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와 사회
레오나르도 보프 | 대한기독교서회
15,000 13,500원
52주 기독교 신앙의 체계
김창영 | 생명의말씀사
20,000 18,000원
[개정무선판] 순전한 기독교
C.S. 루이스 | 홍성사
16,000 14,400원
Q&A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김홍만 | 생명의말씀사
17,000 15,300원
구원 프로세스
김홍만 | 생명의말씀사
9,000 8,100원
쉽게 읽는 핵심 성경 교리
존 맥아더 | 생명의말씀사
48,000 43,200원
은사 하나님의 선물
성민규 | 다함(도)
13,000 11,700원
창조 섭리 타락 계시
김동건 | 대한기독교서회
45,000 40,500원
예수 그리스도의 피
홍성철(2) | 세복
10,000 9,000원
성경의 기도서 - 시편 개론
디트리히 본회퍼 | 복있는사람
12,000 10,800원
신학은 삶이다
서창원 | 크리스천르네상스
16,000 14,400원
예수의 마지막 말들
플레밍 러트리지 | 비아
12,000 10,800원
기독교적 회심의 해석과 실천
김선일 | 도서출판새세대
20,000 18,000원
하나님의 나그네 된 교회들에게
김승환(3) | 비아토르
15,000 13,500원
교리와 삶은 하나입니다
폴 트립 | 디모데(도)
35,000 31,500원
한국 교회의 정체성과 실천의 회복을 위하여
《신학적 교회론》의 후속편으로, 신학적 교회론과 실천적 교회론은 서로 유기적 연관성이 있는 책이다. 《신학적 교회론》이 하나님의 백성 공동체와 교회의 존재 근거 등을 추구한 ‘학문적 시도’의 책이었다면, 《실천적 교회론》은 교회의 존재 양식에 대한 ‘학문적 논거’의 책이다.
2,000년의 교회사를 제도주의적 패러다임과 영적 페러다임의 큰 틀로 사역과 예배, 교육, 선교 등을 주제별로 나누어 읽을 수 있다. 제3 해석학을 키워드로 하나님의 나라와 통치를 바라며, 실천적 구조를 회복할 수 있는 바람으로 변혁적 장이 어떻게 흘러갈는지 요약했다. 교회를 역사 안에 현존하는 증인 공동체였으나, 현재 교회가 부름 받고 보냄을 받는 공동체로서 역할을 못하게 돼서 그것을 회복할 수 있게끔 실천성을 알려주는 책이다.
서론적 논거: 교회의 정체성과 존재 양식
1. 하나님 백성 공동체의 정체성: 구약 이스라엘 공동체와 신약 교회 공동체
2. 변질
3. 실천신학에서 본 한국 교회의 오늘과 미래
제I부 : 사역론
1장 _ 사역과 안수 목회
1. 사역, 무엇이 문제인가?
2. 구약에 나타난 사역
3. 신약에 나타난 사역
2장 _ 사역의 변질과 회복
1. 사역의 변질
2. 평신도 사역과 안수 목회
3장 _ 하나님 백성 사역과 안수 목회
1. 하나님 백성 사역(The ministry of People of God)
2. 평신도 사역
3. 안수 목회
제II부 : 부름받은 공동체(Called Out Community)의 존재 양식
1장 _ 예배 ‧ 성서적 유산
1. 구약의 유산
2. 신약의 유산
2장 _ 변형과 회복
1. 예배의 변형
2. 예배 회복
3장 _ 설교(Kerygma)
1. 성서에 나타난 설교
2. 변형
3. 현대 설교의 유형
4. 구원사 설교
4장 _ 성례전(Sacrament)
1. 세례(Baptism)
2. 성만찬
제III부 : 세움 받은 공동체(Called Up Community)의 존재 양식
1장 _ 교육(Didache)
1. 성서적 유산
2. 케리그마와 디다케의 단절 ‧ 변질
3. 하나님 백성을 세우고 양육하는 교육
2장 _ 코이노니아(koinonia)
1. 신약에 나타난 코이노니아
2. 변질과 회복 운동
3. 교회 안의 작은 교회
제IV부 : 보냄 받은 공동체(Called Into Community)의 존재 양식
1장 _ 선교
1. 미시오(Missio)의 성서적 의미
2. 변질
3. 선교신학의 회
결론적 논거: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통치
1. 역사 ‧ 종말론적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실천적 구조 회복
2. 제언
종합: 하나님 백성 공동체를 세우는 담임 목회
참고문헌
모든 사역은 하나님 백성인 신자 모두가 참여하고 창조하는 존재 양식이었다.
그러나 교회가 교권화되고 성직자 중심으로 바뀌면서 교회는 회중의 참여를 거부하고, 사역은 기능으로 변질되기 시작했다. 성경 봉독, 말씀 선포, 떡을 뗌, 축복 모두가 성직자의 전유물이 되고, 교회는 하나님 백성의 존재 양식이 아니라 회중을 위한 성직자의 종교적 봉사 기능으로 전락하였다.
모든 사역은 하나님 백성인 신자 모두가 참여하고 창조하는 존재 양식이었다.
그러나 교회가 교권화되고 성직자 중심으로 바뀌면서 교회는 회중의 참여를 거부하고, 사역은 기능으로 변질되기 시작했다. 성경 봉독, 말씀 선포, 떡을 뗌, 축복 모두가 성직자의 전유물이 되고, 교회는 하나님 백성의 존재 양식이 아니라 회중을 위한 성직자의 종교적 봉사 기능으로 전락하였다.
- 서론적 논거 1. “하나님 백성 공동체의 정체성” 중에서
하나님 백성 사역은 무엇인가? 먼저 하나님 백성 사역은 이스라엘과 교회가 하나님의 백성(Laos tou Theou)이 되는 정체성 정립에 있었다. 정체성이 곧 사역이라는 의미이다. 이스라엘의 정체성은 시내산 언약에서 하나님께서 주신 거룩한 백성(holy people), 제사장 나라(priestly kingdom)가 되는 것에 있었다. 이 세계 모든 민족의 아픔을 하나님 앞에 대변하는 제사장 나라(priestly kingdom)가 되는 때 이스라엘은 거룩한 민족(holy people)이 될 수 있었다. 이 세상을 대변하는 원심 안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 안의 구심점을 살릴 수 있었다. 그러기에 이스라엘의 정체성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이 세계와 인류를 대변하는 섬김(called to serve)이었고, 이것이 곧 사역이었다.
- I부 3장 _ “하나님 백성 사역과 안수 목회”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나사렛 회당에서 성경을 펴서 읽은 후 말씀하신 사역에서 회당 전통인 호밀리와 유대적 차원을 모두 수용한 것으로 보았다. 회당의 예전을 따랐다는 의미에서 예언적 차원과 주해적 차원을 모두 수용한 것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설교는 임박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고 회개(metanoia)를 촉구하심으로써 예언적 차원을 핵심으로 삼았다. 문제는 임박한 하나님 나라의 임재의 선포는 주해적 차원과 예전적 차원을 수용하면서도 그것을 초월하는 생명력이었던 데 있었다.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는 종말론적 차원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재림의 약속에서 실현하였다.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하나님 나라의 실현이었으며, 케리그마였으며, 복음 그 자체였다.
- II부 3장 _ “설교(Kerygma)” 중에서
코이노니아(koinonia)라는 헬라어는 교제(fellowship)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코이노니아는 신약에서 모두 18번 사용하고 있다. 바울이 13번, 사도행전에서 1번, 히브리서에서 1번, 요한복음서에 3번 나온다. 성서에서 증언하는 그리스도와의 교제는 하나님 아버지와의 교제로 인도되며, 동시에 이웃과의 교제로 이어지는 것이 코이노니아의 의미다. 코이노니아(koinonia)라는 헬라어는 교제(fellowship)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코이노니아는 신약에서 모두 18번 사용하고 있다. 바울이 13번, 사도행전에서 1번, 히브리서에서 1번, 요한복음서에 3번 나온다. 성서에서 증언하는 그리스도와의 교제는 하나님 아버지와의 교제로 인도되며, 동시에 이웃과의 교제로 이어지는 것이 코이노니아의 의미다.
그러나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코이노니아를 접근하는 레만(Paul Le- hmann)은 신약성서에 나오는 코이노니아가 헬라식 전통에서 왔다는 전통적인 해석을 거부한다. 스텐달(Krister Stendahl) 교수의 연구에 근거를 두는 레만은 신약의 코이노니아 사상은 종말의 때를 기다리는 쿰란 공동체 형제들의 형제 됨의 실현에서 온 것이라고 해석한다.
- III부 2장 _ “코이노니아(koinonia)” 중에서
저자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
크기 | 전자책의 경우 파일의 용량 |
쪽수 | 전자책의 경우 제외 |
제품 구성 | 전집 또는 세트일 경우 낱권 구성, CD 등(기본값:해당사항없음) |
출간일 | (기본값:제작사 정보 미제공) |
목차 또는 책소개 | 상세화면 표시 |
무성의, 비방, 도배, 도용, 광고성 평등 상품평 성격에 맞지 않을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배송비
- 라이프북의 배송비는 1만원 미만으로 주문하실 경우 2,500원의 배송비가 부과됩니다. (단,제작처 개별발송 상품은 제작처의 배송비정책을 따릅니다)
- 도서,산간 지방의 경우 및 퀵 서비스요청은 배송정책과 관계없이 추가 배송비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배송기간
- 신용카드 결제나 핸드폰,실시간 계좌이체는 즉시 결제확인이 가능하며,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하신 순서대로 결제확인 후 출고가 이뤄집니다.
(단,토요일,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9시 이전까지 결제확인 된 주문건에 한해서만 당일출고 됩니다.)
- 배송기간은 출고 후 최소 1일(24시간)~최대7일 정도 후 주문하신 상품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단,토요일/공휴일제외)
•도서는 개정판/재판이 출간될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어 주문취소 및 주문변경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상품의 실제 색상은 사용하시는 모니터에 따라 다를 수 있사오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상품에 대한 주문취소/교환/반품/환불정보를 확인하세요!
구매확정하시거나 출고완료 후 10일이 지난 주문건은 교환/반품이 불가하여,마이페이지에서 신청버튼이 조회되지 않습니다.