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고객

기독교 허스토리

숨겨진 이름을 찾아서

  • 1,304
  • 페이스북
  •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확대보기

백소영

비아토르

2022년 09월 19일 출간

ISBN 9791191851489

품목정보 134*220*11mm286p380g

가   격 17,000원 15,300원(10%↓)

적립금 850원(5%)

카드
무이자
혜택보기

배송정보이 상품을 포함하여 15,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준비기간1일 이내 (토/주일/공휴일 제외, 당일 오전9시 이전 결제완료 주문기준) 설명보기

품목코드A000249993

매장현황
설명보기 지점별재고
광화문 강남 일산 구로 의정부 노원
0 1 0 0 1 0
* 주의: 실시간 재고수량이 달라지므로 방문전 전화확인 필수!
수량 상품 수량 1 감소 상품 수량 1 증가

총 합계금액0

상품 상세 정보
바로구매 장바구니 위시리스트
필독! 공지사항

살아 있는 영혼과 주체적 신앙으로 자기 삶을 선택하고 개척한 여성들의 이야기

베다니의 마리아에서 21세기 젊은 페미니스트까지


 유대교 4천 년, 기독교 2천 년을 지나오는 동안 배타적으로 남자들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다 보니, 늘 거기 함께 있었던 여자들이 ‘보이지 않게’ 되었다. 어찌 남자들만 계시를 받았겠는가? 이 책은 제도가 바뀌고 신념이 교차하는 격변의 시기에, 믿는 바가 다르다고 서로를 죽고 죽이는 전쟁과 살육의 현장에서, 믿을 수 없는 폭력적 광기의 시간과 공간에서도 주체적 신앙으로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살아 낸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예수님의 ‘제자’로서 말씀을 사모한 베다니의 마리아에서 여성 신비가 힐데가르트까지, 15세가 말 스트라스부르 쉬츠 가문에서 태어난 카타리나에서 21세기 영페미니스트까지, 하나님을 만났고 예수님과 동행했으며 성령 안에서 자신의 소명을 따라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개척했던 여성들의 이야기이다. 

 여기서의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을 의미하지만, 은유이기도 하다. 허리가 휠 정도로 함께 노동했지만 “나야 뭐” 하면서 늘 뒤로 물러나던 이들의 이름이자, 양보하고 희생하고 인내하며 삶의 자리를 버텨 온 세대의 이름이다. 가장 오래, 가장 대규모로 보이지 않았던 이름이기도 하다. ‘갑’이 되고 ‘기득권자’가 된 사람들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된 사람들의 이름일 수도 있다. 저자는 “그래서 또 누군가는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보이게 되고 들리게 되어야 비로소 이전보다 평등하고 자유로운 공동체가 될 수 있으며,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서 확장해 갈 수 있다고 믿기에.


목차


프롤로그: 그녀들을 기억하며 


기독교 허(Her)스토리

1. 말씀을 사모한 예수님의 제자, 베다니의 마리아

2. 사마리아 여인의 관점에서 묻다

3. 막달라 마리아의 ‘기쁜 소식’

4. 우머니즘과 기독교의 ‘선택적 친화성’

5. 교회의 보호자 뵈뵈

6. 테클라와 트리피나의 여성 연대

7. 동정녀 테클라의 영성

8. 소비문화 한복판에서 묵상하는 이집트의 마리아

9. 교회의 제도화, 여성의 패배?

10. 몸의 고통과 여성의 언어

11. 비리디타스, 힐데가르트를 살려낸 힘

12. 베긴, 어게인

13. 카타리나의 후예들 1, 카타리나 쉬츠 젤

14. 카타리나의 후예들 2, 카타리나 폰 보라

15. 결혼은 여성의 ‘소명’인가요? 

16. 낭만적 결혼을 넘어, 취리히의 안나

17. 마녀를 만든 사람들 

18. 아마도 저는 마녀인가 봐요

19. 닉싱Nixing, 거절하기

20. 아직 도래하지 않은 여성을 기다리며, 헥싱과 엑싱

21. 마리 당티에르의 ‘엑싱’

22. 신의 대륙에 선 앤 허친슨

23. 신음하는 케이크, 신음하는 맥주

24. 세일럼의 ‘고통받는’ 소녀들

25. 신대륙에서의 여성 담론, ‘공화주의적 모성’

26. 여왕인가 노예인가, ‘낭만적 여성성’의 함정

27. 여왕도 종도 아닌, ‘노새’의 삶을 산 여인들

28. 북아메리카의 미리암, 해리엇 터브만

29. 여성의 성서,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

30. 나는 내 인생의 작가예요, 샬롯 브론테

31. 한 여자의 힘, 스크랜튼 대부인

32. 로제타와 에스더의 길

33. 조선 여성 그리스도인으로 사는 법?

34. 불꽃으로 빙벽에 맞선 여인, 나혜석 1

35. 불꽃으로 빙벽에 맞선 여인, 나혜석 2

36. ‘아버지’의 언어로 여성의 의미를, 전밀라

37. 혼자가 아닌 연대의 힘으로, 최덕지

38. 나야 뭐, 황득순 이야기

39. 교회가 페미니즘을 싫어하는 이유

40. 기독교 영페미니스트들이 온다

41. 기독교와 페미니즘은 공존 가능한가?


에필로그: 보이지 않는 ‘그녀’를 드러내며


본문 펼쳐보기


 이것이 전통(傳統)의 힘이다. 남자들이 이름을 가리고 심지어 다른 인물로 오해해도 아무 의심도 받지 않고 전해 내려오는 메시지와 습속의 총합, 그것을 전통이라 할 때 한 가지는 확실하다. 이 전통‘들’을 만드는 작업에 여성은 참여해 본 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히스토리(history)’는 ‘그의(his)’ ‘이야기(story)’였다는 말이다. _p.13


 서구 중산층 페미니스트들이 놓친 지점이 이 부분이다. 이들은 백인 중산층 엘리트 여성으로서 자신들이 누리는 문화에는 익숙했다. 그러면서 자신을 ‘전업주부’의 자리에 놓았던 근현대 산업자본주의 구조에‘만’ 격분했다. 이들이 “우리도 사람이다” 하고 외쳤을 때, ‘사람’의 의미는 전문교육을 받고 전문직에 종사하며 투표권을 통해 정치적 의사를 행사하는 ‘시민’을 뜻했다. p.36


 테클라만 아니다. 이후 ‘순결한 그리스도의 신부’로 살아간 영성 깊은 그리스도인들의 이야기는 차고도 넘친다. 그리고 중세 무렵이 되면 몸의 순결을 동반한 영성의 수행은 어느덧 신앙적 관행이 되어, 성욕을 느끼는 것 자체를 거룩한 영성에 반(反)하는 것으로 여겨 극도의 자기 부정과 자학을 수행하는 수도자들이 생겨났다. 안타까운 일이다. 적어도 초기 기독교 여성들(그리고 남성들)의 삶의 자리와 문화·제도적 맥락을 이해했더라면 동정을 선택한 수도자들의 삶에 담긴 체제 저항성을 제대로 읽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_p.55


 그러니까, 내가 소개하고 싶은 ‘안나의 집’은 안주인의 미모로 남자 셋이 이어서 지켜 낸 집안을 의미하지 않는다. 제도가 바뀌고 신념이 교차하는 격변의 시기에, 믿는 바가 다르다고 서로를 죽고 죽이는 전쟁과 살육의 현장에서, 안나의 집은 혈연을 넘어 확장된 가족의 관계망으로 생명을 지키고 살려 낸 공간이었다. 물론 안나의 집이 처음부터 그러했던 것은 아니리라. 시대의 전제와 세간의 논란을 넘어 요한과 낭만적 결혼을 했던 안나의 집은 남편과 아내, 그리고 그들의 자녀 셋이 이룬 ‘근대형 핵가족’의 전형인 셈이었다. 그러나 가장을 잃은 여인과 아이들을 돌보고, 무엇보다 아들의 재능을 아낀 취리히의 사제는 기꺼이 그들의 애정어린 보호자를 자청했으며, 츠빙글리와 목회 사역을 함께하며 안나는 사적 바운더리를 넘어 목사관의 안주인 역할을 하며 돌봄과 살림의 영역을 확장해 갔다. 어쩌면 안나를 삼켜 버릴 수도 있었을 무시무시한 ‘어둔 밤’의 순간마다 그녀뿐 아니라 그녀의 자녀들을 지켜 냈고, 더 나아가 바다 건너 타국 나그네들의 신앙과 생명까지 지켜 낼 수 있었던 힘은 서로가 하나님 안에서 가족이 되어 주었기 때문이 아닐까? 가족해체의 시절에, 우리에게 울림을 주는 ‘안나의 집’ 이야기였다. _pp.109-110


 물론 에스더의 의도가 선했고, 그녀가 가진 권력이 없었으므로 가장 현실적이며 신앙적인 선택이라는 것은 동의한다. 그러나 전통 왕정시대 에스더의 선택지가 근대 시민 여성들의 선택지일 이유는 없지 않은가! 기독교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와스디가 더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와스디는 자신이 공적으로 연모임의 독자성과 중요성을 주장했고, 남편의 무례하고 무리한 제안을 거절하는 권리를 행사했기 때문이다. 물론 와스디는 대가를 치렀다. 그건 울스턴크래프트도 마찬가지였다. 우리보다 먼저 태어난 그녀들의 사투가 새삼 고맙고 한편으로는 안타깝다. _p.171


 그런 점에서 전밀라는 ‘아버지의 언어’를 배우고 그 힘으로 ‘여성(적) 목회자’의 길을 연 선각자였다. 4녀 1남 중 장녀였던 전밀라는 일찌감치 ‘권서勸書’를 하시던 아버지와 매우 친밀하게 지내며 아버지의 삶을 동경했다. 전밀라의 아버지 전연득은 개신교도가 된 이후 유교적 가풍이 강했던 집성촌을 떠나 충주로 이주를 했다. 당시 확대가족은 연대의 근거일 뿐만 아니라 생계의 기반이었는데, 당장 먹고살 길이 막혔던 아버지는 충청도와 강원도 일대를 두루 다니며 성경과 기독교 서적을 팔고 복음 전도하는 일을 하셨다. 집에 돌아오면 성경 이야기를 맛깔나게 전해 주셨고, 그런 아버지 덕분에 전밀라는 정규교육을 받지 못했음에도 일찌감치 한글을 깨우치고 기독교적 콘텐츠에 익숙한 어린 시절을 보냈던 셈이다. _pp.233-234


 어디 영혼만의 문제이랴. 큰 재산은 못 되어도, 자녀들이 어머니를 기억하도록 작은 물건 하나씩은 나누고 싶었다는데, 그마저도 없이 텅 빈 황득순의 장 속을 함석헌은 아내가 살아 있을 때는 열어 보지 않았다. 텅 빈 장 속을 보며 가난하고 고단했을 삶이 읽혀 남편으로서 “슬프고 부끄러웠다”고 하면서도, 이내 “기뻤습니다” 했던 함석헌은 책임 있는 가장이기보다 사상가였다. 그도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어찌 ‘감히’ 그 빈 장 속을 “씨알에게 내놓는 기념물”이라 부를까! 화려한 옷으로 치장하고 온갖 겉껍질로 둘둘 말아 사는 삶으로는 하나님을 온전히 맞이할 수 없다고, ‘맨사람’이어야 하나님의 마음을 안다고 했던 그는 과연, 황득순이 만난 하나님을 알고 싶기는 했을까? 하여 나는 사상으로야 함석헌의 주장에 귀 기울이고 공감을 하지만, 삶으로는 황득순 편이다. _p.249


 그렇다면 ‘기독교 페미니스트’는 어떠한가? 페미니즘은 여자도 온전한 사람이요 주체이기에 성별 때문에 제도나 시스템이 여자의 자유 선택과 주체적 결단을 제한하거나 조정하면 안 된다는 것을 주장하는 사상이다. 그리고 그러한 제도와 체제를 바꾸려 실천하는 운동이다. 그런데 어떤 이가 이런 주장을 자신의 기독교 신앙 안에서 찾아내고 동기부여 받았다면 어떨까? 하나님이 ‘사람’을 만드심에 있어 여자도 온전히 당신의 형상으로 지으시고 ‘다스림’의 권위와 ‘받은 은사’의 주체적 사용을 허락하셨다고 믿기에, 지금 이 땅에서 그렇지 못한 제도와 실천에 반대한다고 말이다. 그렇다면 그를 ‘기독교 페미니스트’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_p. 265


추천의글


[출판사 리뷰]


히스토리 vs. 허스토리

 네 복음서에 모두 등장하는 ‘향유 붓는 여인’은 기록자에 따라 각각 다르게 묘사되었다. 마태와 마가는 비교적 비슷하게 “한 여자”라고 기록했으나, 흥미롭게도 누가는 “죄를 지은 한 여자”라고 기록했다. 이는 ‘가난한 자들을 위한 복음서’라는 별칭에 어울리게 누가복음 기자는 이 사건/이야기를 ‘죄사함’이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데 사용하고 강조하느라 그 여자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대신 ‘죄 많은’ 여자로 묘사한 것이다. 즉 누가복음에서의 초점은 죄사함이었지만, 이후 교회 전통에서는 이 본문을 그 여자가 평소 행실이 율법에 어긋났던 여자, 죄 많은 여자임을 증거하는 본문으로 활용되었다. 급기야 가톨릭 교황의 해석권에 힘입어 그 여자가 ‘막달라 마리아’였다고까지 믿게 되었다. 21세기의 우리는 아직도 “값비싼 향유를 주께 드린, 막달라 마리아 본받아서···”라고 은혜롭게(?) 찬양하고 있다. 이것이 전통(傳統)의 힘이다. 문제는 이러한 전통‘들’을 만드는 작업에 여성은 참여해 본 적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히스토리(history)’는 지금까지 ‘그의(his)’ 이야기(story)였지 ‘그녀의(her)’는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녀의 이야기(Her story)’로 기독교의 복음과 교회의 역사를 읽어 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베다니의 마리아에서 함석헌의 아내 황득순까지

 예수님의 ‘제자’로서 말씀을 사모한 베다니의 마리아에서 교회의 ‘보호자’였던 뵈뵈까지, 귀족 출신 여성 전도자 테클라에서 여성 신비가 힐데가르트까지, 15세가 말 스트라스부르 쉬츠 가문에서 태어난 카타리나에서 종교개혁자 울리히 츠빙글리의 아내였던 취리히의 안나까지, 17-18세기에 신앙의 자유를 위해 북아메리카로 떠난 여인들에서 서른아홉살의 나이에 결핵으로 세상을 떠난 작가 샬롯 브론테까지, 우리나라 여성 교육에 큰 흐름을 만들어 낸 메리 스크랜튼에서 자기 목소리 한 번 내지 못하고 인내하며 버티고 살아 낸 황득순까지, 하나님을 만났고, 예수님과 동행했으며, 성령 안에서 자신의 소명을 따라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개척했던 여성들의 이야기이다. 이들은 비록 개인의 삶을 살았지만 그 인생이 동시대의 사회적, 종교적 이슈를 대변하는 여자들이고, 제도에 굴하지 않은 선각자적 삶을 살아 내었던 인물들이며, 그리스도의 제자된 삶을 살았으나 잊혀진 이름이 다시 소환된 여성들이다. 


기독교와 페미니즘의 공존 가능성

 페미니즘은 여자도 온전한 사람이요 주체이기에 성별 때문에 제도나 시스템이 여자의 자유 선택과 주체적 결단을 제한하거나 조정하면 안 된다고 주장하며, 그러한 제도와 체제를 바꾸려 실천하는 운동이다. 하지만 페미니즘이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전에,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심에 있어 여자도 온전히 당신의 형상으로 지으시고 ‘다스림’의 권위와 ‘받은 은사’의 주체적 사용을 허락하셨다. 사실 성경에는 ‘하나님의 영’을 받은 여성들이 자신의 재능으로 공동체를 구하는 리더십을 발휘한 수많은 사례가 등장한다. 랍비돗의 아내 드보라, 모세의 누나 미리암, 슬로브핫의 딸들이 그러했으며, 예수님의 부활을 처음 목격한 막달라 마리아가 그러했다. 이 책은 ‘굳이’ 페미니즘을 기독교 안으로 가져오려는 시도가 추구하는 바는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고백하고 따르던 제자들의 상황을 가부장적 각색이나 취사선택을 벗겨 내고 있는 그대로 보고자 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우리가 받은 유산을 기록하고 전하고 해석해 온 압도적인 성별인 ‘남성’이 아닌, ‘여성’의 시각에서 그 본문을 ‘다시’ 읽어 보자는 초청이란 말이다. 그래야 안 보이던 것이 보이기 때문이라고. 나아가 ‘페미니즘의 자기모순’을 낳아 버린 최근의 우려스러운 흐름에 대해 ‘기독교 페미니즘’이 반론과 제안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자본주의적 능력을 여성이 획득하는 것’으로 페미니즘을 축소시키는 부정적 경향에 기독교 신앙이 기여할 바가 크다는 말이다. 저자는 서로 상대방이 보지 못하는 부분을 발견하게 하며, 이를 통해 이전보다 더 평등하고 자유로운 공동체의 건설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는다.



상품정보고시

상품정보고시입니다.
저자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크기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쪽수 전자책의 경우 제외
제품 구성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출간일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목차 또는 책소개 상세화면 표시
백소영
이화여자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기독교학/기독교사회윤리학을 전공(B.A., M.A.)하고, 미국 보스턴대학교 신과대학에서 기독교사회윤리학/비교신학으로 박사학위(Th.D.)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HK연구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초빙교수(2016)를 거쳐 현재는 강남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의 사랑이 義롭기 위하여』(2005), 『엄마 되기, 아프거나 미치거나』(2009), 개정판 『엄마 되기, 힐링과 킬링 사이』(2013,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콘텐츠 전자책 제작지원도서), 『드라마틱: 예수와 함께 보는 드라마』(2010), 『잉여의 시선에서 본 공공성의 인문학』(책임저자, 2011), 『인터뷰 on 예수』(2011), 『세상을 욕망하는 경건한 신자들』(2013,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교회를 교회되게』(2014), 『사회적 영성: 세월호 이후에도 ‘삶’은 가능한가』(공저, 2014), 『왜 눈 떠야 할까: 신앙을 축제로 이끄는 열여섯 마당』(공저, 2015), 『삶, 그 은총의 바다』(2016), 『버리지 마라, 생명이다』(2017), 『드라마 속 윤, 리』(2017), 『페미니즘과 기독교의 맥락들』(2018, 세종우수교양도서), 『적당맘 재능맘』(2019), 『혐오와 한국교회』(2020, 공저)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대학 강단만이 아니라 저서 주제를 중심으로 한 대중특강 및 북콘서트, 그리고 〈CBS 크리스천 나우〉, 〈C스토리〉, 〈CBS 성경사랑방〉, 〈CBS 아카데미, 숲〉, 〈CGN 크리스천의 문화 읽기〉, 〈CBS 유튜브 콘텐츠 ‘잘 믿고 잘 사는 법’〉, 개인 유튜브 채널 〈So Young한 인문신학〉, 등 매체를 통해 기독교적 세계관과 공동체 윤리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평점 0 매우 별로예요! 총 0건 평가 기준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상품평 작성하기

상품관련 문의를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립니다.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상품Q&A쓰기

배송 관련정보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교환/환불 관련 정보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
파본상품은 반품/교환 버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유선전화나 게시판으로 연락부탁드립니다.

주문취소
•주문상품  취소는 "입금확인중(전체취소만 가능)/결제완료(부분취소도 가능)" 단계에서만 가능합니다.
•"입금확인중" 단계에서는 부분취소가 되지 않사오니 부분취소를 원하시면 전체취소후 재주문 주셔야 합니다.
•무통장 및 가상계좌 결제의 경우 주문일 기준으로 15일이후까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주문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반품/교환
•받으신 상품을 사용하지 않으신 경우, 출고완료 후 7일 이내에 반품이 가능합니다.
•주문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 "마이페이지>취소/반품/교환신청"메뉴에서 반품/교환신청이 가능합니다.
•교환은 상품불량 및 오배송 시에만 동일제품에 한하여 교환됩니다.다른 상품으로 교환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상품으로 교환하기 원하시면 반품후 새로 주문해주셔야 합니다.
•사용자변심에 따른 반품의 경우 편도/왕복 배송비가 부과되며 배송료는 고객 부담입니다.
-전체반품시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미달일경우 왕복배송비 부과
-부분반품시 남은주문금액이 무료배송기준 이상일경우 편도배송비 부과


※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시즌 상품의 경우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습니다.꼭 숙지해 주세요.(월간지/다이어리/절기공과 등)
•복제가 가능한 상품(교재/악보/음반 및 멀티미디어 등)경우 성경공부교재 및 악보는 받으신 이후에는 반품/환불이 되지 않으며 음반 및 멀티미디어의 경우 포장을 훼손한 경우 반품/환불이되지 않습니다.
•인쇄성경/스프링제본 등과 같이 고객 요청으로 별도제작된 상품인 경우
•고객님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훼손된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단, 가전제품, 음반 등의 일반 상품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가지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 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 경우
•비닐로 랩핑된 상품의 경우 비닐을 뜯으시면 반품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