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고객

기독교교리사

  • 729
  • 페이스북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확대보기

박상경

리폼드북스

2023년 10월 31일 출간

ISBN 9791196871284

품목정보 152*225*23mm490p700g

가   격 28,000원 25,200원(10%↓)

적립금 0원

카드
무이자
혜택보기

배송정보이 상품을 포함하여 15,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준비기간1일 이내 (토/주일/공휴일 제외, 당일 오전9시 이전 결제완료 주문기준) 설명보기

품목코드A000256732

매장현황
설명보기 지점별재고
광화문 강남 일산 구로 의정부 노원
1 1 0 0 0 0
* 주의: 실시간 재고수량이 달라지므로 방문전 전화확인 필수!
수량 상품 수량 1 감소 상품 수량 1 증가

총 합계금액0

상품 상세 정보
바로구매 장바구니 위시리스트
필독! 공지사항

개혁파 신학(Reformed Theology)은 사도적 전승(使徒的 傳承)이며 교리사적 전승(敎理史的 傳承)으로 전성경주의(全聖經主義)를 지향한다. 지식이란 부분적인 것이 아니라 체계적 지식(體系的 知識)과 통일적 지식(統一的 知識)이라야 한다. 또한 인식도 체계적 인식(體系的 認識)과 통일적 인식(統一的 認識)을 가져야 한다. 교리사는 기독교 교리사(History of Christian Doctrines)이며, 개혁파 교의학(Reformed Dogmatics)의 역사책(歷史冊)이라 부르기도 한다. 교리사는 기독교의 진리(眞理)를 성경적(聖經的)으로 통일적 체계(統一的 體系)를 세운 공교회의 교리(敎理)의 역사(歷史)이다.


역사적 기독교는 교리의 진리체계(眞理體系)를 세우므로 안으로부터 시작된 이단(異端)과 밖으로부터 오는 잘못된 사상(思想)을 방어하고 진리를 사수(死守)하고 바로 전하기 위해 공교회의 회의(會議)와 논쟁으로부터 얻어진 진리의 보석이다. 이는 어느 한 사람의 개인적 사상(思想)과 주장이 아니라 성경적 진리의 역사를 세우고 규정하는 공교회적 권위(公敎會的 權威)를 가진 것이다. 역사적 기독교 교리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우리는 교리사를 통해 개혁파 정통신앙(正統信仰)과 정통신학(正統神學)이 어떠한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 수 있으며, 더불어 비정통적(非正統的) 신앙과 신학이 어떤 형태(形態)로 모양새를 변형(變形)해 가고 있는지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적 교리(歷史的 敎理)의 진리체계를 모르면 성경과 전혀 관계없는 모양새의 신학을 가지게 될 것이다. 과거, 현재, 미래도 바른 신학적 틀이 없다면 성경적 기독교(聖經的 基督敎)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교리사는 신앙과 신학의 객관적(客觀的) 성경의 틀을 우리에게 제시해 주는 진리체계이다.


목차


머리말 21


제1부 기독교 교리사 개론


제1장 기독교 교리사 서론 29

 제1절 기독교 교리사의 역사 31

 제2절 기독교 교리의 정의 32

 제3절 성경에서의 기독교 교리 34

 제4절 기독교 교리와 신조 34

 제5절 기독교 교리와 교의신학 35

 제6절 기독교 교리사 36

  1. 사도와 교부들의 전승 37

  2. 철학과 이교 사상의 영향 38

  3. 시대적 사상에 대한 교회의 변증 38

 제7절 기독교 교리의 각 견해 39

  1. 로마카톨릭 교회의 교리관 40

  2. 자유주의 기독교의 교리관 41

  3. 개혁파 기독교회의 교리관 42

 제8절 기독교 교리사의 분류 43

  1. 일반 교리사 43

  2. 특별 교리사 43

  3. 근대 교리사 43

 제9절 기독교 교리사의 연구방법 44

  1. 수직적 방법 44

  2. 수평적 방법 44

  3. 객관적 방법 45

  4. 신앙 고백적 방법 45

  5. 연대기적 방법 46


제2부 고대 교회시대


제1장 성경에 관한 규정들 51

 제1절 성경 계시와의 관계 52

  1. 계시와 성경 53

  2. 계시와 말씀 53

  3. 계시와 예수 그리스도 53

  4. 계시의 완전성 54

  5. 계시와 신앙 55

  6. 계시의 완전성과 예수 56

 제2절 성경의 정경성 57

  1. 에비온파 57

  2. 말시온파 58

  3. 구약성경의 정경성 59

  4. 신약성경의 정경성 61

  5. 신구약성경의 필사본과 역본 63

 제3절 성경과 신조(신앙고백서) 68

  1. 성경과 신조의 권위 69

 제4절 종교개혁 이후 성경 69

  1.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 70

  2. 성경의 형식원리 70

  3. 성경의 내용원리 72

  4. 성경 계시의 논쟁 72

 제5절 개혁파 신조의 성경관 74

  1. 고대교회 신조의 성경관 74

  2. 개혁파 신앙고백서의 성경관 75

 제6절 신학자들의 성경관 78

  1. 개혁파 신학자들의 성경관 79

  2.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성경관 81

 제7절 성경 비평학83

  1. 종교사학파83

  2. 양식사학파 85

  3. 전승사학파85

  4. 편집사학파 86

  5. 구속사학파 86


제2장 속사도 교부들의 교리관 90

 제1절 속사도 교부들의 저술 90

 제2절 속사도 교부들의 교리적 가르침 92

  1.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 관하여 92

  2. 그리스도의 사역에 관하여 93

  3. 성례에 관하여 93

  4. 신앙과 선한 행실에 관하여 93

  5. 교회에 관하여 94

  6. 내세에 관하여 94

 제3절 기독교 복음에 대한 잘못된 사상 94

  1. 유대교 96

  2. 니케아 이전 이단 사상 106

  3. 헬레니즘 118

  4. 로마 제국주의 123

 제4절 기독교회 안에서의 개혁운동 124

  1. 말시온의 개혁운동 124


제3장 성육신과 부활 127

 제1절 부활과 영혼불멸 사상 128

 제2절 에비온주의와 가현설 129

  1. 에비온주의 129

  2. 가현설 130


제4장 그리스도의 재림과 신비주의 131

 제1절 종말론적인 공동체 131

 제2절 몬타누스 운동 132


제5장 그리스 철학의 영향과 기독교 120

 제1절 플라톤 사상 120

  1. 초기 플라톤 사상 133

  2. 중기 플라톤 사상 134

  3. 후기 플라톤 사상 124

 제2절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135

 제3절 스토아 사상 136

 제4절 그리스 철학에 대한 기독교회의 입장 137

  1. 철학을 옹호하는 입장 137

  2. 철학을 반대하는 입장 141


제6장 율법과 은혜의 관계 142

 제1절 스토아 사상 143

 제2절 말시온의 사상 145

 제3절 영지주의 사상 146

  1. 육과 영혼 147

  2. 창조의 이중성 148

  3. 성경 해석 148


제7장 이단들과 교회 151

 제1절 데시우스 박해와 노바티안 분파 152

 제2절 디오클레티안 박해와 도나투스 분파 153


제8장 기독교 신학의 시작 155

 제1절 기독교 진리의 건설과 계시 156

  1. 신 개념과 로고스 개념 156

  2. 그리스도론과 구원관 157

  3. 중생과 내세관 157

 제2절 기독교의 반(反) 그노시스 교부들 159

  1. 이레네우스 159

  2. 히폴리투스 159

  3. 터툴리안 160

  4. 기독교의 반(反) 그노시스 교부들의 신관 160

  5. 기독교의 반(反) 그노시스 교부들의 인간관 161

  6. 기독교의 반(反) 그노시스 교부들의 구속관 161

 제3절 알렉산드리아 교부들 162

  1. 클레멘트 162

  2. 오리겐 164


제9장 기독교회의 삼위일체 논쟁 167

 제1절 삼위일체론 논쟁의 배경과 성질 168

  1. 삼위일체론 논쟁의 배경 168

  2. 삼위일체론 논쟁의 성질 169

 제2절 성령의 신성에 대한 논쟁 184

 제3절 기독교 삼위일체 교리의 완성 188

 제4절 어거스틴의 기독교 삼위일체론 190

 제5절 라틴신학의 기독교 삼위일체론 192

  1. 로셀리누스의 삼위일체 192

  2. 길버트의 삼위일체 192

 제6절 종교개혁기의 기독교 삼위일체 교리 192

  1. 칼빈의 삼위일체론 193

 제7절 삼위일체의 이단자들 193

  1. 소시니안파 193

  2. 유니테리안니즘 194

  3. 알미니안파 194

 제8절 삼위일체의 인격적 구별의 의미 195

 제9절 삼위일체 교리의 발전 197


제10장 그리스도에 관한 교리 200

 제1절 기독론의 논쟁 201

  1. 아리우스주의 201

  2. 아폴리내리우스주의 202

  3. 네스토리우스주의 202

  4. 씨릴 파 203

  5. 유디케스 파 204

  6. 오리겐의 기독론205

 제2절 칼케돈 회의의 기독론 결정 206

  1. 칼케돈회의의 역사적 배경 206

  2. 칼케돈 신조의 특징 206

 제3절 칼케돈회의 이후의 기독론 211

  1. 그리스도의 일성론 211

  2. 그리스도의 일의파 212

  3. 다메섹 야고보의 기독론 212

 제4절 서방교회의 기독론 213

 제5절 중세의 기독론 214

 제6절 종교개혁기의 기독론 215

  1. 루터파 기독론(속성교류) 215

  2. 개혁파 기독론 217

 제7절 19세기 기독론 219

  1. 슐라이어마허의 기독론 219

  2. 칸트의 기독론 219

  3. 헤겔의 기독론 220

  4. 케노시스파의 기독론 220

  5. 리츨의 기독론 223

 제8절 현대 기독론 224


제3부 중세 교회시대


제1장 헬라 교부들과 라틴 교부들의 인간론 229

 제1절 헬라 교부들의 인간론 230

 제2절 라틴 교부들의 인간론 231


제2장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죄와 은혜관 233

 제1절 어거스틴 233

  1. 어거스틴의 죄와 은혜 234

  2. 어거스틴의 예정론 238

  3. 어거스틴의 교회론 239

 제2절 펠라기우스와 논쟁 240

  1. 펠라기우스의 사상 242

  2. 반(反) 펠라기우스주의 245

  3. 오렌지 종교회의 247


제3장 중세의 인간론 249

 제1절 그레고리 1세 249

  1. 그레고리 1세의 인간론 250

  2. 그레고리 1세의 예정론 250

 제2절 씨빌의 아이소돌의 논쟁 252

 제3절 얀센의 인간론254

 제4절 로마 카톨릭교회의 인간론의 특징 256

  1. 로마 카톨릭교회의 원의관 256

  2. 로마 카톨릭교회의 원죄관 256

  3. 로마 카톨릭교회의 협력적 중생관 257


제4장 중세 문학과 신학 258

 제1절 보에티우스 258

 제2절 디오누시오 259


제5장 중세 카톨릭교회의 초기 신학 261

 제1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체성사 262

  1. 라드베라두스와 라트람누스 263

  2. 베랭가와 란프랑 263

 제2절 로마 카톨릭교회의 예정론 논쟁 266


제6장 로마 카톨릭교회의 고백제도 269

 제1절 로마 카톨릭교회의 공고백제도 269

 제2절 로마 카톨릭교회의 사고백제도 271

 제3절 로마 카톨릭교회의 연옥과 면죄부 273

 제4절 로마 카톨릭교회의 스콜라주의 275

  1. 실재론 276

  2. 온건한 실재론 277

  3. 유명론 278

  4. 관념론 280

  5. 신비주의 280

 제5절 로마 카톨릭교회의 교황권을 위한 교리 281

  1. 콘스탄틴 황제의 증여문서 282

  2. 이시도르 교령집 284

  3. 7 성례전과 교황권 확보 286


제7장 운명론적 구원론 290

 제1절 추가적 은총 290

 제2절 인간의 타락 291

 제3절 의인에 관하여 292

 제4절 구원의 완성 292


제8장 신비주의 294

 제1절 신비주의의 이상 294

 제2절 하나님과의 연합 295

 제3절 신비주의의 죄 295

 제4절 인간의 수동성 296


제4부 종교개혁 시대


제1장 종교 개혁자들의 인간론 301

 제1절 아담과 그 후손과의 관계 301

  1. 개혁자들의 죄론 302

  2. 인간의 전적부패 302

  3. 은혜론 303

  4. 예정론 303

 제2절 소시니안파 입장 303

 제3절 알미니안파의 인간론 304

  1. 알미니안파의 죄론 305

  2. 알미니안파의 은혜론 305

  3. 알미니안파의 예정론 305

 제4절 도르트 회의 입장 306

  1. 도르트 회의의 예정론 307

  2. 도르트 회의의 인간의 부패 307

  3. 도르트 회의의 중생론 308

 제5절 쏘우물학파의 입장 309

  1. 가정적 보편 구원설 309


제2장 마르틴 루터와 존 칼빈의 사상 311

 제1절 마르틴 루터의 사상 311

  1. 루터의 영적 각성312

  2. 루터의 주요 사상 312

  3. 루터와 성경 314

  4. 루터의 십자가 신학 315

  5. 루터의 율법과 복음 316

  6. 인간의 타락과 구원 318


제2절 존 칼빈의 사상 319

  1. 존 칼빈과 성경 319

  2. 창조와 섭리 320

  3. 인간의 타락과 구원 321

  4. 칼빈의 예정론 322


제3장 과격파 종교개혁 324

 제1절 재세례파324

 제2절 다른 과격파 개혁자들 327


제4장 종교개혁 후기의 인간론 330

 제1절 웨슬레파 알미니안주의 330

  1. 웨슬레파 알미니안주의의 원죄론 331

  2. 웨슬레파 알미니안주의의 전적부패론 332

 제2절 뉴잉글랜드의 수정된 개혁신학 332

  1. 하나님의 뜻과 인간 타락의 관계 333

  2. 인간의 자유의지와의 관계 333

  3. 죄의 전이 334

 제3절 현대의 죄관 334

  1. 철학적 죄관 334

 제4절 신학적 죄관336

  1. 슐라이어마허의 죄관 336

  2. 뮬러의 죄관 336

  3. 리츨의 죄관 337

  4. 텐난트의 죄관 337


제5장 속죄론 339

 제1절 헬라 교부들의 속죄론 339

  1. 이레니우스의 속죄론 339

  2. 클레멘트의 속죄론 340

  3. 오리겐의 속죄론 340

  4. 아타나시우스의 속죄론 341

  5. 다메섹 야고보의 속죄론 341

 제2절 라틴 교부들의 속죄론 342

  1. 터툴리안의 속죄론 342

  2. 힐래리의 속죄론 343

  3. 암브로스의 속죄론 343

  4. 어거스틴의 속죄론 343

  5. 그레고리의 속죄론 344

 제3절 안셀무스로부터 종교개혁 시대까지 속죄론 345

  1. 안셀무스의 속죄론 345

  2. 아베랄드의 속죄론 347

 제4절 종교개혁 시대의 속죄론 350

  1. 안셀무스의 교리를 배경한 개혁자들 350

  2. 소시니안파의 속죄론 352

  3. 그로티우스의 속죄론 352

  4. 알미니안파의 속죄론 355

  5. 쏘우물학파의 절충설 355

 제5절 종교개혁 이후의 속죄론 356

  1. 신율법주의 속죄론 356

  2. 슐라이어마허의 속죄론 357

  3. 리츨의 속죄론 358

  4. 뉴잉글랜드의 신학의 정치적 속죄론 359


제6장 구원론 361

 제1절 교부시대의 구원론 361

  1. 3세기 이전의 구원론 363

  2. 3세기 이후의 구원론 366

 제2절 스콜라시대의 구원론 366

  1. 스콜라신학의 은혜론 367

  2. 스콜라신학의 신앙론 367

  3. 스콜라신학의 칭의와 공적주의 367

 제3절 종교개혁 이후의 구원론 369

  1. 루터의 구원론 359

  2. 알미니우스파 구원론 370

  3. 웨슬레파 구원론 371

  4. 칼빈의 구원론 371

  5. 개혁파의 구원론 372

  6. 개혁파 교회 신앙문서들의 구원의 질서 373


제7장 교회론 374

 제1절 교부시대 교회론 374

  1. 초대교부들의 교회론 374

  2. 적은 종파들의 교회론 375

 제2절 중세의 교회론 376

  1. 가시적 교회의 성격을 강하게 역설 378

  2. 가르치는 교회와 듣고 배우며 믿는 교회의 구별 378

  3. 교회도 사람처럼 몸과 영혼으로 됨 379

  4. 교회는 은혜의 공급처 379

  5. 구원의 기관인 교회 379

 제3절 종교개혁기와 그 후기의 교회론 380

  1. 루터파의 교회론 380

  2. 재세례파의 교회론 381

  3. 개혁파 교회의 교회론 381

  4. 기타, 여러 가지 교회론 382


제8장 경건주의 운동 384

 제1절 영국의 청교도운동 384

  1. 정화되어야 할 로마 카톨릭의 잔재 386

  2. 교직자에 관하여 387

  3. 교회생활과 급료에 관하여 387

  4. 교회의 훈련에 관하여 388

  5. 회중교회 388

 제2절 독일의 경건주의 389


제9장 카톨릭의 새로운 개혁운동 392

 제1절 갈리칸주의 393

 제2절 얀센주의 396

 제3절 마리아 무흠 잉태설 399

 제4절 교황 무오설 400


제5부 18세기 이후


제1장 합리주의의 도전 405

 제1절 자유주의 406

 제2절 신정통주의 407

 제3절 에큐메니칼 운동 410

 제4절 종교다원주의 413

 제5절 신학적 혼합주의 414

 제6절 포스트모더니즘 417

 제7절 신영성운동 419

 제8절 개혁파 424


제2장 기타선언 문들 429

 제1절 나이아가라 선언(1878) 431

 제2절 한국장로교회 12신조(1907) 433

 제3절 오번선언(1925) 435

 제4절 1967년 신앙고백서(1967) 438

 제5절 한국기독교장로회 신앙고백(1972) 442

 제6절 대한예수교장로회 대신 교회선언(1974) 445

 제7절 로잔협약(1974) 449

 제8절 시카고 선언(1978) 449

 제9절 우리의 신앙고백(마스터스개혁파총회, 2023) 454


제6부 종말시대

 제1절 중간상태의 발전 462

 제2절 연옥설의 발전 463

 제3절 연옥에 대한 다른 설 464

 제4절 천년왕국 465

  1. 초대교회의 천년왕국 465

  2. 중세기의 천년왕국 465

  3. 종교개혁 시대의 천년왕국 466

  4. 17세기 천년왕국과 후천년기설 466

  5. 19세기 천년왕국 467

  6. 무천년기설 467

 제5절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471

  1. 제32장 사후 상태와 사자의 부활 471


마무리글 481


상품정보고시

상품정보고시입니다.
저자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크기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쪽수 전자책의 경우 제외
제품 구성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출간일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목차 또는 책소개 상세화면 표시
박상경
포항고등학교 졸업 단국대학 법정대학 정학과 졸업 안양대학 신학과 졸업 안양대학 신학대학원 졸업 수도노회 노회장 역임 경서노회 노회장 역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회의록서기(현) 현 대한예수고장로회 성화교회 시무
평점 0 매우 별로예요! 총 0건 평가 기준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상품관련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립니다.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상품Q&A쓰기

배송 관련정보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교환/환불 관련 정보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
파본상품은 반품/교환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유선전화나 게시판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주문취소
•주문상품  취소는 "입금확인중(전체취소만 가능)/결제완료(부분취소도 가능)" 단계에서만 가능합니다.
•"입금확인중" 단계에서는 부분취소가 되지 않사오니 부분취소를 원하시면 전체취소후 재주문 주셔야 합니다.
•무통장 및 가상계좌 결제의 경우 주문일 기준으로 15일이후까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주문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반품/교환
•받으신 상품을 사용하지 않으신 경우, 출고완료 후 7일 이내에 반품이 가능합니다.
•주문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 "마이페이지>취소/반품/교환신청"메뉴에서 반품/교환신청이 가능합니다.
•교환은 상품불량 및 오배송 시에만 동일제품에 한하여 교환됩니다.다른 상품으로 교환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기 원하시면 반품후 새로 주문해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변심에 따른 반품의 경우 편도/왕복 배송비가 부과되며 배송료는 고객 부담입니다.
-전체반품시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미달일경우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이상일경우 편도배송비 부과


※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시즌 상품의 경우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습니다.꼭 숙지해 주세요.(월간지/다이어리/절기공과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교재/악보/음반 및 멀티미디어 등)경우 성경공부교재 및 악보는 받으신 이후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으며 음반 및 멀티미디어의 경우 포장을 훼손한 경우 반품/환불이되지 않습니다.
•인쇄성경/스프링제본 등과 같이 고객 요청으로 별도제작된 상품인 경우
•고객님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단, 가전제품, 음반 등의 일반 상품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가지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 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비닐로 랩핑된 상품의 경우 비닐을 뜯으시면 반품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