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서문
나는 이 책이 완성되는데 여러 가지로 도움을 주었던 사람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기 원한다. 지도교수인 찰스 로젠버그(Charles
Rosenberg) 교수는 나를 역사학자로 만들어 주었다. 조교인 로날드 넘버스(Ronald Numbers), 리키 쿠크릭(Riki Kuklick), 그리고 클
레어 대이비스(Clair Davis)는 나의 글에 관하여 비평과 함께 조언도 해주었다. 찰스 보스크(Charles Bosk)는 내게 공동연구를 하라
고 조언해 주기도 하였다. 그것은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성과가 있었다. 여러 참여자들을 리서치 하는 연구방법을 통하여 역사
적 사실 자체가 어떤 균형에 있어서는 변화가 일어났다.
내가 다루고자 하는 중요 주제에 관하여 제이 아담스(Jay Adams)와 베티 제인 아담스(Betty Jane Adams)가 친절하게 시간을 내주
신 것에 대하여 감사를 전한다. 수년간 의사소통 혹은 응답으로 함께 토론해 온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특히 도널드 캡스(Donald
Capps), 존 카터(John Carter), 존 코에(John Coe), 게리 콜린스(Gary R. Collins), 래리 크랩(Rarry Crabb), 하워드 에리히(Howard
Eyrich), 빌 고오드(Bill Goode), 버논 그라운즈(Vernon Grounds), 로이드 조나즈(Lloyd Jonas), 스탠 존스(Stan Jones), 웨인 맥
(Wayne Mack), 부루스 내래모어(Bruce Narramore), 로버트 로버츠(Robert Roberts), 조오지 스키피온(George Scipione), 밥 스미
스(Bob Smith), 그리고 리처드 윈터(Richard Winter), 또 AACC, CAPS, 그리고 NANC의 회원들에게 감사드린다. 이들 중 특히 조오
지 스키피온(George Scipione)의 지속적인 관심과 통찰력은 많은 도움이 되었다.
에드먼드 클라우니(Edmund Clowney)는 처음으로 내게 역사를 공부해 볼 것을 제안한 사람이다. 존 베틀러(John Bettler)는 특별한
주제를 제안하였고, 실제로 그리고 보이지 않는 방법으로 많은 공헌을 하였다. 폴 트립(Paul Tripp), 에드 웰치(Ed Welch), 그리고 몇
몇 동료 전문가들이 나의 논문이 성공하도록 도와준 것을 기억한다. 그리고 논문이 어떻게 진행되어 가는지 묻지 않았다. 밥 브래들리
는 CCEF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일에 귀중한 도움을 주었다. 브래드 비버스(Brad Beavers)와 빌 스미스(Bill Smith)는 자료를 찾
는 일을 도와주었다. 펜실베니아 대학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풀러 신학교, 바이 올라 대학교의 도서관 사서들은 나를 지원해주고 인
도해 주었다.
심리적으로 실제적으로 도움을 준 사람들도 있다. 밥 크래이머(Bob Kramer)의 지속적이고 실제적인 격려가 없었더라면 이 연구는 이
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많은 다른 친구들의 격려가 있었다. 블랙먼즈(Blakemans)부부, 코빙톤즈(Covingtons) 부부, 디하츠
(DeHarts) 부부, 그로브즈(Groves) 부부, 밀러즈(Millers) 부부, 옌치코스(Yenchkos)부부가 그들이다. 그리고 많은 다른 사람들은 나
를 재정적으로 후원해 주었다. 마리엔 소퍼(Maryanne Soper)는 논문을 읽고 검토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셀 수 없을 정도로 만족한 도움
을 주었다. 성 클리어회와 성 줄리언 회의 제인 번즈(Jane Burns)의 호의는 작성과정에서 중요한 초점을 제공해 주었다. 나의 어머니
도라 파울리슨(Dora Powlison)은 장인 장모인 프랭크(Frank)와 엘로지 가드너(Eloise Gardner)와 함께 조용하지만 지속적으로 나를
격려해 주었다. 나의 자녀, 피터(Peter)와 그웨니스(Gwenyth), 한나(Hannah)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다. 그들은 아빠인 필자의
학위 논문을 쓰는 동안 성장하였고, 그들이 살아 있음은 신비스럽게 나의 배경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내 낸(Nan) 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그녀는 “사랑은 오래 참는 것이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신이란 이유를 보여주었다.
저자 David A. Powlison
◎ 역자서문
『정신의학과 기독교』는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Westminster Theolo- gical Seminary)의 실천신학(목회상담학) 교수이며,
미국 기독교 상담교육재단(Christian Counseling & Educational Foundation)의 전문 상담가이신 David A. Powlison 박사께서 펜실베
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에 제출하셨던 철학박사(Ph.D.) 학위논문을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우리말로 번역한 것입니
다. 원제목은 “Competent to Counsel? The History of A Conservative Protestant Anti-Psychiatry Movement”(유능한 상담? 보수기
독교의 반 정신의학 운동의 역사)입니다. 이 탁월한 박사학위 논문이 The Biblical Counseling Movement: History and Context(성경
적 상담 운동: 역사 그리고 상황) (Greensboro, NC.: New Growth Press, 2010)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최근에는 The
Southern Baptistist Theological Seminary의 상담학 교수인 Dr. Heath Lambert가 Biblical Counseling Movement After Adams
(Wheaton Illinois: Crossway, 2012)를 출간하여 아담스 박사의 이후세대에 성경적 상담운동의 역사를 보여주기도 하였습니다. 이 책
에 대한 소개는 본서의 후속 연구 과제로 남겨둡니다.
본서는 목회상담학의 역사 속에서 치열했던 정신의학과 기독교의 관계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약 30년간의 역사를 밝히 보여주고 있습
니다. 본서를 통하여 독자들은 정신의학에 대한 기독교상담자들의 다양한 입장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개혁주
의 신학에 근거한 목회상담학의 역사를 깊이 이해하는데 도움을 얻게 될 것입니다. 먼저, Jay Adams가 주도한 보수적인 기독교의 반
심리치료 운동의 역사를 이해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서로 다른 전문가집단의 세 가지 입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전문가 집단은 첫째 심리학자들이요, 둘째 기독교 목회상담학자들이며, 셋째 심리치료 전문가들입니다. 또한, 본서를 통하여 성경적 상
담 운동의 흐름과 역사를 명확히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한국과 세계의 목회상담학과 기독교 상담학의 흐름을 전망할 수
있는 통찰을 얻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다루면서 저자인 Powlison박사는 객관적이고 균형 있는 관점으로 본서를 전개하고 있습
니다. 역자 서문
독자들이 본서를 읽고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각주는 책의 가장 뒤편에 위치하도록 하였습니다. 각주의 기록 방식은 2013년 시카
고 튜리비안 방식으로 수정하였습니다. 그것은 기독교상담학 분야의 전공자들이 참고하고 인용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리
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원문을 의역 처리하였습니다.
본서를 번역하도록 이 책은 매우 중요한 책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의 소위 “상담 전쟁”은 주의 깊은 분석적 생각에 의한 것 보다 더 종종 꼬리표처럼 특징
지워지도록 불을 붙인 열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첫째로 이와 같은 발전의 역사를 폭 넓게 이해하고 있다. 반면, 그들의 출처가 무엇
이든지간에 진실과 통찰을 바탕으로 탐구하고 있다. 파울리슨은 기독교신앙이 기독교상담의 건강한 모델을 세우는 본질적인 역할을 해
야만 한다는 것에 대하여 신실하게 논하고 있다. 아멘 아멘.
_ D. A. Carson, Ph.D.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 신약학 교수)
누구든지 현대 성경적 상담운동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좋은 연구와 잘 기록된 책을 읽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복음적 교회
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운동의 하나로서 공정함과 균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역사적 통찰력뿐 만 아니라, 보다 중요
한 것으로서 어떻게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할 수 있는지에 관한 지혜를 얻게 해준다.
_ Bob Kellemen, Ph.D. (『영적 의사』, 『영적 친구들』, 『고통 곁에서』, 『희생적인 우정』의 저자)
데이빗 파울리슨은 1960년대에 일어난 성경적 상담운동의 정의를 정확히 묘사하였고 오늘날의 기독교 상담의 영역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은 20세기 후반에 믿음을 바탕으로 한 상담이 빠르고 무질서하게 성장한 배경을 이해하는데 관심을 가진 독자들은
반드시 읽어야 한다.
_ Ian F. Jones, Ph.D. (남서 침례신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침례교 결혼과 가정 상담소 소장)
이 책은 성경적 상담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의 최종적이고 사려 깊은 조사이다 그리고 성경적 상담의 설립자인 Jay Adams가 한 일에
대하여, 기독교 상담의 세계에 가져다 준 중요한 공헌을 이 운동의 다음 세대의 지도자로부터 정당하게 평가받기 위하여 필요한 내용
을 제공하고 있다.
_ Erick L. Johnson, Ph.D. (남 침례신학교 목회상담학 교수, 미국 기독교 심리학회 회장, 『영혼 돌봄의 기원』의 저자)
“성경은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이며, 그러나 범죄로 인해 사람의 정신적, 육체적 모든 영역이 타락되었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통
하여 하나님의 바른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 본서(정신의학과 기독교)는 이와 같은 성경적 인간관의 관점에서 기존
의 세속적 정신의학을 조명하고, 바른 정신의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정신의학, 특히 심리학과 목회상담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_ 최갑종 박사 (Ph.D., 백석대학교 총장, 신약학, 전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회장)
본서는 인본주의 심리학이 범람하는 시대 상황 속에서 성경과 개혁신학에 근거한 목회상담학의 역사와 방향을 명확히 보여주는 책이
다. 이 책이 성경 신학에 근거한 목회상담 사역을 감당하고자 하는 사역자들의 길잡이가 되고 건강한 교회를 세우는 도구가 될 것을 확
신한다.
_ 김의원 박사 (Ph.D., 백석대학교 서울캠퍼스 부총장, 구약학)
성경적상담 운동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기독교상담의 역사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 책은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기독교상담은
비록 미국에서 일어난 성경적상담의 역사이지만 데이빗 파울리슨의 놀라운 통찰력은 한국교회가 지향해야 할 성경중심적인 상담의 방
향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 책이 상담사역을 감당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가야 할 길을 제시해 주기를 기대한다.
_ 김준수 박사 (D.Min.,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장,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교수)
데이빗 파울리슨은 신학과 심리학, 그리고 과학과 의학을 두루 섭렵한 균형 있는 실천신학자요, 목회상담학자이다. 본서는 기독교 상담
의 역사와 성경적 상담의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책이다. 역자인 전형준 박사는 영문학과 신학, 상담심리학, 그리고 목회상담학을 두
루 연구한 균형 있는 실천신학자요, 목회상담학자이다. 본서는 신학자와 기독교상담자, 그리고 목회자들의 필독서이다.
_ 전요섭 박사 (Ed.D.,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장, 기독교상담학, 전 한국복음주의기독교상담학회장)
목차
저자서문●5
역자서문●8
본서의 개요●11
표 목차●16
1장 _ 서 론●17
2장 _ 보수적 기독교 상담자의 형성●49
3장 _ “상담혁명에 있어 당신의 위치”성경적 상담운동의 위기●99
4장 _ 주어진 현장: 아담스의 의뢰인●139
5장 _ 하나님, 죄 그리고 고통: 아담스의 적극적인 체계 (1)●171
6장 _ 복음과 목회의 과제: 아담스의 적극적인 체계 (2)●213
7장 _ 아담스의 현대심리학들과의 상호작용●253
8장 _ 대반란: 전문가들의 반응●297
9장 _ 전쟁의 운명: 1980년대와 그 이후●347
후기●391
부록 : 아담스의 모델에 관한 사례 연구●397
미주(尾註)●417
참고문헌●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