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고객

성서 종교와 궁극적 실재 탐구

종교와 철학의 관계

  • 1,024
  • 페이스북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확대보기

폴 틸리히

남성민 역자

비아

2021년 09월 30일 출간

ISBN 9791191239430

품목정보 121*180*11mm160p200g

가   격 12,000원 10,800원(10%↓)

적립금 0원

카드
무이자
혜택보기

배송정보이 상품을 포함하여 15,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준비기간1일 이내 (토/주일/공휴일 제외, 당일 오전9시 이전 결제완료 주문기준) 설명보기

품목코드A000243857

매장현황
설명보기 지점별재고
광화문 강남 일산 구로 의정부 노원
0 0 0 0 0 0
* 주의: 실시간 재고수량이 달라지므로 방문전 전화확인 필수!
수량 상품 수량 1 감소 상품 수량 1 증가

총 합계금액0

상품 상세 정보
 품절 위시리스트
필독! 공지사항

함께 보면 좋은 상품이예요

20세기를 대표하는 신학자 폴 틸리히가 이야기하는 종교와 철학, 철학과 신학의 관계  


  20세기 초중반을 대표하는 개신교 신학자 폴 틸리히가 종교와 철학, 철학과 신학의 관계를 논한 책. 신학사에 한 획을 그은 그의 대표작 『조직신학』 3부작을 저술하는 와중에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강연한 내용을 바탕으로 쓰인 책으로 틸리히 신학의 특징을 엿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저작으로 꼽힌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틸리히는 종교와 철학이 만나야 할 필요성, 신학과 철학이 만나야 할 필요성, 종교와 신학이 철학을 품어야 할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종교와 철학, 신학과 철학은 서로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나 근원적인 차원에서 서로를 필요로 하고 있다. 틸리히는 종교와 철학이 어떠한 면에서 대립하는지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특유의 통찰로 이러한 대립이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종교와 철학의 의미, 종교와 철학의 특징, 다양한 신학 사조와 철학 사조에 대한 평가를 함께 진행한다.

  본문 뒤에는 폴 틸리히가 현대 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볼 수 있게 해주는 글을 실어놓아 본문에 대한 좀 더 입체적인 독해가 가능하게 했다. 현대 그리스도교 신학사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대가의 ‘신학적 사유’의 깊이를 맛볼 수 있는 얇고도 단단한 저작이다. 



| 출판사 서평 |


20세기를 대표하는 신학자 폴 틸리히가 이야기하는 종교와 철학, 철학과 신학의 관계  


“존재론과 성서 종교의 상관관계는 결코 종결될 수 없는 과제입니다. 특정 존재론을 성서 종교의 이름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습니다. ... 존재론은 우리를 구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구원에 대한 물음은 존재론적 물음을 품고 있습니다. 존재론적 물음을 묻는 것은 우리에게 필수적인 일입니다. 파스칼에 반대하며 저는 말합니다.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삭의 하느님, 그리고 야곱의 하느님과 철학자의 하느님은 같은 하느님입니다.” - 본문 中


그리스도교와 그리스도교 신학에는, 그리고 철학에는 한 거대한 흐름이 있다. “아테네와 예루살렘이 무슨 상관이 있는가?”라는 테르툴리아누스의 물음, 그리고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삭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과 철학자의 신은 다르다”는 파스칼의 말로 대표되는 반철학적 흐름, 그리고 신앙과 신학을 ‘맹목적 믿음’, (권위에 의존하는) ‘독단적 지식’으로 간주하는 반종교, 반신학적 흐름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스도교 세계가 붕괴한 이후 이 흐름은 더 공고해졌다. 실제로 종교, 혹은 신학과 철학은 다르고, 언뜻 보면 서로 대립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을 통해 얻는 사유의 결실도 분명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이 둘을 완전히 분리해 서로 무관한 것으로 여기는 것은 모두에게 불행한 일이 될 수 있다. 

폴 틸리히는 칼 바르트, 루돌프 불트만과 더불어 20세기 초중반을 대표하는 개신교 신학자이자 신학계의 마지막 거인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다. 어떤 이가 그를 두고 ‘지식인들의 사도’라고 불렀듯 그는 그리스도교와 문화, 그리스도교와 사회, 그리스도교와 철학을 연결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데 누구보다도 탁월했으며 당대 지성계, 특히 전후 미국 지성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성서 종교와 궁극적 실재 탐구』는 틸리히가 자신의 대표작 『조직신학』 3부작을 저술하는 와중에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강연한 내용을 바탕으로 쓰인 책으로 틸리히 신학의 특징을 엿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저작으로 꼽힌다. 그리고 시점상 『조직신학』 1권이 나오고 이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쏟아진 상태에서 자신의 신학 작업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했기에 『조직신학』에 대한 좋은 안내서라고도 할 수 있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그는 종교와 철학이 만나야 할 필요성, 신학과 철학이 만나야 할 필요성, 종교와 신학이 철학을 품어야 할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종교와 철학, 신학과 철학은 서로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나 근원적인 차원에서 서로를 필요로 하고 있다. 틸리히는 종교와 철학이 어떠한 면에서 대립하는지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특유의 통찰로 이러한 대립이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종교와 철학의 의미, 종교와 철학의 특징, 다양한 신학 사조와 철학 사조에 대한 평가를 함께 진행한다.

  본문 뒤에는 폴 틸리히가 현대 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볼 수 있게 해주는 글을 실어놓아 본문에 대한 좀 더 입체적인 독해가 가능하게 했다. 현대 그리스도교 신학사, 더 나아가 근현대 지성사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대가의 ‘신학적, 철학적 사유’의 깊이를 맛볼 수 있는 얇고도 단단한 저작이다. 



목차


들어가며 


I. 기본 개념들 

1. ‘성서 종교’의 의미 

2. 철학의 의미 


II. 인간 실존 그리고 존재 물음 

1. 인간 그리고 존재 물음 

2. 철학적 반대 견해들  

3. 철학함의 태도 


III. 성서에 나타나는 인격주의의 토대 

1. 거룩함 경험의 인격적 특징 

2. 성서에 나타나는 인격주의의 특징  


IV. 인격주의와 신-인 관계 

1. 신-인 관계의 상호적 특징 

2. 성서에 나타나는 인격주의와 말 


V. 인격주의와 신적 현현들 

1. 인격주의와 창조 

2. 인격주의와 그리스도론  

3. 인격주의, 역사, 그리고 종말론 


VI. 성서에 나타나는 인격주의 관점에서 본 인간 

1. 성서에 나타나는 인격주의와 인간의 윤리적 실존 

2. 성서적 인격주의와 인간의 사회적 실존 

3. 성서 종교에서 신앙과 죄 

4. 신앙, 의심, 그리고 존재론적 물음  


VII. 성서 종교의 주관적 측면에 포함되어 있는 존재론적 문제들 

1. 전체 회심과 지성의 회심  

2. 은총의 윤리와 결단의 윤리  

3. 성서 종교와 존재론에서 나타나는 고독과 사랑 


VIII. 성서 종교의 객관적인 측면에 포함되어 있는 존재론적 문제들 

1. 신적 현현들 그리고 궁극적 실재 탐구  

2. 신-인 관계 그리고 궁극적 실재 탐구  

3. 존재론과 성서 종교에 나타나는 존재의 근거인 하느님  


해설: 폴 틸리히의 생애와 사상  

폴 틸리히 저서 목록 



본문 펼쳐보기


이 책의 주제는 조직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제 신학 사유에서도 중요합니다. 신학 작업을 할 때 저는 종종 철학 언어를 쓰면서 이를 성서의 구체적인 형상 언어와 비판적으로 대조하곤 했습니다. 이 책에서 저는 이 대조를 철저하게 밀어붙였습니다. 그러나 저를 비판하는 이들이 내린 결론, 즉 신학은 철학 용어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일은 가능하지 않을뿐더러 바람직하지도 않고, 신학의 자기기만과 낙후를 낳는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오히려 저는 성서의 상징들이 불가피하게 존재론적 물음을 유발하며, 신학이 제시하는 대답은 필연적으로 존재론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p.9~10.


많은 신학생은 하느님의 계시를 철학뿐만 아니라 종교와도 대립시키곤 합니다. 특히 유럽 대륙이 그러한 경향이 강하지요. 이들이 보기에 종교와 철학은 모두 정죄해야 마땅합니다. 둘은 모두 하느님처럼 되려 하는 인간의 시도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종교와 철학은 모두 인간이 자신의 피조성과 유한성을 넘어서고자 하는 마성적 고양demonic elevation입니다.* 둘 중에서 더 위험한 것은 종교입니다. 철학은 적어도 원칙상으로는 논리학과 인식론이라는 기술적인 문제만 다룰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러한 생각이 참이라면 철학과 성서 종교를 마주 세우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성서 종교라는 말은 그 자체로 어불성설이기 때문이지요. 이 생각을 지지하는 이들은 철학은 무해한 논리적 탐구거나 마성적인 교만hubris에 바탕을 둔 인간의 활동이기에 제대로 된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성서적’이라는 형용사에 ‘종교’가 아닌 ‘계시’라는 명사를 붙여야 한다고 주장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 주장을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p.15~16.


철학은 취향의 문제가 아닙니다. 철학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활동입니다. 인간은 존재 물음을 던지는 존재입니다. 모든 인간이 나름의 도덕을 갖고 있고 정치 활동을 하며 예술을 하고 학문을 닦으며 종교를 갖듯 모든 인간은 철학을 합니다. 이를 수행함에 있어 인간마다 수준, 교육 정도, 창조성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지만, 수행의 성격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아이들이 “이건 왜 그래요? 저건 왜 안 그래요?”라고 쉼 없이 물을 때, 칸트Immanuel Kant가 우주론적 논증을 비판하며 “왜 나는 존재하는가?”라고 스스로 묻는 신을 웅장하게 서술할 때, 둘의 형태는 다르나 내용은 근본적으로 같습니다. 둘 모두 존재를 묻고 있는 것이지요. 인간은 본성상 철학자입니다. 인간은 불가피하게 존재 물음을 던지기 때문입니다. 신화나 서사시, 연극이나 시, 어떤 언어 구조나 단어로든 인간은 존재 물음을 던집니다. 철학의 고유한 과제는 이 물음을 의식하게 만들고, 체계적으로 이에 대한 대답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p.23~24.


신앙과 의심은 본질상 서로 모순되지 않습니다. 신앙은 신앙 자체와 신앙 안에 있는 의심, 이 둘 사이에서 계속 일어나는 긴장입니다. 이 긴장이 언제나 갈등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늘 잠복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신앙과 논리적 증거, 과학적 개연성, 전통주의적 자기 확실성, 질문을 가로막는 권위주의를 구별합니다. 신앙은 무조건적인 것에 대한 깨달음과 불확실성이라는 위험을 감내하는 용기를 모두 아우릅니다. 신앙은 ‘부정’의 불안에도 불구하고 ‘긍정’을 말합니다. 신앙은 의심이라는 ‘부정’, 의심이라는 불안을 제거하지 않습니다. 신앙은 의심의 침입을 막는 성을 쌓지도 않습니다(신앙이 신경질적으로 왜곡되었을 때만 그런 일을 합니다).  오히려 신앙은 의심이라는 ‘부정’, 불안정성이라는 불안을 자기 안으로 받아들입니다. 신앙은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의심을 끌어안습니다. 그러므로 신앙은 신앙과 함께, 철저한 의심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존재 물음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렇기에 신앙은 궁극적 실재에 대한 자유로운 탐구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p.93~94.



추천의글


“이 책에서 틸리히는 신학에서 철학을 활용하는 것을 설명하고 옹호한다. 한번은 그의 『조직신학』을 읽기 전에 또 한번은 읽은 후에 주의 깊게 읽을 필요가 있다.” - 로저 E. 올슨 (신학자, 『현대 신학이란 무엇인가』의 지은이)


“틸리히 만큼 그리스도교 신앙 혹은 신학과 문화 사이에 다리를 놓은 사람은 없다. 오늘날 신학자들이 몇몇 영역에서 탐구를 진행할 때 그는 여전히 그 흐름의 중심에 서 있다.” - 마틴 E. 마티 (신학자, 『공적 교회』The Public Church: Mainline, Evangelical, Catholic, 『근본주의와 복음주의』Fundamentalism and Evangelicalism의 지은이) 


“폴 틸리히 만큼 현대인들의 상상력을 사로잡은 신학자는 거의 없었다. 누군가의 표현을 빌리면 그는 ”지식인들을 위한 사도“였다. 처음에는 독일어로, 그 다음에는 영어로 그는 죽음과 무의미라는 문제와 마주에 깊은 불안을 느끼고 있던 현대인들에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신학 언어를 제시했다. 동료 신학자들에게 그는 ”신학자 중의 신학자“였다. 그리스도교 신학과 철학이 소통하지 않고 점차 멀어지고 지고 있던 상황에 그는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 피터 J. 고메즈 (신학자, 설교자, 『선한 삶』The Good Life: Truths that Last in Times of Need의 지은이) 


상품정보고시

상품정보고시입니다.
저자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크기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쪽수 전자책의 경우 제외
제품 구성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출간일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목차 또는 책소개 상세화면 표시
폴 틸리히
파울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는 독일 스타르체델에서 출생했으며, 가장 창의적이고 영향력 있는 20세기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베를린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했고, 특히 독일 관념론 철학자 피히테의 철학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셸링에 관한 연구로 브레슬라우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와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 강의 자격(Lizentiat der Theologie)을 얻었다. 브란덴부르크주 루터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제1차 세계대전 때 자원하여 군목으로 활동하며 유럽 문화의 끝을 알리는 끔찍한 재앙을 경험했다. 전쟁 후 할레 대학교에서 슐라이어마허 이전의 초자연주의에 관한 연구로 교수 자격(Habilitation)을 얻고 베를린 대학교에서 사강사(Privatdozent)로 학문 활동을 시작했으며, 마르부르크 대학교,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철학과 사회학을 가르치면서 프랑크푸르트학파 구성원들과 교류하다가 유대인 탄압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비유대인으로서는 최초로 나치 정권에 의해 해직되었다. 라인홀드 니버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망명하여 유니온 신학교에서 20년 동안 종교철학과 조직신학과 철학적 신학을 가르쳤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특별 교수(University Professor)와 시카고 대학교 신과대학의 존 뉴빈 석좌교수(John Nuveen Professor)를 지냈다. 20세기 가장 중요한 개신교 신학자와 종교철학자로 꼽힌다. 주요 저작으로는 『프로테스탄트 시대』, 『존재의 용기』, 『문화의 신학』, 『경계선 위에서』, 『흔들리는 터전』, 『영원한 지금』, 『믿음의 역동성』 등이 있다. The Courahe to Be(1952) Love, Power and Justice(1954) Theology of Culture(1959) The Eteranl Now(1963) In Dynamics of Faith(1957) Systematic Theology(3 vols., 1951-1963)
평점 0 매우 별로예요! 총 0건 평가 기준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상품관련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립니다.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상품Q&A쓰기

배송 관련정보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교환/환불 관련 정보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
파본상품은 반품/교환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유선전화나 게시판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주문취소
•주문상품  취소는 "입금확인중(전체취소만 가능)/결제완료(부분취소도 가능)" 단계에서만 가능합니다.
•"입금확인중" 단계에서는 부분취소가 되지 않사오니 부분취소를 원하시면 전체취소후 재주문 주셔야 합니다.
•무통장 및 가상계좌 결제의 경우 주문일 기준으로 15일이후까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주문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반품/교환
•받으신 상품을 사용하지 않으신 경우, 출고완료 후 7일 이내에 반품이 가능합니다.
•주문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 "마이페이지>취소/반품/교환신청"메뉴에서 반품/교환신청이 가능합니다.
•교환은 상품불량 및 오배송 시에만 동일제품에 한하여 교환됩니다.다른 상품으로 교환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기 원하시면 반품후 새로 주문해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변심에 따른 반품의 경우 편도/왕복 배송비가 부과되며 배송료는 고객 부담입니다.
-전체반품시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미달일경우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이상일경우 편도배송비 부과


※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시즌 상품의 경우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습니다.꼭 숙지해 주세요.(월간지/다이어리/절기공과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교재/악보/음반 및 멀티미디어 등)경우 성경공부교재 및 악보는 받으신 이후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으며 음반 및 멀티미디어의 경우 포장을 훼손한 경우 반품/환불이되지 않습니다.
•인쇄성경/스프링제본 등과 같이 고객 요청으로 별도제작된 상품인 경우
•고객님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단, 가전제품, 음반 등의 일반 상품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가지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 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비닐로 랩핑된 상품의 경우 비닐을 뜯으시면 반품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