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스윈돌 성경 인물 시리즈) 요셉 - 순전한 믿음의 사람
찰스 스윈돌 | 생명의말씀사
17,000 15,300원
기롤라모 사보나롤라 - 중세의 세례요한
김남준 | 솔로몬(도)
8,000 7,200원
칼뱅의 생애와 작품 세계 (개정증보판)
불페르트 더 흐레이프 | 대한기독교서회
19,000 17,100원
처음 만나는 루터 - 개혁과 건설에 온 삶을 건 십자가의 신학자
우병훈 |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IVP)
15,000 13,500원
대동강가에 떨어진 한 알의 밀알 - 토마스 목사전
유해석 | 생명의말씀사
15,000 13,500원
종교개혁의 새벽별 - 존 위클리프와 존 후스의 생애와 사상
김명수(2) | 그리심(도)
15,000 13,500원
131명의 기독교 인물사
마크 갤리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6,000 23,400원
백악관을 기도실로 만든 대통령 링컨(개정판)
전광 | 생명의말씀사
14,000 12,600원
[개정판] 허드슨 테일러의 생애
하워드 테일러부부 | 생명의말씀사
15,000 13,500원
프랭크 루박의 편지 (무선)
프랭크 루박 | 생명의말씀사
8,000 7,200원
신의 시간표
허숭실 | 그린아이
15,000 13,500원
손양원의 유산
손동연 | 쿰란출판사
15,000 13,500원
김장환 목사 평전
신성욱 | 미래사
39,000 35,100원
정생 어그러진 삶의 산물
홍인표 | 대장간
18,000 16,200원
백남 강병주 목사의 행적을 찾아서
강석찬 | 세움북스
30,000 27,000원
민주주의와 정의, 평화를 위해 일생을 바쳐온 안재웅의 삶을 돌아보다
대한기독교서회가 펴내는 ‘기독교 민주화운동 인물’ 시리즈의 여덟 번째 책으로, 우리 사회와 역사의 틈바구니에서 안재웅이라는 한 인물과 그의 가족이 겪은 개인사이자, 4·19혁명에서부터 군사독재를 거쳐 5·18민주화운동에 이르는 동안 그가 몸으로 겪은 대한민국 역사의 생생한 기록이며,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와 세계기독교협의회(WCC)를 통한 에큐메니컬 운동에 헌신한 활동 보고서이다. 또한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과 세계학생기독교연맹(WSCF)의 연합과 성장, 발전에 기여한 역사적 자료이며, 사회적기업을 통한 사회복지와 봉사 현장의 생생한 기록이다.
<출판사 서평>
민주화운동에서 학생기독교운동, 에큐메니컬 운동, 사회봉사활동에까지 헌신해온
안재웅 목사의 회고록
한국YMCA전국연맹유지재단 이사장이자 한국기독교민주화운동 이사장인 안재웅 목사의 삶은 곧 우리나라 민주화운동의 역사이자 학생기독교운동의 역사이며, 에큐메니컬 운동의 역사이고 사회봉사활동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대한기독교서회가 펴내는 ‘기독교 민주화운동 인물’ 시리즈의 여덟 번째 책으로 펴낸 안재웅 목사의 회고록 『역사가 내미는 손 잡고』에는 국내외를 넘나들며 온몸으로 일구어낸 이러한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안재웅 목사는 1970년대 민주화운동에 온몸을 던지던 때에 윤보선 전 대통령으로부터 “천류불식”(泉流不息)이라는 휘호를 받았다. 맑은 샘물이 솟아나 냇물처럼 끊임없이 흐른다는 뜻으로, 그는 이 휘호를 따라 군자의 행함을 가슴에 담고 살아왔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이 책에 드러난 그의 삶의 기록은 결코 평탄하지 않을뿐더러 한 번도 순탄했던 적이 없다.
그는 빈곤 문제와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가난하고 억압받는 이들과 함께 살았다. 독재정권하에서 부당한 국가권력에 맞서 싸우다 수차례 옥고를 치렀고, 가장이 집 안에서 체포되는 현장을 지켜본 가족들은 심각한 트라우마에 시달려야 했다. 수사기관의 감
시는 그가 해외에서 에큐메니컬 운동에 힘을 쏟을 때까지도 계속되었고, 독재정권이 막을 내리고 나서야 비로소 자유의 몸이 되었다.
그는 이 책에서 학생기독교운동과 민주화운동,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와 세계교회협의회(WCC)를 통한 에큐메니컬 운동을 전개하면서 만난 수많은 동역자들과 나눈 우정과 협력, 질책과 격려가 삶의 자산이 되었다고 회고한다. 또한 가족과 친지, 스승과 선배로부터 삶의 지혜를 체득하였다고 말한다. 이 책에는 그가 혼자서는 이룰 수 없는 일들을 개인과 개인, 기관과 기관, 국가와 국가를 연결하여 성사시킨 기록으로 가득하다.
회고록 출판위원장인 권호경 목사(라이프 오브 더 칠드런 이사장)는 “안 목사님의 젊음과 열정은 기독교운동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뜻있는 학생들이 노동자, 농민, 빈민이 있는 현장으로 거침없이 뛰어드는 토대가 되었다.”라고 밝혔다.
회고록을 탈고하면서 안재웅 목사는 자신이 선택한 삶의 현장은 갯바람, 강바람, 바닷바람에 휘말려 바람 잘 날 없었으나 그 가운데서도 자신은 “큰 풍파로 무섭고 어렵든지 나의 영혼은 늘 편하다”(찬송가 413장)라는 이 한 구절을 위로 삼아 이제까지 살고 있다고 술회하였다.
책의 말미에는 한강희 교수(한신대)의 논문 “평화운동으로서의 에큐메니즘: 신계(新界) 안재웅의 아시아 에큐메니즘과 평화공동체 구상”이 부록으로 실려 있고, CCA 45주년 기념 설교문과 WSCF 2004년 제33회 치앙마이 총회 개회예배 설교문, APAY 기초간사교육 강의 전문, 제36회 니와노평화상 수상식 연설문 등 안재웅 목사의 주요 자료가 영문으로 실려 있다.
안재웅 목사 회고록의 출판은 출판위원장 권호경 목사를 중심으로 강대인, 김경민, 김영주, 나상기, 남부원, 도임방주, 박재창, 박종렬, 박종화, 서진한, 신대균, 신승민, 윤길수, 이광일, 이종오, 이철, 이홍정, 장병기, 장영달, 정명기, 정상복, 차옥숭, 채수일, 한미라, 허원배, 황인성, 황진 등이 참여하였다.
대한기독교서회는 ‘기독교 민주화운동 인물’ 시리즈를 통해 그리스도인으로서 한국 사회에서 민주화운동, 평화통일운동, 인권운동에 헌신한 인물들을 발굴하여 그들의 삶을 기록하는 작업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
안재웅 목사는 1963년 숭실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를 졸업한 그는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민청학련사건과 YWCA위장결혼식사건, 대통령 긴급조치 및 계엄포고령 위반으로 네 차례 투옥되었다.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총무, 세계학생기독교연맹(WSCF)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무를 역임하면서 기독교학생운동과 사회운동에 나섰고, 1990년 미국 하버드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농촌선교국장과 총무,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원장으로 일했다. 2000년에는 재단법인 함께일하는재단 상임이사, 재단법인 다솜이재단 이사장 등을 맡아 사회선교에 힘썼다.
제1장
1. 기독교 가문
2. 학창시절 신앙교육
3. 대학 입학과 4·19혁명
4. 다시 군사독재의 시대로
5. 고마운 모교 숭실대학
6. 국제워크캠프 참여
7. 군 생활
8. 유학을 미루고 KSCC 간사로
제2장
9. 학생기독교운동에 깊이 스며들다
10. 1970-72년 KSCF 운동
11. 베다니정책협의회
12. 학생사회개발단 조직과 운동
13. 가톨릭학생회와의 연대 및 ‘부활과 4월혁명’ 집회
14. 간사 훈련 프로그램 ALDEC 참여
15. 전태일 열사 분신 항거
16. 신문고 프로그램
제3장
17. 유신 반대 운동
18. 남산부활절연합예배사건
19. 한국 그리스도인 선언
20. 결혼
21. 민청학련사건
22. 나병식 동지와의 인연
23. 국제 에큐메니컬 운동 기구의 지원
24.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와의 유대
25. ‘우리의 교육지표’ 사건
26.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활동
27. 3·1명동민주구국선언사건
28. 민주구국헌장 서명에 참여
29. 카터 대통령 방한 반대 시위
30. YWCA위장결혼식사건
31. KSCF 창립 10주년 기념식
32. 양성우 시인과의 인연
제4장
33. WSCF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무
34. 도쿄에서 보낸 일주일
35. WSCF 운동 약사
36. WSCF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무국
37. 아시아 국가의 기독학생회 재건
38. HRD
39. WSCF 샌프란시스코 총회 참석
40. 운동가 교류 프로그램
41. 벵갈루루 CCA 총회-WSCF와 CCA 협력 프로그램
42. 1984년 도잔소 에큐메니컬 협의회
43. WSCF 실행위원회 쿠바 대회
44. CCA 국제부 서울 모임: 첫 귀국
45. CCA 서울 총회
46. 밴쿠버 WCC 총회
47. 멕시코시티 WSCF 총회
48. 몬트리올 ‘캐나다중국협의회’ 참석
49. 바드볼 ‘해외크리스천네트워크’ 회의의 기억
제5장
50. 에모리대학 캔들러신학대학원 입학
51. 에모리에서의 생활
52. 하버드대학 편입
53. 준현이와 크리스 박사의 만남
54. 특별한 선물 준현이
55. 고마운 아들 문현이
56. 보스턴한인교회 전도사로 목회실습
57. 하버드에서의 기억
제6장
58. CCA-URM 스태프 일을 시작하다
59. 도시농촌선교와 에큐메니컬 운동
60. CCA-URM 위원회
61. URM에서의 다양한 활동
62. 각국의 URM 보고
63.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원장 취임
64. 강의와 방송 활동
65. KCBL 창설
66. 선린회 연변 견학
67. CATS 창립대회 준비
68. WCC 하라레 총회
69. CCA 재정담당 부총무 수락
70. CCA 총회를 위한 재정 준비
제7장
71. CCA 총무 선출
72. CCA의 역사적 고찰
73. 아시아의 선교 주제들
74. CCA 창립 45주년 기념 심포지엄
75. 첫 북한 방문
76. 2004 도잔소 협의회 20주년
77. 서울 평화포럼
78. WSCF 치앙마이 총회 개회 설교
79. 쿠알라룸푸르 WCC ‘신앙과 직제위원회’ 개회 강연
80. 제11회 M. A. 토마스 기념 강좌 초청 강연(인도 벵갈루루)
81. 동티모르 독립기념식 참관
82. 『아시아 에큐메니컬 운동사』 출간
83. 에큐메니컬 강좌 프로그램
84. CCA-UN ESCAP 프로젝트
85. CCA의 UN ECOSOC 가입
86. 이웃 종교와의 협력을 위한 회의와 평화학교 개설
87. REO 총무들의 아시아 방문
88. 후원기관 대표자 모임에서 후원 전략 수정
89. 사무엘 코비아 WCC 총무 선임
90. 아시아 에큐메니컬 운동의 중심, 홍콩
91. CCA 총무 사임
제8장
92. 함께일하는재단 상임이사 취임
93. 사회적기업 운동에 나서다
94.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 기념대회
95. 사회적기업 다솜이재단 설립
96. 사회서비스 활성화 포럼
97. 다솜이재단 창립 10주년
98. 호서대 신학전문대학원 강의
99. 한신대 ‘에큐메닉스’ 강의
100. 행복나눔재단 설립
101. 대화문화아카데미 새 헌법안 마련
102. 제40차 한국YMCA전국연맹 전국대회 주제 강연
103. 한국YMCA전국연맹 이사장 취임
104. 스리랑카와 중국YMCA 창립행사 참석
105. 반부패법 제정 후일담
106. 라온아띠 발대식
107. 한국YMCA전국연맹 100주년 대회
108. 아시아태평양YMCA연맹 총회 대전 개최
109. ASEM 종교분과 회의 참석
110. 일본 NCCJ 70주년 선교대회 참석
제9장
111. 에큐메니컬 운동 이해
112. 『에큐메니컬 운동 이해』에 대한 변진흥 교수의 서평
113. 에큐메니컬 운동을 정리하다
114. 에큐메니컬 운동 강연 및 출판
115. 지난 10년을 회고하며 2010년을 맞다
116. 아시아사회적기업활동가대회
117. 재단법인 씨ᄋᆞᆯ이사장 및 인성교육 운동
118. 여해 강원용 목사와 아시아 교회의 에큐메니컬 운동
119. 국경선평화학교 개교
120. WCC 부산 총회
121. WCC 부산 총회 후원기관 대표자 모임 연설
122. WCC 부산 총회 평가 ‘말도 탈도 많은…’
123. 보세이 남북평화통일협의회
제10장
124. 세월호 참사 진상조사 촉구
125. 일본 평화헌법 노벨평화상 후보 추천 서명 운동
126. 한반도 평화통일 에큐메니컬 협의회
127. 국난 극복을 위한 기도 릴레이
128. 하버드대학 신학대학원 한국 동문 모임
129. 민청학련계승사업회, 유신 종말 선언 및 작고 민주인사 추모식
130. 사드 배치 반대 방미단 활동
131. CCA 에큐메니컬 컨설테이션
132. 동아시아평화회의, 2018년 한국전쟁 종전 선언 촉구
133. 세계평화대회 공식 만찬
134. 아시아기독병원협회 총회 주제 특강
135. YMCA 2019년 신년하례회 설교
136. DMZ민(民)+평화손잡기운동
137. 6·15선언 20주년 ‘평화통일 디딤돌 615인의 밤’
138. 조지 오글 목사를 추모하다
139. 사단법인 한국기독교민주화운동
140. 미얀마 사태에 맞서 한국 정부에 제재 촉구
141. 사족(蛇足)
부록
1. “평화운동으로서의 에큐메니즘: 신계(新界) 안재웅의 아시아 에큐메니즘과 평화공동체 구상”‐한강희
2. CCA 45주년 기념 설교문
3. WSCF 2004년 제33회 치앙마이 총회 개회예배 설교문
4. APAY 기초간사교육 강의 전문
5. 제36회 니와노평화상 수상식 연설문
저자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
크기 |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
쪽수 | 전자책의 경우 제외 |
제품 구성 |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
출간일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목차 또는 책소개 | 상세화면 표시 |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5,000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3,0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