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근거 위에 마태복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당시 저자의 종교, 사회, 문화적 배경에 대한 정보와 함께 큰 주제인 
“율법”에 대한 신선한 논의를 개진한다. 또한, 현대적 시각에서의 가정을 벗어나 1세기 팔레스타인의 전통에 근거하여 예수님의 사
역을 조망한다. 
추천의 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앵커바이블 시리즈에 들어 있는 W. F. 올브라이트(W. F. Albright)와 C. S. 만(C. S. Mann)의 『앵커바
이블: 마태복음』(The Anchor Yale Bible: Matthew)은 분별력이 있는 독자들에게는 고마운 책이다. 
올브라이트는 팔레스타인 고고학과 셈어 분야의 탁월한 대학자였다. 그것과 어울리게 저자들은 서문에서 “이 주석서에서 우리는 
마태복음의 단어들을 진지하게 다루고 그것들의 배후에 있는 전반적인 문화적, 법적, 영적 전통을 살펴보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우
리는, 현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역사적, 고고학적, 언어학적 증거를 최대한으로 활용하면서, 복음서들의 예수님을 그의 고유한 배
경과 확실하게 대조하기 위하여 많은 수고를 했다”고 밝힌다. 이를 볼 때, 이 책의 최대 장점 중의 하나는 마태복음에 나오는 단어
들의 역사적, 언어적 배경을 살펴보는 데에 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역사적 예수님과 교회 공동체를 아주 긴밀하게 관련시킨다. 역사적 예수님의 가르침이 구전의 방식으로 교회 공동체에 
정확하게 전달되어서 교회 공동체의 신앙과 삶의 근간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또 구약 성경과 교회 공동체도 아주 밀접하게 관련시
킨다. 구약 성경에 나타나는 이스라엘 신앙의 핵심이 바로 교회 공동체에서 실현되었다고 말한다. 
독자들이 이 책을 읽을 때 몇 가지 염두에 두어야 하는 내용들이 있다. 이 책은 1971년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그 이전에 이루어진 연
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저자들은 복음서의 배후에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 복음서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하늘 나라”(이 시대
에 세워져서 최후 심판 때까지 지속될 메시아 왕국, 즉 교회 공동체)와 “하나님 나라”(그 최후 심판 후에 세워질 아버지의 나라)를 
구분한다. 또한 최근의 신학적 경향은 “공관복음서 문제”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학자들이 “두 자료설”을 수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서는 여전히 마태복음에 대한 다양한 배경적 정보를 담고 있다는 측면에서 유익하며 신학적 변화 추이를 살펴볼 수 있
다는 측면에서도 그렇다. 
이 책이 이번에 기독교문서선교회(CLC)의 기획과 이강택 박사의 수고로 우리말로 번역, 출판되어서 무척 반갑다. 맑은 마음으로 
말씀을 연구하는 신학생들과 뜨거운 가슴으로 설교를 준비하는 목회자들에게 이 책이 큰 도움이 되리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
다. 이 땅에서 사역하는 모든 말씀 사역자들에게 이 책을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 김병모 박사(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많은 이들에게 “교회의 책”인 마태복음은 익숙하면서도 생소하다. 예수님의 생생하고 강렬한 가르침이 우리가 처한 틀 속에서 “길
들여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에겐 같은 복음서 네 권이 아니라, 서로 다른 네 개의 복음서가 있다. 하지만 우리는 
네 복음서 저마다의 맛을 느끼는 데 서툴다. 그런 점에서 저자 마태가 가진 고유의 사회적, 종교적 배경에 관심을 기울이며, 마태복
음이 가진 독특함을 부각시키고 있는 이 주석서는 “마태에 의한” 예수님의 이야기가 우리의 신앙과 교회의 삶에서 그 자체로 갖는 
맛과 가치를 느끼고 음미하게 돕는 최적의 동반자 중 하나이다. 또한 이 주석서를 읽는 일은 한 분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가 교회의 
삶 속에서 어떻게 나름의 관점을 가진 이야기로 들려질 수 있는지를 배우는 경험이기도 할 것이다. 마태복음을 진지하게 공부하려
는 이들에게 또 하나의 좋은 참고서가 생긴 셈이다. 이에 적극 추천한다. 
- 권연경 박사(숭실대학교 기독교학 교수)
앵커바이블 주석 시리즈는 내용적으로나 학술적으로나 다른 어떤 주석 시리즈와도 비교될 수 없는 탁월한 전문성을 갖는 책들임
에 틀림없다. 더욱이 당대 최고의 성경신학자들이 맡은 마태복음 주석은 모든 독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도 저자들인 고고학의 아버지라 일컫는 W. F. 올브라이트(W. F. Albright) 박사와 C. S. 만(C. S. Mann) 박사의 명성은 본 주석에 
대한 신뢰를 더한다. 
그는 자신의 고고학적인 연구(특히 팔레스타인 도자기 유형의 규범을 발전시킨 것은 그의 주된 성과이다)를 통해 성경에 나타난 
이스라엘 역사의 정 성에 대해 주장한 학자이다. 또한 그는 조셉 A. 피츠마이어(Joseph A. Fitzmyer), 레이몬드 E. 브라운
(Raymond E. Brown), 데이비드 노엘 프리드만(David Noel Freedman) 등 성경신학과 고대 근동 분야에서 세계적인 학자들의 스
승이기도 했다. 이러한 그가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주석을 만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독자들의 가슴을 뛰게 한다. 이러한 연구적 
배경과 더불어 저자들은 마태복음이 도대체 어떻게 왜 세상에 나오게 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본서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자연스럽게 저자 마태에게 주목하게 하고 마태복음이 탄생하게 된 과정과 복음서 본문 내용에 집중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서에서는 사복음서의 개론적 신학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마태복음의 신학적 이슈들과 그 책이 탄생하기까지의 삶의 정황
(Sitz im Leben), 즉 종교, 철학, 사회, 정치, 문화적 배경 등이 잘 기술되어 있다. 특히 저자들은 이 고대의 복음서를 대함에 있어
서 독자들의 현대적 편견을 지적하는데, 이러한 권면은 더욱 생생한 복음서의 해석에 도움이 된다. 이런 점에 있어서 본서는 보다 
더 넓은 독자층에게 다가갈 수 있는 주석서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서의 학문적 성과와 결실은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을 것이
다. 마태복음의 고고학적 배경과 시대적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며 본문의 의미를 알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하는 바
이다.
- 장세훈  박사(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목차
추천사1·5
추천사2·7
추천사3·8
서문·10
역자 서문·14
약어표·16
1장. 복음서와 정경복음서·27
     도마복음서(The Gospel of Thomas)에 대한 간략한 참고문헌
2장. 마태복음과 공관복음서의 관계·49 
3장. 공관복음서의 “Q” 자료·63 
4장. 마태복음의 구약 배경·69 
5장. 제자들·93 
6장. 하나님 나라: 인자와 메시아 공동체·102 
7장. 하나님 나라: 인자와 아버지·111 
8장. 하나님 나라: 하늘의 나라·125
9장. 예수님과 율법·132
      부록: 휘포크리시스(Hupokrisis), 휘포크리테스(Hupokritēs), 휘포크리네스타이(Hupokrinesthai)·145 
10장. 마태복음의 기적들·156
11장. 마태복음의 비유들·165
12장. 마태복음의 메시아·189
13장. 저자와 연대·200
       부록 A: 장로 요한(The Presbyter John)·233 
       부록 B: 요한복음과 헤르메스주의 문헌(Hermetic Literature)·235
엄선된 참고문헌·240
2부 / 번역과 주석
1장.
 1. 예수님의 족보(1:1-17)·255
 2. 예수님의 탄생(1:18-25)·264
2장.
 3. 박사들의 방문(2:1-12)·270 
 4. 이집트로의 도피(2:13-15)·278 
 5. 영아 살해(2:16-18)·279 
 6. 이집트에서의 복귀(2:19-23)·281
3장.
 7. 세례 요한(3:1-12)·286 
 8. 예수님의 세례(3:13-17)·293
4장.
 9. 시험(4:1-11) ·297 
 10. 사역의 시작(4:12-17)·304 
 11. 첫 제자들(4:18-22)·306 
 12. 갈릴리에서의 사역(4:23-25)·308
5장.
 13. 위대한 가르침: 하늘의 나라(5:1-12)·311 
 14. 위대한 가르침: 제자의 표지(5:13-16)·324 
 15. 위대한 가르침: 율법-완성(5:17-20)·327 
 16. 위대한 가르침: 분노(5:21-26)·331 
 17. 위대한 가르침: 율법-간음(5:27-30)·335 
 18. 위대한 가르침: 율법-혼인(5:31-32)·336 
 19. 위대한 가르침: 율법-맹세(5:33-37)·338 
 20. 위대한 가르침: 율법-보복(5:38-42)·339 
 21. 위대한 가르침: 율법-원수(5:43-48)·343
6장.
 22. 위대한 가르침: 구제(6:1-4)·345 
 23. 위대한 가르침: 기도(6:5-15)·346 
 24. 위대한 가르침: 금식(6:16-18)·351 
 25. 위대한 가르침: 재물(6:19-21)·352 
 26. 위대한 가르침: 제자도와 초연한 삶(6:22-34)·353
7장. 
 27. 위대한 가르침: 제자도(7:1-14)·358 
 28. 위대한 가르침: 거짓 교사들(7:15-20)·361 
 29. 위대한 가르침: 거짓 제자들(7:21-29)·362
8장. 
 30. 치유(8:1-18) ·367 
 31. 질문자(8:19-22)·375 
 32. 풍랑을 잠재우심(8:23-27)·378 
 33. 가다라 귀신들(8:28-9:1)·380
9장.
 34. 권위에 대한 질문(9:2-8)·383 
 35. 마태를 부르심(9:9-13)·386 
 36. 요한의 제자들(9:14-17)·389 
 37. 치유(9:18-34)·392 
 38. 선교와 제자도(9:35-38)·398
10장.
 39. 열두 제자의 선교(10:1-15)·400 
 40. 제자도의 대가: 선교(10:16-25)·410 
 41. 제자도의 대가: 두려움(10:26-31)·415 
 42. 제자도의 대가: 메시아에 대한 시인(10:32-11:1)·417
11장.
 43. 요한의 질문과 예수님의 증언(11:2-19)·425 
 44. 책망(11:20-24)·435 
 45. 아들의 기도(11:25-30)·437
12장.
 46. 율법 논쟁(12:1-15a)·442 
 47. 치유, 축귀, 도전(12:15b-37)·447 
 48. 표적을 요구함(12:38-45)·455 
 49. 예수님의 어머니와 형제들(12:46-50)·458
13장. 
 50. 하나님 나라 비유(13:1-52)·460 
 51. 불신앙(13:53-58)·472
14장.
 52. 세례 요한의 죽음(14:1-12)·475 
 53. 먹이심(14:13-21)·477 
 54. 물 위를 걸으심(14:22-36)·481
15장.
 55. 율법에 대한 질문들(15:1-20)·484 
 56.수로보니게 여인과 치유들(15:21-31)·489 
 57. 먹이심(15:32-39)·491
16장.
 58. 표적을 요구함(16:1-12)·493 
 59. 베드로의 고백(16:13-20)·496 
 60. 수난 예고(16:21-28)·504
17장.
 61. 변형(17:1-13)·508 
 62. 믿음에 대한 가르침(17:14-21)·516 
 63. 수난 예고(17:22-23)·517 
 64. 성전세에 대한 질문(17:24-27)·518
18장.
 65. 하나님 나라에서의 서열(18:1-9)·523 
 66. 잃어버린 양(18:10-14)·526 
 67. 공동체 규율(18:15-20)·529 
 68. 용서에 대한 질문(18:21-35)·531
19장.
 69. 율법에 대한 질문(19:1-12)·533 
 70. 어린 아이들을 축복하심(19:13-15)·539 
 71. 참된 재물(19:16-30)·540
20장.
 72. 하나님 나라: 포도원의 품꾼들(20:1-16)·549 
 73. 수난 예고(20:17-19)·553 
 74. 하나님 나라에서의 서열(20:20-28)·554 
 75. 두 맹인(20:29-34)·565
21장.
 76. 예루살렘으로의 개선(21:1-11)·567 
 77. 성전 정화(21:12-17)·571 
 78. 권위에 대한 질문(21:18-27)·578 
 79. 세 가지 비유(21:28-46)·581
22장.
 80. 하나님 나라 비유(22:1-14)·590 
 81. 질문들(22:15-46)·593
23장.
 82. 율법주의에 대한 경고(23:1-36)·601 
 83. 예루살렘을 향한 탄식(23:37-39)·613
24장.
 84. 성전의 미래(24:1-2)·615 
 85. 다가오는 박해(24:3-14)·621 
 86. 임박한 징조들(24:15-28)·626 
 87. 인자의 오심(24:29-44)·631 
 88. 하나님 나라 비유1(24:45-25:13)·635
25장.
 89. 하나님 나라 비유2(25:14-30)·639 
 90. 심판(25:31-46)·641
26장.
 91. 유월절: 예수님을 죽이려는 음모(26:1-5)·650 
 92. 유월절: 베다니(26:6-13)·653 
 93. 유월절: 배반(26:14-16)·655 
 94. 유월절: 최후의 만찬(26:17-29)·657 
 95. 유월절: 겟세마네(26:30-46)·666 
 96. 체포당한 예수님(26:47-56)·669 
 97. 공회 앞에 선 예수님(26:57-68)·673 
 98. 베드로의 부인(26:69-75)·681
27장.
 99. 빌라도에게 넘겨진 예수님(27:1-2)·683 
 100. 유다의 죽음(27:3-10)·685 
 101. 빌라도에게 심문당한 예수님(27:11-14)·687 
 102. 사형을 선고 받은 예수님(27:15-26)·688 
 103. 조롱당함(27:27-31)·691 
 104. 십자가에 달림(27:32-44)·693 
 105. 예수님의 죽음(27:45-56)·695 
 106. 장사됨(27:57-66)·703
28장.
 107. 예수님의 부활(28:1-15)·707 
 108. 예수님의 마지막 명령(28:16-20)·713
Key to the Text·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