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고객

한국기독교회사 3 (1960-2010)

  • 1,313
  • 페이스북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확대보기

박용규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8년 03월 15일 출간

ISBN 9791187274070

품목정보 1,300p

가   격 58,000원 52,200원(10%↓)

적립금 2,900원(5%)

카드
무이자
혜택보기

배송정보이 상품을 포함하여 15,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준비기간0일 이내 (토/주일/공휴일 제외, 당일 오전9시 이전 결제완료 주문기준) 설명보기

품목코드A000222608

매장현황
설명보기 지점별재고
광화문 강남 일산 구로 의정부 노원
0 0 0 0 0 1
* 주의: 실시간 재고수량이 달라지므로 방문전 전화확인 필수!
수량 상품 수량 1 감소 상품 수량 1 증가

총 합계금액0

상품 상세 정보
바로구매 장바구니 위시리스트
필독! 공지사항

함께 보면 좋은 상품이예요




종교개혁자 존 칼빈은 역사 속의 인간을 “하나님의 대언자로서 역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존재”로 이해했다. 그에게 세계는 하나님의 주권에 의해서 변형(transform)되어야 할 하나님의 객체(object)였다. 그에게 그리스도인이란 하나님의 역사를 실천하는 역사 창조의 역군, 곧 ‘그리스도의 전사’(militia Christi)다.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가 한 시대를 어떻게 이해하고 조명할지 그에게서 교훈을 얻는다. 한 시대를 그리스도의 전사로 살아가는 존재로서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책무는 하나님의 역사에 동참하는 창조의 역군으로 부름을 받았다는 자의식을 잃지 않는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늘 이 자의식을 가지고 하나님과 역사 앞에 서야 한다. 하나님 앞에 서는 것과 역사 앞에 서는 것 이 둘이 별개가 아니라는 사실을 깊이 인식할 때 우리는 하나님의 거룩한 새 창조의 역사에 동참할 수 있다. 하나님이 역사의 주관자라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하나님과 역사 앞에 서 있는 존재라는 인식을 가지고 과거 역사를 성찰해야 한다. 그럴 때 하나의 객체로서 자기 자신은 물론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매 순간 하나님과 역사 앞에 서있고, 또 서 있어야 할 존재라는 인식, 바로 이것이 기독교 역사의식의 출발이다.
이 같은 기독교 역사의식은 개인과 공동체의 소명의식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믿는 사람은 세상으로부터 부름 받은 사람이면서 동시에 세상으로 보냄을 받은 사람이다. 세상으로부터 부름을 받고 다시 세상으로 파송 받은 그리스도인들이 증인의 사명을 충실하게 감당하기 위해서는 위로부터 임하시는 성령의 권능을 받아야 한다.
본서는 세상으로부터 부름 받고 다시 세상으로 파송을 받은 성도들과 그들로 구성된 교회, 그리스도가 재림하실 때까지 여전히 세상 속에 존재하는 그리스도의 교회가 어떻게 복음 본연의 사명을 감당해 나갔는지를 밀도 있게 추적하였다. 그래서 교회 안에서 일어난 사건들만 아니라 세상에서 일어난 한국근대사의 걸출한 사건들, 4․19 혁명, 5․16 군사정변, 민주화운동을 상술하고 그 속에서 교회가 어떤 역할을 했는가를 고찰하고 평가하려고 하였다.


추천의 글



본서는 그간의 한국교회사 연구를 복음주의의 견지에서 집대성한 책으로 포괄적이면서도 상세하게 다루고 있어서 신학도뿐 아니라 목회자들도 갖추어야 할 저서다. -김영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목차



머리말 5
3권 서문 9
서론 21
제 I 부 혁명과 정체성 파악의 시대
제 1장 혁명시대의 한국교회 67
1. 이승만 정권과 한국교회의 정치 참여 ․ 68
2. 4․19 혁명과 한국교회 ․ 74
3. 5․16 군사정변 ․ 90
4. 산업화와 도시화 ․ 93
5. 혁명시대, 정부에 대한 기독교 시각 ․ 100
제 2장 세계교회협의회와 하나님의 선교 107
1.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등장 ․ 109
2.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마르크스주의 ․ 114
3.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해방신학 ․ 116
4. 개인구원에서 사회구원으로 ․ 119
제 3장 한국교회의 토착화논쟁 124
1. 토착화신학의 발흥 배경 ․ 126
2. 1960년대 토착화신학 ․ 129
3. 1970년대 토착화신학 ․ 135
4. 1980년대 이후 토착화신학 ․ 152
5. 토착화신학에 대한 복음주의적 평가 ․ 159
제 4장 한국장로교회 분열과 일치를 위한 노력 163
1. 1959년 분열 후 예장합동과 예장통합 ․ 165
2. 예장합동의 고려파와의 연합과 환원 ․ 182
3. 예장통합과 예장합동의 재연합 논의 ․ 195
4. 1967년 신앙고백 문제 ․ 208
5. 1960년대 한국장로교의 변천 ․ 231
제 II 부 대중전도운동과 한국교회성장
제 5장 대중전도운동과 민족복음화운동 239
1. 전국복음화운동 ․ 242
2. 1973년 빌리 그래함 서울대회 ․ 243
3. 1974년 엑스플로 ’74대회 ․ 251
4. 1977년 민족복음화대성회 ․ 262
5. 1980년 ’80 세계복음화대성회 ․ 265
6. 1984년 한국기독교 100주년 선교대회 ․ 270
제 6장 한국교회의 놀라운 성장 278
1. 한국교회 급성장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 ․ 279
2. 1970, 1980년대 급성장한 한국교회 ․ 282
3. 대형교회들의 등장 ․ 291
제 7장 급성장한 한국교회 주류교단: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294
1. 기독교대한감리회 ․ 297
2. 한국성결교 분열, 연합, 성장 ․ 316
3. 급부상한 한국침례교회 ․ 348
제 8장 오순절운동과 여의도순복음교회의 급부상 360
1. 미국 오순절운동의 태동배경 ․ 364
2. 한국순복음교회 설립의 역사적 배경 ․ 383
3. 신유사역을 통한 급성장 ․ 392
4. 3박자 구원신앙, 5중복음과 3중축복 ․ 395
5. 순복음오순절운동의 영향과 평가 ․ 403
제 9장 한국교회 ‘또 하나의 주역,’ 개신교 중소교단 417
1. 한국그리스도의교회 ․ 418
2. 대한민국구세군(구세군 대한 본영) ․ 430
3. 대한성공회 ․ 433
4. 한국나사렛교회 ․ 434
5. 대한예수교 재건교회 ․ 435
6. 한국루터교회 ․ 439
제 Ⅲ 부 전환기의 한국교회
제 10장 민주화와 근대화 과정, 그 격변의 한국교회 443
1. 1970년대 한국교회의 민주화운동 ․ 445
2. 도시산업선교 ․ 457
3. 1980년대 한국교회와 민주화운동 ․ 470
4. 박정희 대통령 시해와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 478
5. 6월 항쟁과 복음주의자들의 사회정치참여 ․ 497
제 11장 교단의 분열과 신학교의 난립 504
1. 예장합동의 주류와 비주류의 대립 ․ 505
2. 방배동 총신으로 알려진 복구총회신학교 ․ 518
3. 1980년 합동신학교 설립 ․ 529
4. 무인가 신학교의 난립과 무자격 목회자 양산 ․ 536
제 12장 심화되는 한국교회의 양극화 현상 549
1. 교회의 물량주의와 세속화 ․ 550
2. ’88 서울올림픽과 급속한 도시화 ․ 557
3. 1980년대 교회의 대형화 ․ 559
4. 농촌인구 감소와 농촌교회의 쇠퇴 ․ 564
5. 한국교회 신앙의 양극화 ․ 569

제 IV 부 한국복음주의운동과 해외선교운동
제 13장 근대복음주의운동과 한국복음주의운동 579
1. 미국복음주의운동 ․ 581
2. 미국복음주의신학 ․ 608
3. 한국복음주의운동 ․ 627
제 14장 한국복음주의교회의 급부상 689
1. 한국복음주의연합운동, 한 사례: 강남연합신앙강좌 ․ 691
2. 한국복음주의 4인방: 옥한흠, 홍정길, 하용조, 이동원 ․ 698
3. 한국복음주의지도자들의 활동 평가 ․ 706
제 15장 제자운동과 복음주의운동의 확산 708
1. 제자운동의 발흥, 역사적 배경 ․ 711
2. 제자훈련의 저변 확대와 그 영향력 ․ 720
3. 복음주의 교회상의 정착과 저변 확대 ․ 726
4. 제자운동과 한국교회 연합운동: 교갱협, 한목협 ․ 739
제 16장 평신도운동과 평신도 리더십의 급부상 746
1. 평신도 지도자들의 급부상 배경 ․ 747
2. 제자훈련, 평신도를 잠에서 깨우다 ․ 752
3. 코스타, 전문직종의 평신도를 세우다 ․ 754
제 17장 한국교회 해외선교운동 762
1. 급부상한 한국복음주의 해외선교 ․ 764
2. 한국교회 해외선교운동의 급부상 ․ 781
3. 세계선교를 촉진시킨 해외이민 붐 ․ 790
4. 북방외교수립과 북방선교 ․ 795
5. 해외선교 파송현황 ․ 803
6. 높아진 해외선교 위상 ․ 807

제 V 부 도전받는 한국교회
제 18장 한국천주교의 놀라운 성장 819
1. 해방 후 한국천주교의 재편 ․ 821
2. 한국천주교의 급성장 ․ 825
3. 천주교 급성장의 주역, 김수환 추기경 ․ 832
4. 정의구현사제단, 천주교의 정치세력화 ․ 837
5. 한국천주교의 급성장, 그 평가와 전망 ․ 842
제 19장 급부상한 한국교회 이단세력 855
1. 1960-1980년대 이단들의 급부상 ․ 857
2. 1980년대 통일교의 기성교회 침투 ․ 859
3. 박태선의 전도관 ․ 865
4. 김기동 귀신론과 베뢰아 아카데미 ․ 868
5. 깨달음의 종교, 구원파 ․ 873
6. 이장림과 1992년 10월 28일 재림론 ․ 879
7. 류광수의 다락방 전도운동 ․ 889
8. 평강제일교회(구 대성교회) 박윤식 ․ 894
9.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 899
10. 급부상한 신흥이단: 안상홍증인회와 만민중앙교회 ․ 908
제 20장 한국교회의 침체와 위기 916
1. 급속하게 쇠락해진 한국교회 ․ 919
2. 한국교회 침체의 원인들 ․ 921
3. 급변하는 정치 사회적 환경변화 ․ 949
제 21장 한국교회의 신학사상 논쟁 955
1. 민중신학에 대한 복음주의의 답변 ․ 956
2. 종교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논쟁 ․ 965
3. ‘표준성경’ 출간과 성경번역 논쟁 ․ 974
4. 한국교회 성령론 논쟁 ․ 980

제 22장 예장통합: 성경적 복음적 에큐메니칼 신학 997
1. 한경직: 민족복음화운동과 사회적 책임 ․ 1000
2. 1985년 장신대 신학성명서 ․ 1014
3.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 그 내용과 방법론 ․ 1019
4. 2015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 ․ 1023
5. 장신대 신학 평가 ․ 1033
제 23장 예장합동: 개혁파 장로교전통과 복음주의 유산 1036
1. 평양장로회신학교 신학전통 ․ 1038
2. 성경의 절대권위와 복음전파 ․ 1041
3. 박형룡의 ‘칼빈주의 개혁파 장로교의 전통적 복음주의신앙’ ․ 1052
4. 명신홍, 박윤선, 그리고 신진 젊은 교수진 ․ 1062
5. 1979년 “총신의 신학적 입장” ․ 1070
6. 1995년 총신대학교 신앙고백서 ․ 1079
7. 2001년 설립 100주년, 총신의 신학적 입장 ․ 1084
제 VI 부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의 한국교회
제 24장 한국교회의 통일논의 1091
1. 1970년대 이후 한국교회 통일논의 ․ 1093
2. 1980년대 통일논의의 시작과 진행 ․ 1099
3. 1990년대 이후 통일논의 ․ 1111
4. 2000년대 이후 한국교회 통일논의 ․ 1114
제 25장 평양대부흥 100주년: 이 땅 부흥케 하소서 1120
1. 2004년 부활절연합예배 ․ 1122
2. 부흥을 사모하는 모임들 ․ 1123
3.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 대회 ․ 1129
4. 연합과 일치를 위한 결실 ․ 1131
제 26장 WCC 변천: 암스테르담부터 부산총회까지(1948-2013) 1134
1. 1948년 1차 암스테르담부터 1961년 3차 뉴델리총회까지 ․ 1137
2. 1968년 4차 웁살라부터 1983년 6차 밴쿠버총회까지 ․ 1143
3. 1991년 7차 캔버라부터 2006년 9차 포르토 알레그레 총회까지 ․ 1147
4. 한국교회와 WCC 에큐메니칼운동 ․ 1152
5. 2013년 10차 WCC 부산총회 ․ 1156
제 27장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 변화, 반성, 과제 1161
1. 밀레니엄 시대 한국교회 변화 ․ 1162
2. 신흥 한국대형교회, 그들의 현주소 ․ 1170
3. 해결되지 않은 진보와 보수의 대립 ․ 1181
4. 한국교회 스캔들과 윤리적 위기, 그 단면들 ․ 1184
5. 2015년 통계청 종교인구 발표와 한국개신교 전망 ․ 1208
6.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 ․ 1219

맺는 말 1237
한국기독교회사 3 주요 사건 연표(1960-2010) ․ 1245
참고문헌 ․ 1257
주제 색인 ․ 1289
인명 색인 ․ 1298


소개
한국기독교회사_박용규(한국기독교사연구소)

전체선택 장바구니담기 위시리스트

박용규
저자 박용규 교수는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총신대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석사(M. Div.) 과정을 마쳤다. 그 후 미국 포틀랜드의 Western Evangelical Seminary에서 신학(M. A.)을 공부하고. 시카고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역사신학으로 신학 석사(Th. M.)와 철학박사(Ph. D.)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Visiting Scholar와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에서 Visiting Fellow로 연구했다. 현재 총신대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기독교사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1994년 저서 『초대교회사』로 제1회 신학자 대상을. 1996년에는 『죽산 박형룡 박사의 생애와 사상』으로 한국기독교 출판대상 우수상을. 2005년에는 『한국기독교회 사 1. 2』로 총신학술상 최우수상을. 2006년에는 『평양대부흥 이야기』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국내목회자료부문 최우수상을 수 상하였다. 저서로는 “Korean Presbyterianism and Biblical Authority : The Role of Scripture in the Shaping of Korean Presbyterianism. 1918-1953”. 『한국장로교사상사』(1992). 『초대교회사』(1994). 『근대교회사』(1995). 『죽산 박형룡 박사의 생애와 사상』 (1996)(이상 총신대출판부). 『한국교회를 깨운 복음주의 운동』(두란노. 1998). 『한국교회를 깨운다』(1998). 『평양대부흥운동』 (2000). 『한국기독교회사 1. 2』(2004). 『이 땅. 부흥케 하소서!』(공저. 2004). 『평양산정현교회』(2006). 『평양대부흥 이야기』 (2006). 『부흥의 현장을 가다』(2008). 『제주기독교회사』(2009)(이상 생명의말씀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한국교회와 네비 우스 선교정책』(기독교서회. 1994)과 『근본주의와 미국문화』(1997). 『세속에 물들지 않는 영성』(2004)(이상 생명의말씀사) 외 다수가 있다.
평점 0 매우 별로예요! 총 0건 평가 기준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상품관련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립니다.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상품Q&A쓰기

배송 관련정보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교환/환불 관련 정보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
파본상품은 반품/교환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유선전화나 게시판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주문취소
•주문상품  취소는 "입금확인중(전체취소만 가능)/결제완료(부분취소도 가능)" 단계에서만 가능합니다.
•"입금확인중" 단계에서는 부분취소가 되지 않사오니 부분취소를 원하시면 전체취소후 재주문 주셔야 합니다.
•무통장 및 가상계좌 결제의 경우 주문일 기준으로 15일이후까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주문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반품/교환
•받으신 상품을 사용하지 않으신 경우, 출고완료 후 7일 이내에 반품이 가능합니다.
•주문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 "마이페이지>취소/반품/교환신청"메뉴에서 반품/교환신청이 가능합니다.
•교환은 상품불량 및 오배송 시에만 동일제품에 한하여 교환됩니다.다른 상품으로 교환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기 원하시면 반품후 새로 주문해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변심에 따른 반품의 경우 편도/왕복 배송비가 부과되며 배송료는 고객 부담입니다.
-전체반품시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미달일경우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이상일경우 편도배송비 부과


※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시즌 상품의 경우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습니다.꼭 숙지해 주세요.(월간지/다이어리/절기공과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교재/악보/음반 및 멀티미디어 등)경우 성경공부교재 및 악보는 받으신 이후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으며 음반 및 멀티미디어의 경우 포장을 훼손한 경우 반품/환불이되지 않습니다.
•인쇄성경/스프링제본 등과 같이 고객 요청으로 별도제작된 상품인 경우
•고객님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단, 가전제품, 음반 등의 일반 상품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가지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 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비닐로 랩핑된 상품의 경우 비닐을 뜯으시면 반품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