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고객

박윤만

박윤만

박윤만(현. 하늘깊은샘교회 담임목사 / 대신대학교 신약학 교수)은 영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BA)를 졸업한 후 총신대학 신학대학원(M.Div)에서 공부하였다. 이후 1999년 영국으로 유학을 떠난 런던 소재 써리-로햄턴 대학(The University of Surrey Roehampton[현. The University of Roehampton])에서 신약성경 헬라어 문법 학자이자 신약신학자인 스태린 포터(Stanley E. Porter) 지도하에 성경과 신학전공으로 석사학위(MA)를 취득하였다. 이후 2001년 지도교수와 함께 북미(캐나다)로 옮겨 토론토 대학(The University of Toronto)에서 신약신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시작한 후 포터의 지도하에 현대 인지언어학의 틀의미론(Frame Semantics)으로 마가복음 2:1-3:6을 연구하여 2008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하늘깊은샘교회를 개척하여 섬기고 있으며 대신대학교 신학과와 신학대학원에서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3백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Brill 출판사의 ‘언어학적 성경 연구’ (Linguistic Biblical Studies) 시리즈에 채택되어 2010년 출판되었다. 서명은 Mark’s Memory Resources and the Controversy Stories (Mk 2:1-3:6): An Application of Frame Theory of Cognitive Science into the Markan Oral-Aural Narrative (Leiden/Boston: Brill, 2010)이다. 
저자의 두 번째 저서는 그가 한국에 귀국한 후 초기 5년간 담화분석 이론 혹은 본문 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신약성경 헬라어 본문을 분석한 논문을 모아 2013년에 출판했다가 2019년에 개정증보판으로 재출간한 『신약성경 언어의 의사소통 기술』 (서울: 그리심, 2019[초판 2013])이 있다. 또한 2020년에는 12년간 교회에서 하나님의 나라 주제로 나눈 말씀을 새롭게 작업 보완하여 <그 틈에서 서서: 땅과 하늘 그 사이에서 분투하는 이들을 위해>(서울: 죠이북스, 2020)를 출간하였다.

<논문>
논문은 다음과 같다:
-“신약성경 헬라어 분사에 사용된 부사적 분사의 화용적 의미 결정에 대해.” 「신약연             구」 20.1 (2021)
-“고난 받는 인자에 대한 ‘기록’-막 9:12와 2:21에 드러난 예수의 구약 사용 연구.” 「신약연      구」 19.1 (2020) 
“믿음의 은유와 환유,” 『신약연구』 18/1 (2019)
“초기(기원후 2-3세기) 교회의 성경‘책’ 이해-코덱스(Codex) 선호의 배경과 의미.” 『신약연구』 17.1 (2018)
“예수의 두 얼굴-마가복음의 고기독론 연구,” 『신약연구』 16.1 (2017)
“예수, 총체적 종말론적 구원자: 마가복음의 예수의 치유와 축귀 그리고 죽음을 중심으로.” 『성경과 신학』 77 (2016년)
“예수의 구약 해석-마가복음을 중심으로.” 『신약연구』 14.1 (2015)
“예수의 죄 용서 선언에 드러난 자기 이해.” 『신약논단』 21.2 (2014)
- “추론(Inference)에 기초한 신약성경 본문 읽기.” 『성경과 신학』 66.4 (2013년)
“Is Paul a Rhetorician?-An Evaluation Based on Paul’ Biographical Statements.” 『신약연구』 11.2 (2012)
“응집성과 문단: 틀의미론에 기초한 마가복음 1:16-20 연구.” 『성경과 신학』 58 (2011)
“동사상과 빌레몬서 담화 처리.” 『신약연구』 10.4 (2011)
- “신약성서 헬라어의 현저성 표지들(Prominence Markers).” 『신약연구』 9.2 (2010)
- “신약성서 본문(Text)의 문맥(Context)에 대한 인지 언어학적 고찰.” 『Canon & Culture』 3/1 (2009) 
“마가의 구술-청각적 서사(Mark’s oral and aural narrative) 이해를 위한 인지 모형(cognitive model)으로서 틀 이론(frame theory).” 『신약연구』 7.4 (2008)

0의 도서가 있습니다

신상품순

베스트순

    번호
    도서명
    리뷰제목
    글쓴이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