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고객

예배 젠더 역사를 만나다

예배의 과거에 드리워진 베일 벗기기

  • 404
  • 페이스북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확대보기

테레사 베르거

안선희 역자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024년 03월 29일 출간

ISBN 9788934126621

품목정보 152*225mm388p500g

가   격 21,000원 18,900원(10%↓)

적립금 1,050원(5%)

카드
무이자
혜택보기

배송정보이 상품을 포함하여 15,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준비기간1일 이내 (토/주일/공휴일 제외, 당일 오전9시 이전 결제완료 주문기준) 설명보기

품목코드A000258793

매장현황
설명보기 지점별재고
광화문 강남 일산 구로 의정부 노원
1 1 0 0 0 0
* 주의: 실시간 재고수량이 달라지므로 방문전 전화확인 필수!
수량 상품 수량 1 감소 상품 수량 1 증가

총 합계금액0

상품 상세 정보
바로구매 장바구니 위시리스트
필독! 공지사항

함께 보면 좋은 상품이예요

젠더의 관점으로 예배 역사를 다시 살피고 재해석함으로써 젠더에 주목하는 예배 역사 서술이 무엇을 성취하고 무엇을 수반하는지를 제시한다. 다양한 전통 문헌뿐만 아니라 원전(元典)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 자료들 그리고 흥미로운 사례들을 통해 남성과 여성뿐만 아니라 중간 성(性)을 가진 사람, 금욕적 처녀, 고자(鼓子), 그리고 음란한 남자라는 모든 젠더 정체성과 예배에서의 젠더링 과정들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젠더 차이가 예배 역사 초기부터 어떻게 예배 생활을 형성해 왔는지를 알려 준다. 그리고 예배 역사에서 베일에 가려졌던 젠더 이슈를 드러냄으로써 예배의 과거에 대한 권위와 젠더 정체성에 따른 예배 리더십 부여에 대한 문제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 논하도록 도전한다. 젠더 갈등이 여전한 오늘날 이 책은 예배 연구와 성경적 예배 생활 형성에 유익한 자료와 모델을 제시한다.   


목차


추천사 1 최승근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예배설교학 교수 1

추천사 2 김명실 박사│영남신학대학교 예배학 교수 3


약어표 9

저자 서문 10

역자 서문 20


제1부 예배의 과거에 대한 젠더링: 문제점, 과제 그리고 도구들 23

제1장 젠더 관점에서 바라본 예배의 역사 24

제2장 여성에서 젠더 차이에 이르기까지 62


제2부 예배의 과거에서 젠더 추적하기 88

제1장 거룩한 공간과 젠더화된 몸 89

제2장 성찬식 단편들: 식탁 전통과 젠더 144

제3장 예배 참석: 예배 방해 요소로서 몸에서 흐르는 것들 195

제4장 예배 리더십과 젠더 257


제3부 젠더, 역사 그리고 예배의 전통 312

제1장 현존하는 예배의 과거 313


참고 문헌 364


본문 펼쳐보기


여성들이 1960년대에 이르러서야 예배 역사를 세우기 시작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다. 이는 리터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현대에 와서야 나타났다고 주장하는 것이 옳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오해들은 예배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일을 전문적인 학술적 연구의 실행으로만 국한할 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앞에서 암시했듯이, 예배에 대한 숙고와 예배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일은 최초의 그리스도교 회중들만큼이나 오래된 것이며, 이 회중 안에는 여성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여성들이 예배에 어떻게 참여했는지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이후 몇 세기에 걸쳐 우리는 예배 실행에 대한 여성들의 숙고 및 참여에 대해 다소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p. 56


분명코 여성주의 역사 서술 자체는 젠더 이론의 출현과 함께 중단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여성주의 역사 서술은 주로 젠더 이론의 이론적 흐름을 따라 그 도구들을 미세하게 조정했고, 그 주제는 여전히 특정한 여성(예를 들어, 청소년기 여성, 레즈비언 여성 혹은 하층민 여성)의 젠더화 과정이 되었다.15 새롭게 출현한 분야들 가운데 가장 현저한 분야는 남성성(masculinities) 연구, 성(sexuality) 연구 그리고 퀴어(queer) 이론 등이다.

p. 72


이와 같은 여성 메타포는 성스럽다는 이 공간의 개념 자체 속에 젠더화된 몸의 이미지를 새겨 넣는다. 히브리 성경에 나타난 가정 공간과 식사 의례 모두에 연결된 여성 메타포의 놀라운 예(例)가 지혜 문서에서 발견된다. 

잠언 9장 1-5절의 텍스트는 공간, 젠더, 그리고 (적어도 그 수용의 역사에서는) 예배 실행 사이의 대단히 흥미로운 상호 작용을 보여 주고 있다(그리스도교 전통은 이 텍스트를 교회의 성찬 축제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했다23). 잠언 9장 1-5절의 텍스트는 집을 짓고 식사를 대접하는 지혜로운 여인(Lady Wisdom)의 메타포로 하나님을 그려 내고 있다.

p. 106


예수님의 식사와 연관된 신약성경의 서로 다른 의미들 가운데서 하나님에 대한 여성적 이미지(곧 향연의 주인이며 음식인, 지혜로운 여인이라는 이미지)가 이처럼 반영된 것은 오직 여기서 한 번뿐이다. 

그러나 학문적 연구가 성찬식의 다양한 기원을 강조할 때 이 특정한 가닥은 큰 주목을 받아야 마땅하고, 이는 특히 젠더에 주목하면서 증거들을 다시 읽어 낼 때 그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주목은 초기 그리스도교에서의 성찬식에 대한 생각과 그 실행에 있어서 여성적 은유, 즉 하나님의 젖이라는 은유를 통해 성찬식의 음식을 이해하려고 했던 한 가닥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별히 중요한 것이다. 

p. 154


그리스도교의 많은 문헌에서는 몸에서 흐르는 여러 가지에 관련된 금지들이 그것이 여성의 몸과 관련된 것이든 남성의 몸과 관련된 것이든, 혹은 성적으로 뒤얽힌 몸과 관련된 것이든 상관없이 몸에서 분비되는 것들과 예배에서의 적절성에 관한 전반적인 근심으로서 함께 다루어졌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그 예외로는, 먼저 금욕주의 관련 문헌이 있는데, 이 문서들은 젠더가 특정되는 경우가 많다). 

p. 200


그러나 곧 성직자의 결혼 생활에서의 성적 행위는 부정적인 것으로 판단되기 시작했다. 결혼을 한 사람일 경우 안수받은 자들은 성적으로 금욕하는 삶을 살아야 했다. 즉, 결혼 생활 중에 금욕해야 했다. 여기서 드러나는 남성의 금욕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그보다 넓은 문화 속에 널리 퍼져 있던 것이었다. 

중요한 점은 그것이 남성의 힘을 읽어 내는 한 가지 가능한 방식이었다 는 것이다. 이렇게 읽는 경우 정력은 성적 능력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성적 욕망에 대한 남성의 통제력으로 표현되는 것이었다. 

p. 286


마리아의 제사장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주장은 서방교회에서도 발견되는데, 예를 들면 보나벤투라(Bonaventure), 알베르투스(Albert the Great), 쟝 게르송(John Gerson) 등과 같은 신학자들이 그들이다. 그러나 당시 남성 성과의 연결이 공인되어 있던 사제의 목회와 한 여성의 몸을 (그 몸이 영원한 동정녀의 몸이라고 하더라도) 너무 밀접하게 연결짓는 일의 위험성은 사라지지 않았다. 따라서 수많은 목소리가 마리아를 사제의 목회로부터 멀리 떼어내려고 노력했다. 

만일 마리아가 제사장직을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면 이는 남성들에 의해서만 행사되던 목회적 사제직으로부터 구분되어야만 했다. 이런 구분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방식 가운데 하나가 마리아의 제사장직이라는 너무나 직설적인 언어를 이보다 넓은 성찬식 관련 담론으로 바꾸는 것이었다. 

p. 300


추천의글


테레사 베르거 박사는 젠더의 관점으로 예배의 역사를 다시금 살피고 재해석함으로써, 이 책의 부제처럼 예배의 과거에 드리워진 베일을 벗겨야 함을 강조한다. 예배는 기억에 관한 것이고, 좀 더 신실한 예배를 위해서는 기억이 가려지면 안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젠더의 관점으로 예배의 역사를 재해석해야 하는 당위성을 많은 문헌을 치밀하게 연구하고,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들을 들추면서 흥미진진하고 설득력 있게 주장한다. 베르거 박사의 『예배, 젠더 역사를 만나다』는 예배의 역사를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하나의 훌륭한 모델이 되리라 생각한다.

최승근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예배설교학 교수


젠더 장벽을 공고히 했던 역사적 문헌들을 제시하며 재해석할 때, 베르거는 젠더 장벽에 갇힌 기독교 예배 전통을 허물려던 동시대의 목소리들도 함께 소개했다. 젠더 갈등이 초절정에 달한 시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이러한 자료는 새로운 출구가 된다. 베르거는 이 책의 결론에서 우리의 예배 안에 가려진 인간의 베일들을 걷어 내고, 모든 것을 포용하고 회복시켜 주시는 하나님 나라의 베일을 다시 쓰자는 비전을 제시한다. 나는 이 책을 예배 리더쉽을 갖고 있는 신학자, 목회자, 신학생, 그리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평등·평화의 예배를 꿈꾸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권한다.

김명실 박사︱영남신학대학교 예배학 교수


상품정보고시

상품정보고시입니다.
저자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크기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쪽수 전자책의 경우 제외
제품 구성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출간일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목차 또는 책소개 상세화면 표시
테레사 베르거
테레사 베르거(Teresa Berger)는 미국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 예배학 교수이다. 예일대학교 부속 성음악연구소(Institute of Sacred Music)의 출판 편집인이기도 하다. 테레사 베르거는 독일 태생으로 영국에서 신학사(LTH), 독일에서 예배학과 조직신학을 전공화여 2개의 신학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교수자격논문(Habilitation)도 제출하며, 독일과 미국에서 신학여정을 계속했다. 듀크대학교를 거쳐 2007년부터 예일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예배 관련 유명한 블로그인 “Pray Tell”에 규칙적으로 예배기도문을 올리며 온라인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 Gender Differences and the Making of Liturgical History (2011), Fragments of Real Presence (2005), Dissident Daughters: Feminist Liturgies in Global Context (2001), Liturgy’s Imagined Pasts (2016), The Spirit in Worship?Worship in the Spirit (2009)
평점 0 매우 별로예요! 총 0건 평가 기준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상품관련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립니다.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상품Q&A쓰기

배송 관련정보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교환/환불 관련 정보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
파본상품은 반품/교환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유선전화나 게시판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주문취소
•주문상품  취소는 "입금확인중(전체취소만 가능)/결제완료(부분취소도 가능)" 단계에서만 가능합니다.
•"입금확인중" 단계에서는 부분취소가 되지 않사오니 부분취소를 원하시면 전체취소후 재주문 주셔야 합니다.
•무통장 및 가상계좌 결제의 경우 주문일 기준으로 15일이후까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주문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반품/교환
•받으신 상품을 사용하지 않으신 경우, 출고완료 후 7일 이내에 반품이 가능합니다.
•주문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 "마이페이지>취소/반품/교환신청"메뉴에서 반품/교환신청이 가능합니다.
•교환은 상품불량 및 오배송 시에만 동일제품에 한하여 교환됩니다.다른 상품으로 교환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기 원하시면 반품후 새로 주문해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변심에 따른 반품의 경우 편도/왕복 배송비가 부과되며 배송료는 고객 부담입니다.
-전체반품시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미달일경우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이상일경우 편도배송비 부과


※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시즌 상품의 경우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습니다.꼭 숙지해 주세요.(월간지/다이어리/절기공과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교재/악보/음반 및 멀티미디어 등)경우 성경공부교재 및 악보는 받으신 이후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으며 음반 및 멀티미디어의 경우 포장을 훼손한 경우 반품/환불이되지 않습니다.
•인쇄성경/스프링제본 등과 같이 고객 요청으로 별도제작된 상품인 경우
•고객님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단, 가전제품, 음반 등의 일반 상품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가지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 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비닐로 랩핑된 상품의 경우 비닐을 뜯으시면 반품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