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래 죽어도 순종합네다 - 최광 선교사의 탈북 청소년 통독학교 이야기
최광 | 생명의말씀사
15,000 13,500원
(인도 선교 시리즈 2) 인도 선교의 이해 2
진기영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7,000 15,300원
인도의 길을 걷고 있는 예수
스탠리 존스 | IN크리스토
14,000 12,600원
우리 곁에 다가온 이슬람
유해석 | 생명의말씀사
13,000 11,700원
[개정4판] 구령의 열정
오스왈드 스미스 | 생명의말씀사
15,000 13,500원
우리의 사명은 선교다
스티브 리차드슨 | 생명의말씀사
15,000 13,500원
하나님의 선교
크리스토퍼 라이트 |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35,000 31,500원
바울로부터
최종상 | 두란노
25,000 22,500원
내가 가지 않으면 아무도 가지 않는다
이시온 | 규장
15,000 13,500원
현대 개혁주의와 선교신학 (은퇴기념)
김성욱 | 솔로몬(도)
38,000 34,200원
하나님 나라 선교신학과 이스라엘
한미정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4,000 21,600원
길을 떠나니 길이 보였다
이현정(3) | 쿰란출판사
18,000 16,200원
벚꽃 카펫
구연휘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5,000 13,500원
하나님의 선교 세상을 바꾸다
크리스토퍼 라이트 |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16,800 15,120원
하나님의 선교를 연주하다
마이클 고힌 |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22,000 19,800원
이 책은 저자의 2014년 미국 싸우스웨스턴침례신학교 전도학 박사학위 논문을 번역한 것으로 만약 북한에 남한교회가 들어갈 수 있는 문이 당장 열린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 답하며 그때를 위한 준비된 전략이 있다면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북한의 문을 열어 주실 것이라는 믿음으로 허물어진 북한 교회 재건과 남북의 복음 통일에 이바지하고 다시 오실 주님의 길을 예비한다.
추천사 1 이상규 박사︱전 고신대학교 교수, 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1
추천사 2 박상원 목사|기드온동족선교회 대표
도표와 그림 목록 8
약어표 9
머리말 10
이 책에 관한 간략한 안내 12
제1장 서론 14
1. 예양협정(禮讓協定: Missionary Comity)이란? 16
2. 주제에 대한 안내 17
3. 부제목과 분석적 방법론에 대한 설명 17
제2장 예양협정에 대한 고찰 24
1. 예양협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 24
2. 한국에서의 예양협정 41
3. 예양협정의 국제적 동향 63
4. 요약 105
제3장 두 패러다임의 충돌: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즘 107
1. 예양협정 논의에 나타난 두 패러다임 108
2. 두 패러다임의 발전 120
3. 요약 169
제4장 예양협정에 나타난 패러다임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평가 171
1. 성경 용어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 172
2. 지상 교회에 대한 이해 175
3. 교회 일치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 195
4. 교회 일치 개념에 따른 두 패러다임에 대한 평가 204
5. 요약 212
제5장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한 예양협정 215
1. 북한 복음화를 위한 한국 교회의 선교 방식 215
2. 현재의 선교 방식 216
3. 한국 교회의 북한 선교 방식에 대한 탈북민의 평가 216
4. 첫 번째와 세 번째 전략에 대한 탈북민의 평가 217
5. 두 번째 유형의 전략에 대한 탈북민의 평가 221
6. 정치적 개방을 염두에 둔 북한 복음화 전략: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한 계획 수립 221
7.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한 탈북민의 전략 229
8. 한국 교회 상황에서 본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즘 233
9. 성경적 예양협정을 위한 외국 학자들의 제안 238
10. 요약 244
제6장 결론 245
1. 예양협정에 대한 역사적 평가 245
2. 예양협정에 대한 성경적 평가 247
3. 역사적/성경적 교훈을 통해 수립할 수 있는 전략: 제한된 예양협정 249
4.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250
에필로그 251
참고 문헌 253
모든 교회의 관심을 만족시키고 교회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교리적인 타협을 시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지역분담은 추천할 만하다. 무엇보다도 지역 분담 정책은 비록 지역별로 교파 및 교단주의를 초래할 수는 있으나, 선교회를 전 지역에 고루 포진할 수 있게 하고 사역의 중복을 방지한다면 모든 지역의 복음화를 앞당길 수 있다. 단, 지역 분담은 선교 초기 제한된 기간 내에서 활용될 때 더 효과적이다.
p. 20
예양협정은 다양한 선교회 사이에서 복음의 효과적인 분배를 위한 방법을 공유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출판, 성경 번역, 병원 사역, 교육 사업, 그리고 선교지역 분담 등이 예양협정 차원의 방법론이었다. 이 중에서 선교지 지역 분담은 19세기와 20세기 초 선교지에서 보여준 대표적인 예양협정의 방법론이었다.
p. 27
예양협정은 한국 선교의 개척 단계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같은시대 다른 선교 현장에서도 시행되었음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즉, 한국에서 행해졌던 예양협정은 다른 세계 선교의 공동체들과 연계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라틴 아메리카와 중국에서 행해진 예양협정은 한국에서 실천된 예양협정의 모델이 되었다. 필리핀의 예양협정은 한국의 사례에 의한 도움을 받았다. 남인도의 예양협정 결의안은 중국의 선교단체에 제공되었다. 아프리카와 근동의 예양협정 또한 한국에서의 예양협정과 상호작용했다.
p. 63
교회 일치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에 의한다면, 에큐메니칼 운동은 기독교 세계의 제도적 일치를 강조한 나머지, 진리 안에서의 성화를 수반하는 그리스도인의 하나 됨을 추구하지 않았다. 반면, 복음주의자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복음의 순수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분리주의를 표방해 왔으며, 이에 따라 나타난 과도한 분열적 경향 속에서 신앙고백적 다양성을 유감스럽게 생각하면서 가시적 일치를 시도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하여 복음주의자들 또한 에큐메니칼 운동이 도입한 종교다원주의 내지 더 넓은 에큐메니즘을 암묵적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독교 기관, 교파와 교단, 전도 단체가 교회 자체와 동일시되지 않고 파라 처치(para-church)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p. 214
이 책은 북한의 개방을 염두에 둔 북한 교회 재건 전략을 담고 있다. 언제 남과 북이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을지 아는 사람은 없다. 한반도를 포함한 주변 나라의 이해관계는 복잡하여 생각할수록 미궁에 빠진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역사의 주관자는 하나님이시기에 하나님께서 계획해 놓으신 시간표에 따라 세상 역사는 움직여가고 있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정하신 때에 하나님께서 남과 북을 다시 이어주실 것이다. 하지만, 한국 교회가 통일을 맞이할 준비가 될 때 하나님께서 북한을 개방시켜 주실 것이다.“한국 교회가 어떻게 이것을 준비할 수 있는가?” 이는 너무나도 큰 질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답은 예상외로 간단하다. 한국 교회가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해 주님께서 원하시는 방식으로 합의된 전략을 가지면서 준비하는 것이다.
p. 251
이번에 문인철 박사의 『북한 선교 어떻게 할 것인가? - 북한 선교와 예양협정」이 출판된 것을 환영하고 축하합니다. 문인철 박사는 저의 제자로서 고신대학교 신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거쳐 미국 칼빈신학교에서 신학 석사 과정을 이수하고 미국 남부의 택사스주 싸우스웨스턴침례신학교에서 박사 학위(Ph.D.)를 취득한 학자입니다.
그는 학생 시절부터 성실하고 진지했고 차분하고도 균형 잡힌 사고를 하는 신학도였는데 오랜 수학의 과정을 끝내고 이 책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자신의 박사 학위 논문에 근거하고 있지만, 오늘의 한국 현실을 고려하고, 또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많은 부분을 수정하였고 평이하게 기술하였습니다.
오늘 한국 교회의 중요한 과제는 북한 선교 혹은 북한 복음화입니다. 해방 당시 북한 지역에는 약 3천여 교회, 30만 성도들이 있었으나 소련군의 진주와 공산 정권의 수 립 이후 기독교 신자들은 탄압을 받았고 교회는 폐쇄되기 시작하여 6.25 전쟁을 거치 면서 교회가 파괴되고 거의 소멸되어 지금 북한에는 지하교회 형태의 소수의 신자가 남아 있습니다.
이런 현실에서 북한 선교 혹은 북한의 복음화는 우리 교회의 가장 시급하고도 중차 대한 사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북한 복음화를 이룰 것인가 는 중요한 질문이 아닐 수 없습니다. 바로 이 질문에 답하는 것이 이 책의 주제입니다.
북한 지역 선교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진 이 책의 저자는 예견되는 통일을 앞두고 효과적인 북한 복음화를 위해서 한국 교회가 준비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준비되 지 않는 무분별한 그리고 경쟁적인 북한 선교는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고 또 교회를 분열하게 한다는 점을 경고하면서 인적, 물적 낭비를 줄이고 효과적으로 북한을 복음화 하기 위해서는 예양협정을 통해 선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저자는 한국에서의 선교 초기의 장감 선교부가 지향했던 예양협정과 일본이나 인도 등 외국의 여러 사례를 검토하면서 신앙고백을 달리하면서도 선교부 간의 협 력을 도출해 낼 수 있는 '예양협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할 때 북한에서 명실 상부한 하나의(one), 거룩한(holy), 사도적인(apostolic), 보편적인(iversal) 교회를 건설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점에서 문인철 목사는 한국 교회에 중요한 가르침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한국 교회와 북한을 위해 기도하며, 북한의 복음화를 이루려는 저자의 거룩한 열정이 가져온 학문적 성찰이라고 생각하고 저도 저자의 주장에 공감하며 기쁨으로 이 책을 추천합니다. 이 책이 통일 후 북한 교회 건설을 위한 소중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이상규 박사 | 전 고신대학교 교수, 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문의철 박사의 저서 『북한 선교 어떻게 할 것인가: 북한 선교와 예양협정」 출판을 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이 책은 북한의 개방을 염두에 두면서 쓴 것으로서, 한국 교회 가 북한 선교를 위해 어떻게 협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략을 담고 있습니다. 저와 문 박사와의 인연은 문 박사와 복음 통일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고 있던 저의 친구 목사의 소개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저와 문 박사는 어린 시절부터 품어왔던 복음 통일에 대한 서로의 비전을 깊이 나누고 공감하게 되면서부터 지금까지 함께 사역해 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그의 소중한 책에 추천사를 쓰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 합니다.
한국 교회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들도 남북한의 복음 통일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있습니다. 재미 교포인 저도 한국과 미국을 바삐 오가며 복음 통일을 대비하여 한국 교회와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들의 협력을 종용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과거 선교사들과 교회들이 취했던 협력 방식을 반면 교훈 삼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해 한국 교회가 취해야 할 이상적인 협력 방식을 설계 하고 있습니다. 이상적인 협력은 성경적 교회관과 교회 일치 개념에 기초할 때 이루 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성경적 교회와 교회 일치의 개념에 입 각한 북한 교회 재건을 위한 한국 교회의 협력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남북한의 복음 통일을 위한 중요한 안내서이며, 다양한 선교지에서도 교회 들의 복음적 협력을 위한 지침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또한, 변질되지 않는 참된 기독교를 추구하는 많은 이에게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며, 그리스도와 그의 교회에 대해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그리스도와 교회를 알게 하는 좋은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이 책을 꼭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저자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
크기 |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
쪽수 | 전자책의 경우 제외 |
제품 구성 |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
출간일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목차 또는 책소개 | 상세화면 표시 |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만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2,5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