강해주석

전체선택 장바구니담기 위시리스트

탐 칸스터블
저자는 달라스 신학교의 성경강해 분과의 주임교수 및 분과장을 맡고 있다. 또한, 플레이노 바이블 교회(Plano Bible Church)에 서 12년간 목회한 바가 있다. 현재 아내와 함께 달라스에 거주하고 있다. <b>저서</b> [Talking to God]
평점 0 매우 별로예요! 총 0건 평가 기준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상품관련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립니다.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상품Q&A쓰기

배송 관련정보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교환/환불 관련 정보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
파본상품은 반품/교환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유선전화나 게시판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주문취소
•주문상품  취소는 "입금확인중(전체취소만 가능)/결제완료(부분취소도 가능)" 단계에서만 가능합니다.
•"입금확인중" 단계에서는 부분취소가 되지 않사오니 부분취소를 원하시면 전체취소후 재주문 주셔야 합니다.
•무통장 및 가상계좌 결제의 경우 주문일 기준으로 15일이후까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주문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반품/교환
•받으신 상품을 사용하지 않으신 경우, 출고완료 후 7일 이내에 반품이 가능합니다.
•주문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 "마이페이지>취소/반품/교환신청"메뉴에서 반품/교환신청이 가능합니다.
•교환은 상품불량 및 오배송 시에만 동일제품에 한하여 교환됩니다.다른 상품으로 교환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기 원하시면 반품후 새로 주문해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변심에 따른 반품의 경우 편도/왕복 배송비가 부과되며 배송료는 고객 부담입니다.
-전체반품시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미달일경우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이상일경우 편도배송비 부과


※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시즌 상품의 경우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습니다.꼭 숙지해 주세요.(월간지/다이어리/절기공과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교재/악보/음반 및 멀티미디어 등)경우 성경공부교재 및 악보는 받으신 이후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으며 음반 및 멀티미디어의 경우 포장을 훼손한 경우 반품/환불이되지 않습니다.
•인쇄성경/스프링제본 등과 같이 고객 요청으로 별도제작된 상품인 경우
•고객님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단, 가전제품, 음반 등의 일반 상품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가지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 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비닐로 랩핑된 상품의 경우 비닐을 뜯으시면 반품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