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직분자가 알아야 할 7가지 (건강한 교회 세움 시리즈 2)
. | 세움북스
17,000 15,300원
건강한 교회성장학
김영종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5,000 13,500원
도시를 어떻게 구원할 것인가
김승환(3) | 새물결플러스
14,000 12,600원
죽은 교회를 부검하다
톰 레이너 | 두란노
11,000 9,900원
살아나는 교회를 해부하다
톰 레이너 | 두란노
13,000 11,700원
(건강한 교회 만들기 시리즈 02) 건강한 교회 교인의 10가지 특징
타비티 M. 얀야빌리 | 부흥과개혁사
14,000 12,600원
[개정증보판] 청년 리더 사역 핵심파일
양형주 | 홍성사
16,000 14,400원
세상의 선물이 되는 교회 (건강한 교회 세우기 시리즈 실천편 3 : 사회 구성원 차원)
백광훈 | 크리쿰북스
10,000 9,000원
교회친구다모여 소셜미디어 사역을 부탁해
황예찬 | 두란노
17,000 15,300원
(단단한 기독교 20) 교회란 무엇인가
김덕종 | 좋은씨앗(도)
8,000 7,200원
존재만으로 특별한 다문화 교회
신치헌 | 이레서원
17,000 15,300원
빅스텝 한국교회
이윤성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7,000 15,300원
왜 대형 교회는 추락하는가
구권효 | 뉴스앤조이
20,000 18,000원
미래교회 REVIVAL
옥수영 | 쿰란출판사
14,000 12,600원
5무 교회가 온다
황인권 | ikp
19,800 17,820원
올바른 진리는 우리를 생명의 길로 인도한다. 반면에 거짓된 진리는 멸망의 길로 인도한다. 문제는 겉으로는 올바른 진리인 것 같지만 실상은 거짓된 가르침이다. 이를 분별하지 못하면, 미혹되어 멸망의 길을 생명의 길로 확신하고 걷게 된다. 처음은 같은데, 끝이 다르다는 “이단”이라는 말의 뜻도 이를 잘 드러내 준다.
저자는 교묘한 이단의 가르침을 따라 한동안 누구보다 그 길에 앞장서다가 하나님이 은혜로 돌이켜, 올바른 진리의 길을 걷게 된 경험을 했다. 이에 누구보다도 거짓되고 미혹된 가르침의 폐혜를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한 사람이라도 자신과 같은 피해를 당하지 않기 위해, 나아가 한국교회의 건강한 성장과 성숙을 위해 자신의 경험을 신학적 수련을 거친 분별력과 변증으로 이해하기 쉽게 풀어 놓았다.
저자의 방대하지만 명쾌한 신학적 논증과 실증적 증언은 많은 추천인들의 지지로 뒷받침되고 있다. 독자들은 본 서를 통해 지방교회의 거짓된 주장을 드러내는 성경적 진리에 대한 분별력을 키우고, 올바른 진리에 대한 확신을 얻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서는 혹시라도 잘못된 길을 걸어가고 있는 지인들이 그 길에서 돌이킬 수 있는 한줄기 빛이 될 것이다.
추천의 글들 06
들어가는 말 33
내가 이 글을 쓰는 이유 37
I부 지방교회의 역사와 현황
1. 지방교회의 약사(略史) 53
2. 지방교회의 교리: 지방교회는 무엇을 믿는가? 87
3. 이단(heresy)이란 무엇인가? 100
4. 지방교회 지도자들: “성경적 지적 해준다면 겸손히 따르겠다?” 111
5. 워치만 니(Nee)와 위트니스 리(Lee)의 신학적 배경 115
II부 지방교회의 신학과 교리
1. 신론: 삼일 하나님(Triune God) vs 삼위일체 하나님(Trinitarian God) 145
2. 기독론: 그리스도에 대한 가르침 174
3. 인간론: 인간의 구조와 죄 184
4. 구원관: 인간은 어떻게 구원을 받을 수 있는가? 270
5. 신인합일사상(神人合一思想: 神化思想: Deification Theory) 302
6. 교회관: 무엇이 교회인가? 322
7. 4위1체라는 해괴한 교리를 만들어낸 위트니스 리 362
8. 종말론 371
III부 지방교회의 열매
1. 지방교회를 오랫동안 경험하고 탈퇴한 분들의 증언 387
2. 지방교회 지도자들의 부도덕한 열매 396
IV부 지방교회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1. 결론: 지방교회는 영지주의적, 도덕폐기론적 이단이다 415
2. 지방교회 대처 노하우: 우리는 지방교회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431
참고문헌 443
p. 33
현재 우리나라에는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이단과 외국에서 들어온 이단이 혼재하고 있다. 천부교, 통일교, 신천지, 안상홍증인회, JMS(정명석), 만민중앙교회(이재록), 은혜로교회(신옥주)는 우리나라에 서 생겨난 이단이다. 몰몬교와 제7일 안식교, 여호와의 증인은 미국에 서 들어온 이단이다. 오대양 사건과 세월호 사건의 배후로 알려진 구원파도 형제교회 출신의 미국인 자칭 선교사 딕 욕(Dick York)에 의해서 도입된 이단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구원파와 사상적(신학적) 맥을 같이하는 지방교회(the local church: 회복교회)와 전능하신 하나님의 교회 (동방번개)는 중국에서 들어온 이단이다
p. 35
지방교회는 단순한 이단이 아니다. 그들은 대외적으로 정통 기독교와 동일한 복음주의 신학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자신들을 위장하고, 대내적으로는 기독교 자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부정하는 심각한 이단 집단이다. 그런데 그들에게 미혹되어서 지방교회에 동조하거나 지지하는 목사들이 나오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성경은 진리의 영과 미혹의 영(spirit of deception: 사기의 영)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한국교회는 지방교회가 미혹의 영에 속한 이단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p. 38
나는 지방교회의 교주 위트니스 리(Witness Lee)를 비롯해 어느 지도자에게도 개인적인 감정을 가질 이유가 없으며, 다만 이 집단의 가르침이 어떻게 신학적으로 정통신학을 탈선하고 있는지를 알려주어야 한다는 책임감 때문에 이 책을 썼음을 밝힌다.
p. 45
이 책은 독자들이 궁금할 수 있는 지방교회의 역사적 배경과 그들의 교리적 문제점을 주로 다루지만, 독자들은 그 지도자들의 윤리적인 열매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를 얻게 될 것이다. 독자들은 이 글을 다 읽고나면 지방교회의 실체를 알게 될 뿐 아니라 왜 한국의 여러 교단에서 지방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했는지를 확실히 분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p.49
이 책은 지방교회의 실체에 대한 종합적 평가다. 책 후미에 나오는 참고도서 목록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나는 지방교회 평가과정에서 나의 주관적 선입관을 최대한 배제하려고 노력했다. 이단은 지도자와 그의 가르침, 그리고 추종자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나는 이 책에서 Lee와 그의 가르침, 그리고 집단이 보이고 있는 집단적 징후를 평가했다.
p.63
현재 중국내에서 활동하는 주요 이단은 ‘호함파’(呼喊派; 이상수 李常受, 위트니스 리: Witness Lee) ‘동방번개’(東方閃電) ‘중생파’(重生派, 곡파哭派; 서영택 徐永澤) ‘삼반복인’(三班僕人) ‘부름받은 왕’(被立王: 피립왕파) ‘육신성도’(肉身成道) ‘제자회’(문도회 門徒會; 허삼贖부부) ‘사도신심회’ (使徒信心會) ‘영영교’(靈靈敎) ‘모든 물건 통용파’(凡物公用派)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한국에서 들어간 통일교와 세계엘리야복음선교회(한농복구회), 구원파(박옥수) 등도 사교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p.73
지방교회가 한국교회에 문제로 등장한 것은 바로 권익원(王重生)이 사망한 1980년대라 할 수 있다. 지방교회는 그 확장방법에서 주로 기성 교회 교인들을 포섭한 뒤 그들의 독특한 교리를 가르쳐 마침내 기존 교회를 등지게 함으로 정통교회들과 끝없는 마찰을 빚어오고 있다. 그래서 이단 전문가 허호익(2016) 교수는 지방교회를 ‘교회론적 이단’으로 분류한 바 있다.
P83
미주의 대부분의 신학자들은 지방교회의 이단성을 지적한다. 2007년 달라스(Dallas) 신학교의 대럴 복(Darrell Bock); 덴버(Denver) 신학교의 명예교수 고든 루이스(Gordon Lewis), 사우스웨스턴(Southwestern) 침례신학교의 페이지 패터슨(Paige Patterson) 전 총장; 그리고 웨스턴(Western) 신학교의 전 총장 얼 라드마허(Earl Radmacher) 등 60명의 복음주의 지도자들은 지방교회 측에 Lee의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교리들을 철회하라고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발표한 적이 있었다.
p. 90
지방교회의 모든 교리와 사상은 Nee와 Lee의 개인적인 견해와 사상을 절대적으로 추종하고 있으며 그들을 ‘사도’라고 부른다(지방교회 내에서는 위트니스 리를 Brother Lee라고 부른다). 그들은 대외적으로 말할 때 성경대로 따른다고 하지만, 막상 Lee의 개인적 주장을 그대로 따르고 있을 뿐이다. Lee가 Nee의 가르침을 다르게 변질시킨 것은 사실이지만, 문제는 Nee 또한 교회론과 인간론, 구원론 등에서 심각한 이단성의 문제가 발견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이인규, 2017).
p.92
지방교회의 교리는 언뜻 보면 정통인 것 같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거짓이 너무 많다(유사종교연구회, 1994; 원세호, 2002). 우선 지방교회는 우리가 소유한 성경이 아닌 ‘회복역’(Recovery Version)이라는 경전을가지고 있다. 마치 여호와의 증인이 ‘신세계역’(New World Translation)을 이용하듯이 지방교회는 이미 자신들의 교리와 주장에 맞게 성경도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1992년 ‘새 복음찬송’을 발행하여 정통기독교와 다른 찬송가를 부르고 있다(150곡 중 107곡은 낯선 가사로 되어있다).
p.98-99
이들의 문제점은 양태론적 삼위일체, 사람이 하나님과 같이 된다는 신인합일주의 신화사상, 예수님이 인성으로는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었다는 그리스도의 양성의 분리, 자신들만이 유일한 참 교회라는 배타성 등으로 예수교장로회(고신, 1991)와 기독교대한성결교회 등에서 이단성 단체로 규정되었다(정윤석, 2017).
지방교회는 하나님과 그리스도, 인간, 죄, 구원, 교회, 종말 등에 관한 교리에 대하여 역사적인 정통 기독교의 가르침과 거리가 먼 ‘다른 교훈’(false doctrine: 거짓된 교리)을 가르치고 있다. 지방교회는 교리적으로나 구조적으로 이단적이다(Martin, 1980).
한국교회에는 크게 4가지 계열의 이단이 있다. 통일교 계열의 이단, 천부교 계열의 이단 그리고 지방교회에 뿌리를 두고 있는 두 개의 이단 즉, 구원파 계열의 이단과 귀신파 계열의 이단이다. 위 세 가지 위에 하나를 더 첨가한다면 신비주의 계열의 이단인데 그 뿌리 역시 이 지방교회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 속에 『지방교회의 실체』라는 책을 정동섭 목사님께서 쓰셨다는 점이 교회사적으로 그 의미가 매우 크기에 본인은 기쁜 마음으로 온 맘 다해 이 책을 추천하는 바이다.
최삼경(『교회와신앙』 편집인, 빛과소금교회 담임 목사)
구원파와 다락방 같은 이단은 그 피해가 심각하면서도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구원파와 다락방은 그 뿌리가 되는 지방교회의 사상과 교리를 알면 그 이단성이 쉽게 드러납니다. 지방교회 뿐만 아니라, 구원파와 다락방의 이단성을 알고자 하시는 분에게는 이책을 꼭 필독하실 것을 권해드리며, 또 현재 구원파나 다락방에 속해 있는 신도들도 이 책을 읽으면 진실을 분별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합니다.
김성한(대한예수교장로회 합신 단사이비대책위원장)
이 책을 통해서 아직도 중국과 우리나라에 영향력을 크게 미치고 있는 워치만 니의 사상의 문제점을 모든 사람들이 잘 깨닫고, 특히 그가 강조한 인간 구성에 대한 삼분설적인 이해와 이에 근거한 구원론이 모두 청산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 일을 하기에 정동섭 교수님은 가장 잘 준비된 학자이시기에 이 책을 모든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이승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저자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
크기 |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
쪽수 | 전자책의 경우 제외 |
제품 구성 |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
출간일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목차 또는 책소개 | 상세화면 표시 |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