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성장 남성리더십으로 승부하라 - 온누리교회 따라잡기
이상수 | 생명의말씀사
9,000 8,100원
(밀알 아카데미 12) 신학이 변해야 교회가 산다
필립 클레이튼 | 신앙과지성사
12,000 10,800원
교회를 꿈꾼다
김형국(하나복네트워크) | 비아토르
12,000 10,800원
(Emotionally Healthy 시리즈 3) 정서적으로 건강한 교회
피터 스카지로 | 두란노
18,000 16,200원
교회 하나님의 비밀
조경호 | 생명의말씀사
15,000 13,500원
교회선생님의 힘
홍민기(1) | 규장
13,000 11,700원
존재만으로 특별한 다문화 교회
신치헌 | 이레서원
17,000 15,300원
빅스텝 한국교회
이윤성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7,000 15,300원
왜 대형 교회는 추락하는가
구권효 | 뉴스앤조이
20,000 18,000원
미래교회 REVIVAL
옥수영 | 쿰란출판사
14,000 12,600원
싱글 미니스트리
탁영철(2) | 두란노
20,000 18,000원
영세교회 사랑 이야기
김태수 | 쿰란출판사
15,000 13,500원
교회 개척 사용 설명서
이태진(2) | 세움북스
12,000 10,800원
이제 이 길밖에 없습니다
김대동 | 브니엘(도)
18,000 16,200원
부흥의 파도를 타라
박규태 | 비블리아
15,000 13,500원
한국교회의 새로운 이정표, 마을목회를 말하다
지금은 문명전환의 시대이다.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생태환경 파괴로 인한 기후위기, 연령별·종교별 인구 변동, 신냉전시대로 인한 평화의 위협 등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급변하는 삶의 자리에서 하나님 나라의 가치와 생명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 것인지는 교회와 신학이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야 할 과제이다.
『마을목회 유형별 사례와 신학적 성찰』은 어떻게 하면 교회가 본래적 사명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시대의 비전과 희망을 찾을 수 있겠는가 하는 신학적이고 목회적인 고민으로부터 출발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교회의 본래적 사명은 오직 영적 구원만을 위해 헌신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 안에 현존하면서 “모든 도시와 마을에 두루 다니사” 가르치고, 전파하며, 고치는 사역을 행하신 예수의 지상사역을 계속 실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마을 안에서, 마을 사람과 더불어, 마을을 위해 사역하는 것이다.
이 책을 기획한 ‘가정·교회·마을연구소’는 교회를 통하여 가정을 살리고, 지역사회와 세상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해갈 수 있도록 이론을 연구하고 현장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016년에 세워진 연구기관이다. 교회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소 측은 ‘교회의 본질적 사명을 실천하는 교회가 이 땅에 아직도 실제로 존재할까?’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었고, 이러한 질문은 실제 마을목회를 하고 있는 교회들의 사례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데로 이어졌다. 이 일을 위해 가정·교회·마을연구소, 총회한국교회연구원(예장통합), 한국얌스펠로쉽이 함께 힘을 모았다.
이 책은 전국에서 마을의 친구가 되고, 마을의 변화를 함께 이끌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의 가치가 실현되도록 애쓰고 있는 교회들의 다양한 사례를 담고 있다. 목회자의 믿음과 영성과 헌신으로 시작하여 성도들의 잠재된 자원들을 발굴하고, 지역사회 및 주민들과 긴밀하게 교제하며 함께 서로 협력하여 복음을 교회 안에서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선교적 교회들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이 책이 보다 특별한 점은 하나의 교회를 목회자와 신학자가 함께 연구하고 저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목회자는 자신이 목회하는 교회 현장 이야기를 스토리텔링으로 서술하고, 신학자는 그 내용을 근거로 교회가 걸어온 길과 활동의 신학적 의미를 연구했다. 목회자와 신학자가 한 교회를 두고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면서 함께 집필하는 방식은 기존의 신학과 현장이 분리되어 있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현장을 새롭게 이해하고 해석해줄 뿐 아니라, 한국교회에 목회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모색하는 중대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이 책에 소개된 교회들은 모두 교회를 건물 안에 가두지 않고 지역사회와 열린 관계로 친밀한 협력을 통해 아름답고 행복한 마을을 만들어간다. 지역에서 시작한 풀뿌리 목회, 마을목회, 선교적 교회, 생명공동체운동이라는 다양한 이름으로 진행되는 교회와 마을의 이야기는 교회뿐 아니라 우리 사회에, 그리고 전 세계교회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큰 도전과 희망이 될 것이다.
이 책은 단순한 목회 이론서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목회 현장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적 안내서라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구체적 사례를 바탕으로 마을목회를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지를 함께 이해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 책은 한국어 출판과 함께 영국 래그넘출판사에서 영문으로도 발간되어 세계교회에 소개될 예정이다.
발간사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두에게_가정·교회·마을연구소, 총회한국교회연구원, 한국얌스펠로쉽ㆍ5
추천사 1 교회와 목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기를_안광수ㆍ8
추천사 2 신학자와 현장 목회자의 협력이 돋보이는 책_조재호ㆍ10
추천사 3 한국교회의 새로운 이정표, 마을목회_김순미ㆍ12
편집자의 글 마을목회가 쏘아올린 희망_조은하, 한국일ㆍ14
제1부 시대의 징조와 신학적 대응
제 1장 생명문명 생명공동체를 향한 순례_박성원
1. 탄식의 노래ㆍ45
2. 피조물의 탄식ㆍ51
3. 피조물을 탄식하게 하는 것들ㆍ54
4. 구속을 갈망하는 피조물들의 몸부림ㆍ56
5. 피조물의 평화, 피조물과의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신학적 자성ㆍ60
6. 어떻게 할 것인가ㆍ64
7. 새로운 신학적 틀과 새로운 목회학의 창출ㆍ65
8. 현대 문명의 딜레마에 대한 신학적 대안의 출발ㆍ67
9. 생명공동체의 우주적 목회를 위한 구체적 제안ㆍ70
1) 생명공동체 신학의 정립|2) 창조신학적 관점에서 성서 이해|3) 생명공동체의 우주적 목회학|4) 생명농촌 목회자|5) 생명공동체 교회|
6) 생명공동체 기독교교육|7) 생명공동체 선교와 봉사|8) 생명공동체 세계 선교|9) 생명공동체 예술과 문화|10) 생명동산, 생명사회 건설
10. 갈무리하면서ㆍ80
제2장 21세기 지구촌의 상황과 공동체적 행복을 강조하는 마을목회_노영상
1. 오늘의 지구와 세말의 징조ㆍ82
2. 여타의 사회적 위기와 한계선상에 선 교회ㆍ84
3. 오늘의 생명멸절 위기에 대한 신학적 반성ㆍ86
4. 사랑의 실천성을 강조하는 마을목회ㆍ88
5. 마을을 교회 삼고, 주민을 교인 삼는 목회ㆍ90
6. 마을목회와 마을기업ㆍ92
7. 마을목회와 마을학교ㆍ95
8. 마을목회와 마을환경지킴이ㆍ97
9. 마을목회와 마을병원ㆍ99
10. 마을목회와 마을은행ㆍ100
11. 마을목회와 마을센터ㆍ102
12. 지역사회복지로서의 '마을복지'ㆍ104
13. 마을목회의 중심이 되는 마을교회ㆍ105
14. 마을목회의 미래ㆍ107
제2부 도시교회
공명교회 이야기: 나의 삶이 닿아 너의 삶이 되는
목회 맞울림되는 공명교회_백흥영ㆍ114
1. 선교를 꿈꾸던 두 목회자, 양평을 선교지로ㆍ114
2. 마을이 곧 나의 교구, 맞울림을 지향하는 공명교회ㆍ117
3. 맞울리는 공명교회와 책보고가게ㆍ119
1) 준비 단계|2)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책보고가게'
4. 공명교회ㆍ127
1) 교회공동체|2) 다음세대를 세우는 공동체
5. 공명교회의 과제와 지향점ㆍ130
신학 관계적 삼위일체론을 구현하는 선교적 교회_이병옥ㆍ133
1. 선교가 교회보다 앞선다: 선교적 교회ㆍ134
2. 하나님의 선교에 공명하다: 공명교회의 시작ㆍ137
3. 공명교회: 공동체 됨ㆍ140
1) 예배|2) 가정예배|3) 성경공부와 양육 프로그램|4) 리더십 구조
4. 책보고가게ㆍ147
5. 신학적 성찰ㆍ151
1)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에 공명하는 교회|2) 근접 공간으로서 책보고가게: 사랑방 같은 곳|3) 모이는 교회와 흩어지는 교회의 긴장과 조화
6. 나가며ㆍ158
성암교회 이야기: 다시 새롭게 교회를 사랑하기
목회 성암교회의 교회론적 전환과 사역 개발_조주희ㆍ160
1.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첫걸음ㆍ160
2. 교회의 변화를 위한 모색ㆍ162
1) 컨설팅 선택|2) 담임목회자의 역할|3) 교회론적 회심
3. 선교적 교회를 향하여: 컨설팅 기법 도입ㆍ170
1) 컨설팅의 목적과 방향|2) 컨설팅의 네 가지 영역|3) 개발한 사역
4. 지역을 통해서 교회의 미래를 보다ㆍ182
5. 맺으면서ㆍ183
신학 전통 교회에서 선교적 교회로의 전환: 성암교회 사례 분석_황인성ㆍ185
1. 서론ㆍ185
2. 변화의 토양ㆍ186
3. 변화의 계기ㆍ188
4. 변화의 내용ㆍ188
1) 선교적 교회론의 지향점|2) 이중언어로의 전환|3) 부정이 아니라 보완이다|4) 이미지를 활용한 점진적 교회론의 변화|5)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5. 운동 주체의 변화ㆍ197
1) 목회자의 리더십: 통제적 리더십에서 퍼실리테이터로|2) 통합적·선교적 리더십|3) 성도와 지역 주민의 주도
6. 변화의 도구로서의 대화ㆍ202
1) 전통 교회 내 대화의 방식|2) 열려 있는, 진정성 있는 태도|3) 지속적인 소통|4) 외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격려
7. 결론ㆍ207
명성교회 이야기: 죽음을 생명으로, 고통을 희망으로
목회 경계를 넘어 이웃과 함께하는 명성교회 이야기: 지역사회의 아픔을 치유하는 교회_김홍선ㆍ210
1. '건강한 교회 바른 목회'를 향하여ㆍ210
1) 나의 마을목회 이야기|2) 균형 잡힌 목회자가 되어야 한다|3) 이웃을 향한 사랑 표현, 나눔
2. 우는 자들과 함께 울라: "잊으면 또 침몰합니다"ㆍ218
3. 결론: 마을목회의 핵심과 평가ㆍ222
1) 마을목회에 대한 접근|2) 마을목회를 위한 공동체의 고백 세우기
3) 세월호 치유 회복을 위한 마을목회에 대한 평가
신학 '참 좋은 교회' 명성교회의 마을목회_조은하ㆍ232
1. 마을목회를 향한 꿈ㆍ232
2. 선교적 교회로서 명성교회 마을목회의 특징ㆍ236
1) 웨슬리의 사회적 복음 정신을 실천하는 감리교회|2) 하나님 백성 공동체: 하나님의 선교를 실천하는 선교적 교회|3) 신앙적 가치와 사회 적 가치의 통전성을 지향하는 교회|4) 종교적 공간을 사회적 공간과 공유하며 마을과 함께하는 교회|5) 역사의식과 영성을 통합하는 교회|6) 여성과 평신도 지도력을 세우는 교회|7) 기후위기 시대, 생명 살림을 실천하는 교회|8) 마을에서 '참 좋은 교회'로 소문난 교회
3. 명성교회, 어떻게 '참 좋은 교회'로 존재할 수 있었는가ㆍ254
4. 바른 목회, 건강한 교회를 향하여ㆍ256
새롬교회 이야기: 통합적 생명 돌봄망 만들기
목회 코로나 재난기 작은 교회의 마음의 생태계와 뜻밖의 성령의 추수_이원돈ㆍ258
1. 코로나 이후 '약대동 통합돌봄 마을'로 가는 길ㆍ258
2. 문명 전환기를 겪는 작은 마을교회의 마음의 생태계ㆍ260
1) 탈성장·탈교회 문명 전환기의 작은 마을교회의 마음의 생태계|2) 작은 교회가 마주한 공중권세와 마을교회|3) 가정과 교회와 마을을 잇는 새로운 마음의 생태계
3. 전혀 예상치 못한 길로 인도하시는 성령ㆍ268
1) 코로나 기간 중 약대동에 일어난 일|2) 세대공감 한글교실과 노래교실|3) 수요성서학당|4) 추수감사절과 가을돌봄문화소축제|5) 약대동 돌봄마실(마을심방)
4. 우리는 왜 마을목회협동조합을 세우는가ㆍ272
5. 결론: 예상치 못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뜻밖의 추수ㆍ274
신학 새롬교회의 마을목회에 대한 이해_황홍렬ㆍ281
1. 들어가는 말ㆍ281
2. 지역사회 선교에서 마을목회로의 전환ㆍ282
1) 지역과 아동의 시기(1986-96)|2) 가족과 마을의 시기(1997-2012)|3) 생명과 협동의 시기(2013-이후)
3.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새롬교회의 마을 목회 이해ㆍ297
1)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2) 문화와 복음과 교회의 삼자 대화|3) 선교적 지역교회의 신학함과 선교활동|4) 선교적 목회자의 리더십
4. 마을목회의 유형에서 본 새롬교회의 마을목회 이해ㆍ308
5. 새롬교회 마을목회의 특징과 과제ㆍ311
1) 새롬교회 마을목회의 특징|2) 새롬교회 마을목회의 과제
6. 나가는 말ㆍ315
한남제일교회 이야기: 교회는 지역을 섬기고, 지역은 교회를 살리고
목회 한남제일교회의 선교적 목회관 및 리더십: 선교하는 예수공동체 '그리스도의 삼중직 목회'_오창우ㆍ318
1. 시작하면서: 나의 이야기ㆍ318
2. 선교하는 예수공동체ㆍ322
1) 한남제일교회의 비전 2) 선교적 목회관
3. 목적으로서의 제사장 교회ㆍ324
1) 목적으로서의 제사장 교회의 사역|2) 목적으로서의 제사장 교회의 운영원칙
4. 사명으로서의 선지자 교회ㆍ328
1) 시설 위탁운영 사역|2) 긍휼 사역|3) 문화교실 사역|4) 이주민 사역|5) 마을공동체 사업 사역|6) 사명으로서의 선지자 교회 사역의 세 가지 원칙
5. 자세로서의 왕의 교회ㆍ340
1) 섬김의 왕의 자세|2) 지역사회와 함께 섬기기|3) 참여자들을 존중하며 높이는 자세|4) 섬김의 왕의 사역|5) 자세로서의 왕의 네 가지 운영 원칙
6. 선교적 교회를 위한 노력과 어려움과 대안ㆍ346
1) 선교적 교회를 위한 노력|2) 선교적 교회, 마을목회의 어려움|3) 선교적 교회의 대안: 그리스도의 삼중직에서 길을 찾다
7. 결어: 마을목회는 살리기 목회이다ㆍ357
신학 지역사회를 섬기는 마을목회_정원범ㆍ360
1. 들어가는 말ㆍ360
2. 마을과 마을목회의 기본 개념ㆍ361
1) 마을의 의미|2) 마을목회의 의미와 실천 배경|3) 마을목회의 목적과 원칙|4) 신학적 성찰
3. 마을목회의 신학적 기초ㆍ367
1) 교회론적 기초|2) 기독론적 기초|3) 신학적 성찰
4. 마을목회의 장애물 넘기ㆍ371
1) 교회 내적 장애물|2) 교회 외적 장애물|3) 신학적 성찰
5. 마을목회의 내용ㆍ374
6. 마을목회의 성과 및 과제ㆍ376
1) 마을목회의 성과|2) 마을목회의 과제|3) 신학적 성찰
7. 나가는 말ㆍ384
수원성교회 이야기:교회 밖에서 눈부시게 일하는 일꾼ㆍ388
목회 하나님의 나라를 세상 속에서 실현하는 교회: 사회선교사제도를 중심으로_안광수, 남기업
1. 수원성교회 목회 이야기ㆍ388
1) 전도|2) 양육|3) 일꾼으로 세움|4) 하나님 나라 만들기
2. 수원성교회 목회원칙ㆍ392
1) 평화 목회|2) 균형 목회|3) 훈련 목회
3.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세상에 심으려고 노력하는 교회ㆍ394
1) 한국교회 최초의 사회선교사제도|2) 4·16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 함 께하는 활동
4. 마치며ㆍ406
신학 평화와 균형과 훈련을 추구하는 교회_이명석ㆍ407
1. 들어가는 글ㆍ407
2. 담임목사의 생애에 대한 연구: 생애사 연구방법론적 접근ㆍ409
1) 고향의 기억|2) 어린 시절, 아버지에 대한 인상|3) 예수를 믿게 된 동기|4) 신학교 전도사 시절
3. 역사적·지리적·사회적 위치 안에서의 수원성교회ㆍ414
1) 수원의 전근대적 성격|2) 변방성과 역동성을 공재한 수원 율전동
4, 수원성교회의 네 가지 목회 원리ㆍ417
1) 전도: 국내 전도, 세계 전도|2) 양육: 제자 훈련|3) 일꾼으로 세움|4) 하나님 나라 만들기
5. 수원성교회의 세 가지 목회 원칙ㆍ432
1) 평화 목회|2) 균형 목회|3) 훈련 목회
6. 수원성교회: 평화와 균형과 훈련을 추구하는 교회ㆍ442
7. 나가는 글: 제언ㆍ444
제주사랑교선교회 이야기: 함께하는 힘, 지역 에큐메니즘
목회 지역 복음화를 위한 제주사랑선교회의 선교활동에 대한
신학 선교학적 고찰_서성환, 한국일ㆍ448
1. 서론ㆍ448
2. 제사선의 문제의식과 출발점: 제주도의 역사적·종교적·문화적 특징ㆍ450
3. 제사선의 선교활동에 대한 선교학적 고찰ㆍ453
1) 선교회로서 제사선의 특성과 역할|2) 교회와 목회자들의 친교|3) 변화와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4) 선교적 교회 운동|5) 지역 에큐메니즘: 제주 복음화를 위해 자생적으로 결성된 선교연합운동|6) 제사선을 이끌어가는 리더십|7) 제사선 회원들이 말하는 제사선의 열매와 한계
4. 결론ㆍ476
제3부 농촌교회
도심리교회 이야기: 알아가고 반응하며 신뢰하고 함께 꿈꾸기
목회 삶과 행동으로 실천한 선교: 지역공동체와 교회_홍동완ㆍ482
1. 나의 성장과정ㆍ482
2. 나의 두 주인ㆍ486
1) 하나님|2) 또 다른 나의 주인
3. 소중히 간직하고 있는 나의 영성ㆍ492
1) 행동하는 영성|2) 지속성
4. 지역공동체가 하나님 나라 공동체로 가는 네 계단ㆍ496
1) 알아가는 계단|2) 반응하는 계단|3) 서로 신뢰하는 계단|4) 함께 꿈꾸는 계단
5. 결론: 들풀처럼ㆍ513
신학 마을공동체를 세워가는 교회: 도심리교회에 대한 선교학적 평가_조해룡ㆍ517
1. 들어가는 말ㆍ517
2. 마을교회', 마을과 함께하는 교회'에 대한 선교학적 고찰ㆍ520
1) 마을공동체운동의 개념ㅊ2) 마을공동체운동의 역사적 패러다임|3) '마을목회'의 선교적 교회 운동의 적합성
3. 선교사 홍동완 목사의 선교적 삶과 사상ㆍ527
1) 선교하는 하나님 백성의 모형|2) 홍동완 목사의 하나님의 선교: 포테이토 신학, 타자를 향한 사랑|3) 선교적 영성
4. 마을공동체로서 도심리교회의 선교적 정체성ㆍ534
1) 선교적 소통: 세상의 목소리 경청하기|2) 선교적 예배 추구: 지역섬 김예배|3) 선교적 리더십: 반장으로서의 역할
5. 선교공동체로서 도심리교회의 선교적 사역ㆍ539
저자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
크기 |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
쪽수 | 전자책의 경우 제외 |
제품 구성 |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
출간일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목차 또는 책소개 | 상세화면 표시 |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