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주 교수가 쉽게 쓴 한국 교회 이야기
이덕주 | 신앙과지성사
15,000 13,500원
한국기독교회사 3 (1960-2010)
박용규 | 한국기독교사연구소
58,000 52,200원
한국교회사론
최재건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50,000 45,000원
(믿음의 글들 234) 한국 교회 처음이야기
이덕주 | 홍성사
14,000 12,600원
[개정판] 한국 기독교의 역사 2
한국기독교역사학회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5,000 13,500원
한국기독교회사 1 (1784-1910)
박용규 | 한국기독교사연구소
55,000 49,500원
[개정판] (교회사 총서 4) 근대교회사
박용규 |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3,000 20,700원
아담스와 함께 걷는 청라언덕
양신혜 | 크리스천르네상스
24,000 21,600원
한국적 기독교영성의 뿌리를 찾아서
심중식 | 대장간
12,000 10,800원
1974년 전후 고신교회의 내분과 분열
이상규(4) | 굿트리
27,000 24,300원
비긴 어게인
신촌성결교회 | 두란노
19,000 17,100원
이종전의 인천기행
이종전(1) | 아벨서원
22,000 19,800원
예수냐 우상이냐
김대응(3)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7,000 15,300원
신사참배백서1권
기독교한국 | 기독교한국
23,000 20,700원
밀알의 흔적
박중기 | 크리스챤서적
13,000 11,700원
한편의 한국기독교회사 통사(通史)를 쓴다는 것은 보람된 일이지만 그처럼 힘들고 고된 작업은 없는 것 같다. 특별히 나 같은 둔재에게는 더욱 그렇다. 그것은 단순히 자료를 발굴하는 과정과 서술 작업이 쉽지 않아서만은 아니다. 외형적인 사건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 이면에 담긴 신앙적 의미를 도출하여 전체 역사를 총체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은 역사적 혜안과 뛰어난 문장력, 그리고 오랜 인내가 동시에 요구되는 결코 단순한 작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작업을 진행하면서 참으로 나 자신의 한계와 부족을 매 순간 피부로 경험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누군가가 해야 할 작업이라며 스스로를 위로하곤 했다.
본서 집필의 시작은 필자가 총신대 신대원 교수로 부임해 한국교회사 강의를 맡기 시작한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난 13년 동안 강의가 진행되면서 한국기독교회사 통사 작업에 착수, 중단하지 않고 해마다 조금씩 연구․수정․보완하다 보니 여기에 이르게 되었다. 연구한 것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때로는 토의와 질문을 통해 다듬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총신대 신학대학원과 일반대학원 학생들이 있기 때문에 본서는 가능할 수 있었다.
본 한국기독교회사는 제 1권(1784-1910), 제 2권(1910-1960), 제 3권(1960-현재)으로 나뉘며, 다음 몇 가지 원칙을 가지고 집필되었다.
첫째, 한국교회사를 복음주의적(福音主義的)이고 개혁주의적(改革派主義的)인 관점에서 기술했다는 사실이다. 장감(長監)은 물론 기타 교파 역시,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은 복음주의라는 자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영미에서 강하게 일고 있던 근대복음주의 운동의 영향을 받고 한국에 파송 받은 미국의 남북장로교, 캐나다, 호주 장로교를 비롯 장로교 선교사들은 개혁파 복음주의(改革派 福音主義) 정신을 가진 자들이었고, 남북감리교 선교사들과 구세군 선교사들 역시 웨슬리안 복음주의 정신 속에서 신학교육을 받고 파송된 자들이었다. 이것은 동양선교회(東洋宣敎會)와 동아기독교(東亞基督敎)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이와 같은 근대 복음주의 전통은 선교사역과 평양장로회신학교, 협성신학교 같은 신학교의 신학교육을 통해 한국교회에 계승되었다. 한국교회가 어느 다른 나라의 교회보다도 “복음”이 전 역사 속에서 뚜렷한 축을 형성하며 진행될 수 있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선교가 시작된 이래 복음전파, 복음의 순수성, 그리고 복음의 대 사회적-문화적-민족적 책임은 한국교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시금석이었다.
둘째, 자연히 한국에 복음을 전해 준 선교사들과 그 신앙을 물려받은 한국교회의 신앙적 신학적 전통을 소중하게 다루었다. 선교사들의 신앙과 신학, 그들이 사용한 선교 정책, 그리고 1930년대 한국교회의 신학적 변천과 신사참배의 도전과 응전은 이와 같은 신앙적 신학적 전통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자세하고 무게 있게 다루었다. 본서에서 다룬 1920년대부터 일기 시작한 이단의 발흥과 정경옥, 김재준, 박형룡, 이용도, 김교신으로 대변되는 1930년대의 신학적 변천은 그 구체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한국교회 부흥운동, 1903년의 원산부흥운동과 1907년의 평양대부흥운동, 그리고 1909년의 백만인구령운동을 비교적 소상하게 다루었다. 그것은 이 사건이 한국교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사건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 운동이 이전의 한국교회와 그 후의 한국교회를 이어 주는 가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1890년 채택된 네비우스 선교 정책의 일환 사경회운동과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진행된 한국교회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의 연합운동, 교회성장, 사회개혁, 민족복음화운동, 그리고 해외선교로 이어지면서 이후 한국교회 생명력의 원동력이 되었다.
넷째, 서술과정에서 교회가 처한 시대적 배경, 정황, 주변 환경을 간과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그것은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대립과 침략이 끊이지 않았고, 이것이 한국교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청일전쟁, 러일전쟁, 일제의 식민지배, 남북의 분단, 6․25전쟁은 때로는 교회의 존립까지 위협할 만큼 중요했다는 점에서 이들 사건들과 교회와의 연계성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다섯째, 물론 복음주의적 역사해석을 시도했지만 할 수 있는 한 역사 해석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했다. 균형 잡힌 역사해석은 총체적이고 통시적인 한국기독교회사 조명에 필수적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원자료는 가능한 그대로 소개하려고 했다. 필요한 경우 길어도 전체 원문을 본문에 삽입하여 독자가 접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들 자료 가운데는 이미 소개된 것도 있지만 아직 공개되지 않았던 자료도 여럿 포함되었다.
머리말 5
제 I 부 제도적인 틀을 다지는 한국교회
제 1 장 틀을 다져가는 한국교회 15
1. 남북감리교와 감리교 협성신학교 ․ 17
2. 대한예수교장로회의 조직 ․ 30
3. 동양선교회와 대한기독교의 발전 ․ 74
제 2 장 초기 한국교회 해외선교 86
1. 대한예수교장로교의 제주선교 ․ 88
2. 일본으로 확대되는 해외선교 ․ 99
3.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선교 ․ 102
4. 만주와 중국선교 ․ 104
제 II 부 민족주의 발흥과 기독교 사회개혁
제 3 장 일본의 신민화 작업과 민족주의 발흥 115
1. 한일병탄과 국권의 상실 ․ 116
2. 항일운동과 기독교 민족주의 ․ 123
3. 일본의 한국통치에 대한 선교회의 태도 ․ 135
4. 105인 사건과 일제의 기독교 탄압 ․ 141
5. 3․1 운동 ․ 157
6. 관동 대지진과 한국인 학살 ․ 185
제 4 장 변천하는 사회, 갈등하는 교회 190
1.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발흥 ․ 193
2. 교회 밖으로부터의 기독교 비판 ․ 200
3. 교회 내부로부터의 도전: 이단의 전성시대 ․ 206
4. 서울과 평양선교부의 갈등 ․ 238
제 5 장 3․1 운동 이후 부흥운동과 대 사회 문화운동 255
1. 사회계몽운동: 절제운동, 농촌운동, 진흥운동 ․ 257
2. 1920년대 부흥운동과 종말신앙의 발흥 ․ 279
3. 청소년운동과 주일학교운동 ․ 311
4. 출판문화운동 ․ 334
5. 대 사회사업운동 ․ 339
제 III 부 도전과 응전의 시대
제 6 장 변화하는 한국교회 352
1. 한국교회협의회의 조직과 변천 ․ 354
2. 남북 감리교의 합동과 신앙고백 ․ 362
3. 합동 후 조선감리교회의 활로: 새 술은 새 부대에 ․ 382
4. 뚜렷한 전환점을 맞은 장감선교 50주년 ․ 407
제 7 장 성결교: 새로 부상하는 복음주의 세력 1930-1935 420
1. 동양선교회 성결교회의 도약 ․ 422
2. 1930년대 성결교 대부흥운동 1932-1935 ․ 430
3. 성장을 위한 제도적인 틀의 구축 ․ 477
제 8 장 자유주의 도전과 보수주의 응전 495
1. 자유주의 발흥의 역사적 배경 ․ 498
2. 자유주의 도전, 그 논쟁의 채널 ․ 518
3. 자유주의 도전과 장로교 총회의 대응 ․ 568
제 9 장 1930년대 신학: 자유주의, 진보주의, 정통주의 578
1. 정경옥의 자유주의 ․ 579
2. 김재준의 진보주의 ․ 596
3. 박형룡의 정통주의 ․ 616
제 10 장 신비주의 부흥운동과 무교회주의 635
1. 신비주의 부흥사 이용도 ․ 637
2. 김교신과 무교회주의 ․ 668
제 11 장 신사참배 반대운동 684
1. 신사의 역사적 배경과 그 본질 ․ 685
2. 신사참배 강요 ․ 693
3. 타협하는 한국장로교회 ․ 719
4. 신사참배 반대운동 ․ 726
5. 전천년설과 신사참배 반대운동 ․ 740
6. 신사참배 문제의 교훈과 해결 과제 ․ 743
제 12 장 어두운 터널 그 한가운데 선 민족과 교회 749
1. 교회의 신사참배 굴복, 그 후의 변천 ․ 751
2. 배도하는 한국교회 ․ 757
3. 조선감리교혁신교단과 “일본기독교 조선장로교단”의 설립 ․ 773
제 IV 부 대립과 분열의 시대
제 13 장 민족의 해방과 남북교회의 재건 805
1. 국토의 분단과 북한교회의 수난 ․ 810
2. 장대현교회의 3․1절 행사 ․ 821
3. 조선기독교연맹과 주일 선거 ․ 825
4. 덕원수도원 사건 ․ 834
5. 남한교회의 재건 ․ 837
제 14 장 6․25 전쟁과 종교․사회적 혼란 858
1. 6․25전쟁과 한국교회의 수난 ․ 859
2. 전쟁복구사업, 부흥운동, 교회재건 ․ 868
3. 이단의 발흥: 용문산기도원, 통일교, 전도관 ․ 889
제 15 장 한국교회 대립과 분열 912
1. 분열의 역사적 배경 ․ 915
2. 51인 진정사건과 기장의 분립 ․ 934
3. 고려파의 분립 ․ 960
제 16 장 에규메니칼 (W.C.C.) 논쟁과 통합․합동의 분열 978
1. 에큐메니칼 논쟁의 역사적 배경 ․ 979
2. 한경직 목사와 에큐메니칼 운동의 저변확대 ․ 983
3. N.A.E.와 W.C.C. 에큐메니칼운동의 대립 ․ 994
4. 분열의 제 44회 대전 총회: 통합과 합동의 분열 ․ 1008
제 17 장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의 재건, 대립, 분열 1025
1. 감리교의 분열과 연합 ․ 1026
2. 성결교의 신학적 대립과 분열 ․ 1052
3. 주류로 편입하는 침례교회: 재건, 발전, 그리고 분열 ․ 1061
맺는 말 1081
한국기독교회사 2 1910-1960 주요 사건 연표 ․ 1091
참고문헌 ․ 1111
주제 색인 ․ 1125
인명 색인 ․ 1133
저자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
크기 |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
쪽수 | 전자책의 경우 제외 |
제품 구성 |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
출간일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목차 또는 책소개 | 상세화면 표시 |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만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2,5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