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고객

[개정판] 역사의 거울 앞에서

중세교회사

  • 41
  • 페이스북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확대보기

임원택(1)

소망(도)

2025년 03월 15일 출간

ISBN 9791198817617

품목정보 152*225mm294p

가   격 16,000원 14,400원(10%↓)

적립금 800원(5%)

카드
무이자
혜택보기

배송정보이 상품을 포함하여 15,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준비기간1일 이내 (토/주일/공휴일 제외, 당일 오전9시 이전 결제완료 주문기준) 설명보기

품목코드A000272530

매장현황
설명보기 지점별재고
광화문 강남 일산 구로 의정부 노원
0 0 0 0 0 0
* 주의: 실시간 재고수량이 달라지므로 방문전 전화확인 필수!

판매지수 0

분류 0위 | 종합 0위

단체주문지수 0

분류 0위 | 종합 0위

개별주문(0%) 단체주문(0%)
분류베스트 더보기
  • 1교회사를 관통한 결정적 장면
  • 2기독교형제단의 역사와 믿음
  • 3우리가 몰랐던 1세기 교회
  • 4기독교 교파 한눈에 보기
  • 5(종교개혁 신학명저 총서 2) 황금사..
  • 6바울 교회에서 길을 찾다
  • 7만화 한눈에 읽는 교회사 (하권)
  • 85분 교회사
  • 9청교도 하나님을 온전히 따르는 삶
  • 101세기 교회 예배 이야기 (1세기 기..
수량 상품 수량 1 감소 상품 수량 1 증가

총 합계금액0

상품 상세 정보
바로구매 장바구니 위시리스트
필독! 공지사항

함께 보면 좋은 상품이예요


역사를 살피다 보면 그 속에서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교회 역사도 예외는 아닙니다. 중세교회를 비난하며 들었던 손가락을 중세교회 역사를 곰곰이 되새기는 과정에서 슬그머니 내려놓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중세교회의 일그러진 모습에서 오늘날 한국 교회의 모습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얼굴에 묻은 티 하나를 닦아내거나 조금 흐트러진 매무새를 가다듬더라도 거울 앞에 서야 합니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 교회는 자신의 모습을 제대로 알지도 못한 채 눈에 보이는 성장만을 향해 마냥 달려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교회가 주님의 몸 된 교회의 모습을 되찾으려면 지금이라도 중세교회라는 역사의 거울 앞에서 자신의 진상을 보고 스스로의 모습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자기 모습을 그리 만든 자신의 비뚤어진 삶의 행태를 고쳐야 합니다.

중세교회 역사는 우리의 역사입니다. 기독교회 역사는 초대교회로부터 중세교회를 거쳐 종교개혁기 교회로 면면히 이어져 왔습니다. 말은 그렇게 하지 않지만 실제로는 중세교회 역사를 우리 역사라 여기지 않는 개신교인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교회가 중세 말에 본질이 훼손되는 지경에 이르러 결국 종교개혁이라는 전무후무한 상황을 맞게 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전까지의 중세교회 역사 전체를 송두리째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교황청의 부패와 타락 때문에 중세교회가 쇠락하던 어두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섭리의 손길은 중세교회를 붙들고 계셨고, 하나님의 섭리의 불꽃은 끊임없이 타오르고 있었습니다. 중세교회 역사는 바로 우리의 역사입니다.

만약 중세교회 신앙의 선진들이 악하고 추한 일을 행했다면 우리는 그것을 우리의 죄악과 수치로 여기고 아파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전철을 밟지 않으려 애써야 할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신앙의 소중한 유산은 상당 부분 중세교회 선배들이 물려준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영적 혈관 속에 중세의 피가 흐르고 있습니다.



목차


추천의 글                                                 10

머리말                                                    12


제1장 중세교회 시대는 암흑기인가?                         17

대속교리의 발전                                           20

중세교회를 사용하신 하나님의 섭리                         26


제2장 게르만족 선교                                       30

게르만족의 이동과 서로마제국의 멸망                       31

동로마군의 서유럽 원정                                    37

게르만족 선교                                             40

복음의 서진과 기독교회 주체의 변화                        44

복음에 합당한 정결한 그릇으로 거듭나야 할 한국 교회       47


제3장 교황권의 확립과 신장                                52

교회조직 강화                                             52

성직자 독신제도 강화                                      54

교황권의 우위 주장                                        57

독신제도라는 타산지석                                     64

오늘날 한국 교회의 교계주의                               68


제4장 동·서방교회 분열                                   71

동·서방교회 분열의 작은 원인들                           72

필리오퀘 논쟁                                             74

성상숭배 논쟁                                             75

정치적 대립과 알력의 심화                                 81

동·서방교회의 분열                                       83

한국 교회 분열의 문제                                     85


제5장 교황권과 제왕권의 대립                              89

평신도 성직 서임권 논쟁                                   90

추기경단에 의한 교황 선출 제도                            90

성직매매와 음란 금지                                      92

평신도 성직 서임권 개혁 시도와 왕들의 반발                94

그레고리우스 7세와 하인리히 4세의 대립                    96

카노사의 굴욕                                             98

카노사의 굴욕, 그 후                                      100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버린 그레고리우스의 개혁          101

정교분리                                                  102

목회자가 추구해야 할 참된 권위                            105


제6장 이슬람권의 확장과 십자군 운동                       111

이슬람                                                    112

이슬람 정복 전쟁                                          115

십자군 운동의 계기                                        117

제1차 십자군 원정                                         117

제2차 십자군 원정                                         119

제3차 십자군 원정                                         119

제4차 십자군 원정                                         121

제5차 십자군 원정                                         122

제6차 십자군 원정                                         123

제7차 십자군 원정                                         124

제8차 십자군 원정                                         124

십자군 운동의 결과                                        125

십자군 원정 독려를 위한 면죄부 남발                       127

십자군 원정의 뒤틀린 면면들                               129

오늘날 성전의 허구성                                      134


제7장 중세 수도원 제도와 수도원 쇄신 운동                 138

베네딕투스 수도회                                         139

베네딕투스 수도회의 변화                                  142

수도원 쇄신운동                                           147

프란체스코 수도회                                         150

도미니크 수도회                                           152

수녀회                                                    153

수도원 쇄신운동의 한계                                    154

수도원 운동의 문제점                                      155

참 경건                                                   156

교회보조기관의 역할과 한계                                158

종교개혁 당시 교회 개혁의 필연성                          162


제8장 13세기 경건생활과 성례전 교의                       163

13세기 경건생활                                           166

결혼식과 예배                                             167

오늘날 예배의 본질 훼손 문제                              170

중세 말의 잘못된 관행들                                   171

성찬 논쟁                                                 174

중세의 성례관                                             176

화체설과 사제서품 교리의 교의화                           178

오늘날 한국 교회의 그릇된 목사관                          183


제9장 중세교회의 사회봉사와 대학의 생성                   186

중세교회의 사회봉사                                       186

본받아야 할 중세교회의 사회봉사                           189

중세의 교육과 대학의 생성                                 193

좋은 대학의 요건                                          196


제10장 스콜라신학 1                                       199

스콜라신학의 시대 구분                                    199

안셀무스의 하나님 존재 증명                               201

토마스 아퀴나스의 하나님 존재 증명                        202

하나님 존재 증명 가능성에 대한 토마스의 생각              204


제11장 스콜라신학 2                                       208

보편자                                                    208

플라톤의 이데아                                           209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과 질료                                 210

실재론 · 실념론 · 유명론                                   211

아우구스티누스가 실재론에 끼친 영향                          212

보편자 논쟁                                                  214

중세 말 교회론에 나타난 변화                                 219


제12장 중세 신비주의와 데보치오 모데르나                  221

중세 신비주의와 스콜라신학                                   221

중세 신비주의와 신플라톤주의                                 222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                                        223

데보치오 모데르나                                            226

신비주의의 문제점                                            231

되찾아야 할 올바른 경건 추구                                 234


제13장 교황권의 쇠퇴                                      236

교황권 우위 주장의 망상                                      236

교황청의 아비뇽 유수                                         238

교황청 수입 증대를 위해 고안된 온갖 수단들                   241

15세기 신자들의 신앙생활                                     244

서방교회의 분열과 교황권의 실추                              245

동방교회와 재결합 도모                                       250

아비뇽 교황청 건축과 오늘날의 예배당 건축                    252

성직매매와 교회 분열                                         255

온갖 종류의 헌금과 교인들의 기복신앙                         256

한국 교회를 위한 정직한 기도가 필요함                        258


제14장 중세 종파운동과 종교개혁의 선구자들                259

교회가 처한 상황을 가늠하는 척도인 종파운동                  259

정결파 운동                                                  260

발도파 운동                                                  261

신령파 운동                                                  263

다시 시작된 이단 처형                                        264

종교재판의 가혹함                                            265

중세 이단 처형의 문제점                                      266

사형제도에 대하여                                            267

존 위클리프                                                  270

얀 후스                                                      272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274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274

알프스 이북의 인문주의와 에라스무스                          276

교회의 생명 자체를 위협하는 위중한 상황이 오기 전에…        277

주님의 시간에                                                280


찾아보기                                                     283



추천의글


기독교 교회사의 한 부분인 중세교회사를 기술한다면 중세 유럽의 문화와 사회 속에 존재한 교회의 삶이나 사상 등을 적절히 선별하여 옮겨다 적는 것이 고작이라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그러나 임원택 교수의 「역사의 거울 앞에서」는 책 제목이 말해 주듯이 교회사를 배우고 연구하는 목적이 거기에 우리 교회의 모습, 즉 우리 그리스도인들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 성찰함에 있음을 잘 드러내 줍니다.

저자는 역사적 사건이나 사상 그리고 당시 교회의 삶을 대화체의 쉬운 말로 소개할 뿐 아니라 우리가 일상에서 다양하게 경험하는 사건이나 생각들을 동원하여 설명함으로써 중세의 역사가 옛날 지구 저 편에 있었던 교회 역사의 한 부분이 아니고 오늘 여기에 사는 우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산 역사로 다가오게 합니다.

저자는 역사를 객관적인 관점에서 평면적으로 담담하게 기술하는 방식이 아니라, 독자들이 마치 강의실에서 다른 학생들과 더불어 강의를 경청하고 호응하는 가운데 있는 것처럼 여겨지게, 때로는 설교하듯 때로는 담론을 나누듯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때때로 주관적인 관점을 강하게 드러내기도 하는데, 그것이 저자의 역사 서술 가운데 옥의 티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오히려 바로 그것이 젊은이들을 비롯한 일반 신자들을 교회 역사에 가까이 다가오도록 하기 위한 저자의 수사이며 이책의 특징이요 매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_김영재_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상품정보고시

상품정보고시입니다.
저자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크기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쪽수 전자책의 경우 제외
제품 구성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출간일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목차 또는 책소개 상세화면 표시
임원택(1)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한후,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에서 역사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과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 등에서 중세교회사를 강의했으며, 2001년부터 백석대학교 교수로 교회사와 역사신학 과목들을 가르치고 있다.
평점 0 매우 별로예요! 총 0건 평가 기준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상품관련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립니다.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상품Q&A쓰기

배송 관련정보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교환/환불 관련 정보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
파본상품은 반품/교환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유선전화나 게시판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주문취소
•주문상품  취소는 "입금확인중(전체취소만 가능)/결제완료(부분취소도 가능)" 단계에서만 가능합니다.
•"입금확인중" 단계에서는 부분취소가 되지 않사오니 부분취소를 원하시면 전체취소후 재주문 주셔야 합니다.
•무통장 및 가상계좌 결제의 경우 주문일 기준으로 15일이후까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주문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반품/교환
•받으신 상품을 사용하지 않으신 경우, 출고완료 후 7일 이내에 반품이 가능합니다.
•주문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 "마이페이지>취소/반품/교환신청"메뉴에서 반품/교환신청이 가능합니다.
•교환은 상품불량 및 오배송 시에만 동일제품에 한하여 교환됩니다.다른 상품으로 교환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기 원하시면 반품후 새로 주문해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변심에 따른 반품의 경우 편도/왕복 배송비가 부과되며 배송료는 고객 부담입니다.
-전체반품시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미달일경우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이상일경우 편도배송비 부과


※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시즌 상품의 경우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습니다.꼭 숙지해 주세요.(월간지/다이어리/절기공과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교재/악보/음반 및 멀티미디어 등)경우 성경공부교재 및 악보는 받으신 이후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으며 음반 및 멀티미디어의 경우 포장을 훼손한 경우 반품/환불이되지 않습니다.
•인쇄성경/스프링제본 등과 같이 고객 요청으로 별도제작된 상품인 경우
•고객님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단, 가전제품, 음반 등의 일반 상품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가지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 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비닐로 랩핑된 상품의 경우 비닐을 뜯으시면 반품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