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의 개론서들 중 가장 방대한 드실바의 신약개론 드디어 출간!
본서는 신약성경 저자들의 사회적, 문화적, 수사학적 배경에 집중한다. 그리고 현시대의 해석학적 방법론들도 각 신약성경의 특징에 맞게 적용해본다. 또한 신약개론서로는 드물게, 본서는 목회를 준비하는 신학생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한 접근을 시도한다. 이러한 학문과 실천의 통합적인 요소들은 본서를 다른 개론서들과 차별을 갖게 한다. 게다가 각 장마다 수록된, 지도, 사진, 등은 학습 효과를 더욱 높여줄 것이다. 저자인 드실바는 프린스턴에서 수학한 후 에모리대학교에서 신약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그는 애슐랜드신학교에서 신약을 가르치고 있다.
[특징]
▪ 사회적, 문화적, 수사학적 배경에 기초한 신약개론
▪ 신약성경 각 권과 오늘날의 목회 현장과의 연결
[추천 독자]
▪ 현대의 학문과 해석학으로 신약성경을 연구하길 원하는 독자
▪ 신약성경이 주는 목회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는 독자
추천의 글
데이비드 드실바(David A. deSilva)는 내게 정말 필요한 책을 썼다. 이 책은 이해하기 쉽고 읽기 편할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에 대한 최근의 학문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역사적, 수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신약성경을 살펴보게 된다. 더욱이 이 책은 실제 목회적인 차원에서 적용될 수 있다. 더 이상 무엇을 바라겠는가? 학생들에게 이보다 더 좋은 책은 없을 것이다. 나는 정말로 이 책을 기대하고 있다.
-피터 데이비스 St Stephen’s University 교수-
목차
지도·표 목록 _ 15
추천사 (김병모 박사: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_ 17
추천사 (Peter H. Davids 박사 외 6인)_ 20
저자 서문 _ 23
“해석 기법”란의 사용에 대하여 _ 28
역자 서문 _ 35
약어표 _ 37
1장. 목회적 대응으로서의 신약 _ 41
1. 1세기 초대 교회의 이슈들 _ 42
2. “새” 언약의 형성 _ 45
2장. 초대 기독교의 정황: 필수적인 지표 _ 53
1. 서문: 신구약 중간기의 중요한 발전 _ 54
70인역 _ 59
구약 외경 _ 68
2. 복음서와 독자의 세계에 등장하는 핵심 인물과 구상 _ 78
3. 토라, 성전, 전승: 유대교에 대한 공통된 관심사 _ 103
쉐마 _ 105
“열여덟 가지” 축복 _ 113
4. 유대교 안에서 다양성 _ 116
사해 두루마리 _ 120
5. 그리스-로마 종교 _ 129
영지주의, 나그 함마디(Nag Hammadi) 문서와 헤르메스 문서(Hermetica) _ 130
6. 그리스-로마 철학 학파들 _ 136
7. 그리스-로마 세계의 유대인들 _ 142
8. 그리스-로마 세계의 그리스도인들 _ 150
3장. 초대 기독교의 문화적 사회적 정황 _ 157
1. 정결과 부정 _ 158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연극에 나타난 정결과 부정 _ 164
2. 명예와 수치 _ 177
3. 후견인 관계와 호혜 _ 185
4. 고대 사회에서 “가족”의 형태와 중요성 _ 196
4장. 사복음서와 그 사람 예수 _ 207
1. 복음서란 무엇인가? _ 208
2. 역사적 예수에서 정경의 복음서로 _ 212
3. 복음서 배후에 있는 건축 구조물들: 구전 전승 _ 216
4. 사복음서의 구성과 관계성 _ 227
스트리터(B. H. Streeter)의 공관복음 문제 해결 방안 _ 237
Q 문서의 내용 _ 240
5. 사중 복음 모음 _ 248
6. 복음서 기자들로부터 우리까지: 복음서의 전수 _ 253
7. 역사적 예수를 찾아서 _ 255
신빙성의 기준들: 요약 _ 265
확인된 사실들 _ 268
5장. 마가복음 _ 277
1. 마가복음의 역사적·목회적 정황 _ 278
마가복음의 청중은 누구였는가? _ 282
마가복음의 개요 _ 286
2. 마가의 메시지 _ 288
세례 요한 _ 296
해석 기법: 문맥 고찰 _ 319
문화 인식 _ 323
마가복음과 목회적 적용 _ 326
6장. 마태복음 _ 331
1. 마태복음의 역사적·목회적 정황 _ 331
마태복음의 개요 _ 339
2. 다른 초대 기독교 자료에 대한 마태의 사용 _ 341
마태복음의 고유 자료(M) _ 344
3. 마태복음의 메시지 _ 345
유대 메시아 종파주의에 관한 선언으로서 마태복음 _ 347
4. 하나님 백성의 유산과 교회(ekklēsia)와의 연속성 _ 348
5. 교회 에토스와 규율에 대한 마태의 구성 _ 371
해석 기법: 편집 비평 _ 383
해석 기법: 신약성경 해석에 있어 성경 외적인 자료들의 이용 _3 88
문화 인식 _ 394
마태복음과 목회적 적용 _ 404
7장. 누가복음 _ 411
1. 누가복음의 역사적·목회적 정황 _ 412
누가복음의 개요 _ 419
2. 기독교 초기 자료에 대한 사용 _ 420
누가복음의 고유 자료(L) _ 425
3. 누가복음의 메시지 _ 426
구약성경에 대한 헬라어와 히브리어 본문의 차이 _ 428
4. 누가복음의 강조점 _ 446
누가복음-사도행전에서 여자의 역할 _ 449
해석 기법: 본문 비평 _ 453
문화 인식 _ 460
해석 기법: 비유 해석 _ 464
누가복음과 목회적 적용 _ 469
8장. 사도행전 _ 475
1. 사도행전의 장르: 사도행전과 고대 사료학 _ 476
2. 사도행전의 강화 _ 479
케리그마: 복음의 선포 _ 481
3. 사도행전의 목적 _ 484
누가복음의 지리 _ 486
4. 사도행전의 구조 _ 486
5. 사도행전의 메시지 _ 487
사도행전의 개요 _ 489
초대 교회 공동체의 모습 _ 495
초대 기독교의 전도 설교 _ 502
6. 사도행전과 역사: 하나의 판례(test case)로서 바울 _ 505
갈리오 비문(신약성경 연대기의 기초) _ 510
해석 기법: 역사 비평 _ 513
해석 기법: 수사 비평(1)-재판에 관한 주제 _ 518
사도행전과 목회적 적용 _ 523
9장. 요한복음 _ 529
1. 요한복음의 역사적·목회적 정황 _ 530
요한복음과 하나님의 계획 속의 있는 세례 요한의 역할 _ 540
2. 요한복음 배후의 자료들 _ 540
요한복음의 개요 _ 541
요한복음의 문체 _ 545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이야기와 교훈들 _ 549
제4복음서와 역사적 예수 _ 557
3. 요한복음의 메시지 _ 558
제4복음서의 종말론 _ 571
제4복음서의 성례 _ 573
요한복음에 나타난 베드로의 초상 _ 577
해석 기법: 서사 비평 _ 586
문화 인식 _ 592
해석 기법: 사회 과학적 비평 (1)- 더 큰 세상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_ 595
요한복음과 목회적 적용 _ 602
10장. 요한 서신 _ 607
1. 요한 서신에 대한 서론 _ 608
요한일서의 구조 _ 616
2. 요한 서신의 교훈 _ 619
요한일서의 기독론적 “선언”과 자료 비평 _ 621
요한일서와 이그나티우스 서신에 나타나는 사랑의 개념 _ 624
해석 기법: 본문에 나타난 이념적 구조(Ideological Texture) 탐구 _ 629
요한 서신과 목회적 적용 _ 638
11장. 바울 서신 서론 _ 643
1. 바울의 생애에 관한 연구의 문제점 _ 644
2. 그리스도인이 되기 전의 바울 _ 645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의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 _ 646
3. 살아계신 그리스도와의 만남 _ 649
4. 사도들의 이방인 사역 _ 656
바울의 복음과 역사적 예수 _ 657
12장. 갈라디아서 _ 667
1. 갈라디아 교회의 역사적 정황 _ 668
바울과 초기 유대교에 대한 “새관점” _ 678
2.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반응 _ 683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Faith of Jesus Christ) _ 686
“새관점”에 대한 비평 _ 697
해석 기법: 수사 비평(2)-에토스에 대한 호소 _ 702
갈라디아서와 목회적 적용 _ 705
13장. 데살로니가전후서 _ 711
1. 데살로니가라는 도시 _ 712
2. 데살로니가에서의 기독교 공동체의 형성 _ 713
3. 바울이 남겨 두고 떠난 회중 _ 715
4. 디모데의 방문 _ 717
5. 데살로니가전서 _ 718
6. 데살로니가후서 _ 726
데살로니가전서 2:1-12: 바울은 자신을 변호하고 있는가? _ 728
“불법의 사람”의 발전 _ 736
데살로니가후서 기록 이후 _ 738
해석 기법: 서신 분석(Epistolary Analysis) _ 741
데살로니가전후서와 목회적 적용 _ 745
14장. 고린도전후서 _ 751
1. 고린도 교회의 역사적 정황 _ 752
2. 고린도전서의 메시지 _ 769
고린도전서에 나타나는 바울의 구약 사용 _ 773
3. 고린도전서를 보낸 뒤부터 고린도후서를 쓰기 전까지 _ 778
4. 고린도후서의 메시지 _ 788
바울의 역경에 대한 목록 _ 790
바울과 허용될 만한 자기자랑에 대한 당시의 관습 _ 793
해석 기법: 수사 비평(3)-주제의 분석 _ 796
해석 기법: 수사 비평(4)-연설의 각 부분들이 가지는 기능 _ 800
고린도전후서와 목회적 적용 _ 805
15장. 로마서 _ 813
1. 로마서의 배경과 기록동기 _ 814
2. 장르와 구조 _ 823
3. 로마서의 메시지 _ 825
로마서의 문학적 통일성 문제 _ 827
로마서에서의 믿음: 누구의 믿음인가? _ 834
유대 문헌들에서 나타나는 은혜와 칭의의 개념 _ 839
바울의 해석학과 쿰란 공동체의 페샤림(Pesharim) _ 842
로마서 7:7-25의 난제 _ 846
율법: 죄의 촉매인가? 하나님의 치료제인가? _ 855
해석 기법: 사회 과학적 비평 (2)-종교의식에 대한 분석 _ 859
로마서와 목회적 적용 _ 862
16장. 빌립보서 _ 873
1. 빌립보 교회의 역사적 정황 _ 874
2. 장르 및 목적 _ 887
3.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유지하기 위한 바울의 전략 _ 890
바울의 이상한 “감사” 편지 _ 891
빌립보의 바울 적대자들? _ 892
빌립보서 2:6-11의 “그리스도 찬가” _ 897
4. 반대에 직면하여 믿음을 지키기 _ 902
해석 기법: 본문 배후의 상황 파악(“거울 독법” [Mirror Reading]) _ 904
빌립보서와 목회적 적용 _ 908
17장. 빌레몬서 _ 913
1. 역사적 정황과 목회적 목적: 빌레몬서 배후에 있는 이야기 _ 913
2. 빌레몬서에 나타난 바울의 목회 전략 _ 918
그리스-로마 세계의 노예제도 _ 920
3. 빌레몬서의 중요성 _ 923
해석 기법: 탈식민주의 비평(Postcolonial Criticism)과 문화론적 연구 _ 926
빌레몬서와 목회적 적용 _ 931
보충 설명 _ 933
18장. 골로새서 및 에베소서 _ 939
1. 골로새와 기독교 공동체 _ 940
2. 골로새 교회가 직면한 세속 철학에 대한 반론 _ 942
3. 골로새서의 목적 및 메시지 _ 945
골로새서 1:15-20의 지혜 기독론 _ 947
4. 골로새서의 저자 _ 948
5. 골로새서의 기록장소 _ 956
6. 에베소라는 도시 _ 958
7. 에베소서의 저자 _ 961
8. 에베소서의 수신자 _ 969
9. 목적 _ 970
10. 에베소서의 기록장소 _ 972
에베소서와 쿰란 _ 973
11. 에베소서의 메시지 _ 974
해석 기법: 단어 연구와 어휘 분석 _ 978
골로새서 및 에베소서와 목회적 적용 _ 987
19장. 디모데전후서 및 디도서 _ 993
1. 목회 서신의 역사적 배경 _ 994
디다케(Didache) _ 1009
2. 목회 서신의 메시지 _ 1014
윤리 철학에서 말하는 욕망을 이기는 법 _ 1018
사슬에 매여 처형당한 안디옥의 이그나티우스 _ 1024
해석 기법: 페미니스트 비평 _ 1026
목회 서신과 목회적 적용 _ 1038
20장. 히브리서 _ 1045
1. 히브리서의 배경 _ 1046
2. 장르와 구조 _ 1057
3. 히브리서의 목회적 전략 _ 1059
4. 초기 기독론에 대한 히브리서의 기여 _ 1073
히브리서의 저자는 어떤 구약성경을 사용하였나? _ 1074
해석 기법: 수사 비평 (5)-감정에의 호소 _ 1078
해석 기법: 편입 본문(Intertexture)의 분석 (1) _ 1084
히브리서와 목회적 적용 _ 1091
21장. 야고보서 _ 1095
1. “야고보서”와 수신자들 _ 1096
야고보서는 얼마나 기독교적인가? _ 1101
2. 구성과 구조 _ 1103
야고보서의 개요 _ 1105
3. 장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